사이공 - Saigoneer한글판 사이공의 식당, 길거리 음식, 뉴스, 바, 문화, 이벤트, 역사, 레저활동, 음악 등에 대한 정보 안내 https://kr.saigoneer.com/사이공 2025-07-11T10:36:14+07:00 Joomla! - Open Source Content Management 무어런(Múa Lân), 국가 무형문화유산으로 공식 등재 2025-03-31T14:00:00+07:00 2025-03-31T14:00:00+07:00 https://kr.saigoneer.com/사이공/13651-무어런-múa-lân-,-국가-무형문화유산으로-공식-등재 Saigoneer. Photo by Uyên Đỗ. info@saigoneer.com <div class="feed-description"><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5/01/17/dance/lion36.webp" data-og-image="//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5/01/17/dance/lion36.webp" data-position="50% 50%" /></p> <p dir="ltr">쩌런(Chợ Lớn)에서는 매년 설(Tết, 뗏)마다 향 냄새가 가득하고 온통 붉은 장식들로 물든 거리 속에서 무어런(múa lân, 사자춤)의 북과 징 소리가 울려 퍼집니다. 여러 세대의 사이공 사람들에게 있어 무어런의 존재는 축제와 기쁨의 상징입니다.</p> <p dir="ltr">3월 30일 오전, <a href="https://thanhnien.vn/tphcm-them-1-di-san-van-hoa-phi-vat-the-quoc-gia-va-7-di-tich-lich-su-van-hoa-185250330221217324.htm" target="_blank"><em>탄니엔(Thanh Niên)</em></a> 보도에 따르면, 호치민시 문화체육청은 베트남 문화체육관광부가 사이공의 사자춤 공연을 국가 무형문화유산으로 공식 지정했다는 결정을 알리는 행사를 열었습니다.</p> <p dir="ltr">보통 ‘무어런(múa lân)’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이 예술 형식은 사자, 기린, 용 등의 복장을 입은 공연자들이 선보이는 다양한 춤이 특징적입니다. 일부 무어런 공연은 곡예를 포함하기도 하며, 무용수들이 높은 기둥 위에서 균형을 잡거나 공놀이를 하기도 합니다.</p> <p dir="ltr">화(華, Hoa)계 베트남인 공동체는 힘, 지혜, 번영을 상징하는 신화 속 존재들이 춤을 추면 액운을 몰아내고 큰 복을 가져온다고 믿고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무어런 공연은 음력 설, 착공식, 또는 신규 사업 개업식과 같은 중요한 행사에서 자주 열립니다.</p> <p dir="ltr">이번 행사에서 문화체육청은 사이공 내 7곳의 장소를 새로운 시급 역사문화 유적지로도 공식 지정했습니다. 여기에 포함된 장소는 1군의 떤딘 시장(Tân Định Market), 마리아만 힌두사원(Mariamman Hindu Temple), 쯩브엉 고등학교(Trưng Vương High School); 투득시(Thủ Đức City)의 안칸 사원(An Khánh Pagoda), 롱빈 사원(Long Bình Pagoda), 롱호아 사원(Long Hòa Pagoda); 5군의 사이공 대학교(Saigon University) 캠퍼스입니다. 이들 장소가 추가되면서, 현재 호치민시는 총 200곳의 시급 역사문화유적지를 보유하게 되었습니다.</p> <p dir="ltr">무어런이 국가 무형문화유산으로 인정받았다는 것은, 이 전통 예술이 사이공의 다양한 민족적 구성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시민들과 정책 입안자들이 이를 보존하고 장려하기 위한 추가적인 노력을 기울이게 만드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2023년 기준으로, 베트남 전국에는 총 485개의 국가 무형문화유산이 등재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전국적으로 유명한 박짱(Bát Tràng) 도자기 공예부터 비교적 덜 알려진 반피아속짱(bánh pía Sóc Trăng)까지 다양하게 포함되어 있습니다.</p> <p dir="ltr">사이공에서는 뗏응우웬띠에우(Tết Nguyên Tiêu, 상원), 전통 음악 공연 예술 ‘던까따이뜨(đờn ca tài tử)’, 그리고 응잉옹 축제(Nghinh Ông Festival)등이 앞서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바 있습니다.</p></div> <div class="feed-description"><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5/01/17/dance/lion36.webp" data-og-image="//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5/01/17/dance/lion36.webp" data-position="50% 50%" /></p> <p dir="ltr">쩌런(Chợ Lớn)에서는 매년 설(Tết, 뗏)마다 향 냄새가 가득하고 온통 붉은 장식들로 물든 거리 속에서 무어런(múa lân, 사자춤)의 북과 징 소리가 울려 퍼집니다. 여러 세대의 사이공 사람들에게 있어 무어런의 존재는 축제와 기쁨의 상징입니다.</p> <p dir="ltr">3월 30일 오전, <a href="https://thanhnien.vn/tphcm-them-1-di-san-van-hoa-phi-vat-the-quoc-gia-va-7-di-tich-lich-su-van-hoa-185250330221217324.htm" target="_blank"><em>탄니엔(Thanh Niên)</em></a> 보도에 따르면, 호치민시 문화체육청은 베트남 문화체육관광부가 사이공의 사자춤 공연을 국가 무형문화유산으로 공식 지정했다는 결정을 알리는 행사를 열었습니다.</p> <p dir="ltr">보통 ‘무어런(múa lân)’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이 예술 형식은 사자, 기린, 용 등의 복장을 입은 공연자들이 선보이는 다양한 춤이 특징적입니다. 일부 무어런 공연은 곡예를 포함하기도 하며, 무용수들이 높은 기둥 위에서 균형을 잡거나 공놀이를 하기도 합니다.</p> <p dir="ltr">화(華, Hoa)계 베트남인 공동체는 힘, 지혜, 번영을 상징하는 신화 속 존재들이 춤을 추면 액운을 몰아내고 큰 복을 가져온다고 믿고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무어런 공연은 음력 설, 착공식, 또는 신규 사업 개업식과 같은 중요한 행사에서 자주 열립니다.</p> <p dir="ltr">이번 행사에서 문화체육청은 사이공 내 7곳의 장소를 새로운 시급 역사문화 유적지로도 공식 지정했습니다. 여기에 포함된 장소는 1군의 떤딘 시장(Tân Định Market), 마리아만 힌두사원(Mariamman Hindu Temple), 쯩브엉 고등학교(Trưng Vương High School); 투득시(Thủ Đức City)의 안칸 사원(An Khánh Pagoda), 롱빈 사원(Long Bình Pagoda), 롱호아 사원(Long Hòa Pagoda); 5군의 사이공 대학교(Saigon University) 캠퍼스입니다. 이들 장소가 추가되면서, 현재 호치민시는 총 200곳의 시급 역사문화유적지를 보유하게 되었습니다.</p> <p dir="ltr">무어런이 국가 무형문화유산으로 인정받았다는 것은, 이 전통 예술이 사이공의 다양한 민족적 구성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시민들과 정책 입안자들이 이를 보존하고 장려하기 위한 추가적인 노력을 기울이게 만드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2023년 기준으로, 베트남 전국에는 총 485개의 국가 무형문화유산이 등재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전국적으로 유명한 박짱(Bát Tràng) 도자기 공예부터 비교적 덜 알려진 반피아속짱(bánh pía Sóc Trăng)까지 다양하게 포함되어 있습니다.</p> <p dir="ltr">사이공에서는 뗏응우웬띠에우(Tết Nguyên Tiêu, 상원), 전통 음악 공연 예술 ‘던까따이뜨(đờn ca tài tử)’, 그리고 응잉옹 축제(Nghinh Ông Festival)등이 앞서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바 있습니다.</p></div> 사이공의 무료 정수기: 갈증을 해소하고 친절을 나누다. 2025-03-22T15:00:00+07:00 2025-03-22T15:00:00+07:00 https://kr.saigoneer.com/사이공/13522-사이공의-무료-정수기-갈증을-해소하고-친절을-나누다 Uyên Đỗ. Top image by Cao Nhân. info@saigoneer.com <div class="feed-description"><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7/08/watercooler6.webp" data-og-image="//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10/fb-water0.webp" data-position="50% 50%" /></p> <p><em>지난 수년 간, 기후 변화가 베트남 사람들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야기들을 다룬 뉴스들이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em></p> <p>베트남 천연자원환경부(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에 따르면, 베트남은 전 세계에서 기후 변화로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여섯 나라 중 하나입니다. 농촌에서는 이상기후가 홍수와 같은 자연재해로 나타나는 반면, 사이공 같은 도시 지역에서는 장기간 지속되는 폭염이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3/05/08/summer0.webp" /></p> <p class="image-caption">사진 작가 : Alberto Prieto.</p> <p>건기가 시작되면, 도시의 주민들은 최고치를 갈아치우는 더위에 맞서 싸우게 됩니다. 아스팔트에서 피어오르는 열기는 차량 배기가스와 좁은 골목에서 퍼지는 퀴퀴한 냄새와 뒤섞여 숨이 턱턱 막힙니다.</p> <p>이에 사람들은 더위를 피하려고 에어컨이 나오는 카페나 쇼핑센터로 몰려듭니다. 외출해야 하는 사람들은 재킷이나 마스크, 후드티로 몸을 감쌉니다. 하지만 누구나 이렇게 뜨거운 태양을 쉽게 피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7/08/watercooler4.webp"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p> <p class="image-caption">사진 작가 : Cao Nhân.</p> <p>가장 큰 영향을 받는 사람들은 도시 지역의 비정규직 노동자들입니다. 건설노동자, 노점상, 오토바이 운전수, 쓰레기 수거작업자들은 대부분 불볕더위에 장시간 노출될 수밖에 없습니다.</p> <p>베트남 노동부는 야외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에게 열사병을 예방하고 체온을 낮추기 위해 서늘한 곳에서 쉬고 물을 충분히 마시라고 권고했습니다. 이 권고는 과학적으로는 맞지만, 실제로 야외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 그늘과 깨끗한 물은 사치에 불과한 경우가 많다는 현실을 간과한 것입니다.</p> <div class="one-row full-width">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7/08/watercooler7.webp" alt=""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7/08/watercooler8.webp" alt="" /></div> </div> <div class="one-row full-width">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7/08/watercooler9.webp" alt=""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7/08/watercooler16.webp" alt="" /></div> </div> <p class="image-caption">소박한 정수기와 친절한 메시지. 사진 작가 : Cao Nhân, Trinh Nguyễn, Paul Christiansen.</p> <p>하루치 생수 비용은 간단한 식사 비용만큼이나 비싸고, 계속 움직여야 하는 사람들에게는 번거롭습니다. 또한 무료로 깨끗한 식수를 구하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p> <p>다행히도 비 온 뒤 버섯이 자라듯이, 도시 곳곳에 가뭄 동안 물 공급원이 생겨났습니다. "무료 음료수"나 "여행자를 위한 시원한 물" 같은 친근한 문구가 적힌 스테인리스 용기와 보온 양동이가 인도에 놓여 있어, 이동식 우물처럼 무료로 물을 마실 수 있는 방법이 생겼습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7/08/watercooler15.webp"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p> <p class="image-caption">익명의 기부자들. 사진 출처: VnExpress.</p> <p>"여유 있는 사람은 주고, 필요한 사람은 가져간다"는 아름다운 원칙에 따라, 마음씨 좋은 사람들이 이 곳에 아이스티, 정수된 물, 때로는 간식까지 채워놓습니다. 사람들은 이곳에 들러 무료로 갈증을 해소하고 더위를 식힐 수 있습니다. 지켜보는 사람도 없이 매일 수천 번의 조용한 나눔이 일어나고 있습니다.</p> <p>이 따뜻한 관행은 새로운 것이 아닙니다. 과거 남부 시골 지역에서는 주민들이 도로변에 나뭇잎으로 만든 오두막, 물독, 그리고 코코넛 국자를 설치하곤 했습니다. 여행자와 이웃들은 잠시 멈춰 쉬고 갈증을 해소할 수 있었습니다. 비록 물독이 이제는 현대적인 재료로 대체되었지만, 지역 사회의 넉넉한 마음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습니다.</p> <p><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7/08/watercooler12.webp"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span></p> <p class="image-caption">예전에 흙 항아리는 빗물을 모으고 길을 지나는 사람들에게 시원한 물을 제공하는 데 자주 사용되었습니다. 사진 출처: Phụ Nữ Online.</p> <p>심각한 더위에 대응하기 위해 시 정부는 공공 급수대를 시범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때까지 표시 없는 이 용기들은 물을 제공하며 일상의 고단함을 덜어주는 소박한 역할을 계속할 것입니다.</p> <p class="image-caption"><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7/08/watercooler13.webp"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p> <p class="image-caption">무료 생수는 노동자들에게 꼭 필요한 시원한 물을 제공합니다. 사진 출처: Dân Trí.</p> <p><strong>이 기사는 2024년에 처음 출판되었습니다.</strong></p></div> <div class="feed-description"><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7/08/watercooler6.webp" data-og-image="//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10/fb-water0.webp" data-position="50% 50%" /></p> <p><em>지난 수년 간, 기후 변화가 베트남 사람들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야기들을 다룬 뉴스들이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em></p> <p>베트남 천연자원환경부(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에 따르면, 베트남은 전 세계에서 기후 변화로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여섯 나라 중 하나입니다. 농촌에서는 이상기후가 홍수와 같은 자연재해로 나타나는 반면, 사이공 같은 도시 지역에서는 장기간 지속되는 폭염이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3/05/08/summer0.webp" /></p> <p class="image-caption">사진 작가 : Alberto Prieto.</p> <p>건기가 시작되면, 도시의 주민들은 최고치를 갈아치우는 더위에 맞서 싸우게 됩니다. 아스팔트에서 피어오르는 열기는 차량 배기가스와 좁은 골목에서 퍼지는 퀴퀴한 냄새와 뒤섞여 숨이 턱턱 막힙니다.</p> <p>이에 사람들은 더위를 피하려고 에어컨이 나오는 카페나 쇼핑센터로 몰려듭니다. 외출해야 하는 사람들은 재킷이나 마스크, 후드티로 몸을 감쌉니다. 하지만 누구나 이렇게 뜨거운 태양을 쉽게 피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7/08/watercooler4.webp"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p> <p class="image-caption">사진 작가 : Cao Nhân.</p> <p>가장 큰 영향을 받는 사람들은 도시 지역의 비정규직 노동자들입니다. 건설노동자, 노점상, 오토바이 운전수, 쓰레기 수거작업자들은 대부분 불볕더위에 장시간 노출될 수밖에 없습니다.</p> <p>베트남 노동부는 야외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에게 열사병을 예방하고 체온을 낮추기 위해 서늘한 곳에서 쉬고 물을 충분히 마시라고 권고했습니다. 이 권고는 과학적으로는 맞지만, 실제로 야외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 그늘과 깨끗한 물은 사치에 불과한 경우가 많다는 현실을 간과한 것입니다.</p> <div class="one-row full-width">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7/08/watercooler7.webp" alt=""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7/08/watercooler8.webp" alt="" /></div> </div> <div class="one-row full-width">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7/08/watercooler9.webp" alt=""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7/08/watercooler16.webp" alt="" /></div> </div> <p class="image-caption">소박한 정수기와 친절한 메시지. 사진 작가 : Cao Nhân, Trinh Nguyễn, Paul Christiansen.</p> <p>하루치 생수 비용은 간단한 식사 비용만큼이나 비싸고, 계속 움직여야 하는 사람들에게는 번거롭습니다. 또한 무료로 깨끗한 식수를 구하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p> <p>다행히도 비 온 뒤 버섯이 자라듯이, 도시 곳곳에 가뭄 동안 물 공급원이 생겨났습니다. "무료 음료수"나 "여행자를 위한 시원한 물" 같은 친근한 문구가 적힌 스테인리스 용기와 보온 양동이가 인도에 놓여 있어, 이동식 우물처럼 무료로 물을 마실 수 있는 방법이 생겼습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7/08/watercooler15.webp"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p> <p class="image-caption">익명의 기부자들. 사진 출처: VnExpress.</p> <p>"여유 있는 사람은 주고, 필요한 사람은 가져간다"는 아름다운 원칙에 따라, 마음씨 좋은 사람들이 이 곳에 아이스티, 정수된 물, 때로는 간식까지 채워놓습니다. 사람들은 이곳에 들러 무료로 갈증을 해소하고 더위를 식힐 수 있습니다. 지켜보는 사람도 없이 매일 수천 번의 조용한 나눔이 일어나고 있습니다.</p> <p>이 따뜻한 관행은 새로운 것이 아닙니다. 과거 남부 시골 지역에서는 주민들이 도로변에 나뭇잎으로 만든 오두막, 물독, 그리고 코코넛 국자를 설치하곤 했습니다. 여행자와 이웃들은 잠시 멈춰 쉬고 갈증을 해소할 수 있었습니다. 비록 물독이 이제는 현대적인 재료로 대체되었지만, 지역 사회의 넉넉한 마음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습니다.</p> <p><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7/08/watercooler12.webp"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span></p> <p class="image-caption">예전에 흙 항아리는 빗물을 모으고 길을 지나는 사람들에게 시원한 물을 제공하는 데 자주 사용되었습니다. 사진 출처: Phụ Nữ Online.</p> <p>심각한 더위에 대응하기 위해 시 정부는 공공 급수대를 시범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때까지 표시 없는 이 용기들은 물을 제공하며 일상의 고단함을 덜어주는 소박한 역할을 계속할 것입니다.</p> <p class="image-caption"><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7/08/watercooler13.webp"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p> <p class="image-caption">무료 생수는 노동자들에게 꼭 필요한 시원한 물을 제공합니다. 사진 출처: Dân Trí.</p> <p><strong>이 기사는 2024년에 처음 출판되었습니다.</strong></p></div> 사이공에서 가장 오래된 애완용 물고기 마켓 2025-03-16T10:00:00+07:00 2025-03-16T10:00:00+07:00 https://kr.saigoneer.com/사이공/13504-사이공에서-가장-오래된-애완용-물고기-마켓 Trần Duy Minh. Photos by Trần Duy Minh, Lê Thái Hoàng Nguyên, and Đỗ Anh Chương. info@saigoneer.com <div class="feed-description"><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new00.webp" data-og-image="//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fb-new00b.jpg" data-position="20% 100%" /></p> <p><em>사이공에서 생기 넘치는 물고기에 대해 이야기할 때, 사람들은 강이 아니라 거리를 떠올립니다. 5군에 위치한 Lưu Xuân Tín 거리는 길이가 약 500미터에 불과하지만, 수십 개의 수족관 관련 상점들이 자리하고 있습니다.</em></p> <div class="full-width"><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c01.webp" /> <p class="image-caption">처음에는 몇 개의 가게만 있었던 이곳이 이제는 수족관 용품 상점들이 줄지어 있는 거리로 변했습니다. Photo by Đỗ Anh Chương.</p> </div> <p dir="ltr">이 거리는 40년이 넘게 된 오래된 애완용 물고기 거리로 애호가들 사이에서 잘 알려져 있습니다.</p> <div class="third-width right"><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c02.webp" /> <p class="image-caption">거리 입구.&nbsp;Photo by Đỗ Anh Chương.</p> </div> <p dir="ltr">Lưu Xuân Tín 거리는 상업적으로 잘 알려진 장소일 뿐만 아니라 5군에서 인기 있는 관광 명소입니다. 사이공의 수족관 애호가들과 전국 각지의 상인들이 여기에 모여 애완용 물고기와 어항 용품을 구매합니다.</p> <p dir="ltr">음료를 파는 Đặng Thị Thủy씨는 "처음 방문했을 때는 몇 개의 상점밖에 없었는데, 그 후로는 점점 더 많은 상점들이 생겨났습니다. 물고기 상인들이 점차 이곳에 거주하기 시작하여 현재 시장으로 변모시켰습니다," 라고 말했습니다. 그녀는 1992년부터 이곳에서 음료를 판매하고 있습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m06.webp" /></p> <p class="image-caption">거리에서 음료를 판매하는 Cô Thủy. Photo by Trần Duy Minh.</p> <p dir="ltr">상인들은 종종 그녀의 가게에 앉아 사업을 진행합니다. 그녀는 "제 가게는 수족관 사업들의 모임 장소 같은 느낌이에요," 자랑스럽게 말했습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m03.webp" /></p> <p class="image-caption">물고기를 판매하는 상인들이 거래를 하고 있고, 한쪽에서는 판매를 준비하고 있습니다.&nbsp;Photo by Trần Duy Minh.</p> <p dir="ltr">이곳에 실제 매장을 갖지 않은 많은 상인들도 길거리에서 물고기 거래를 합니다. 수족관 물고기 상인인 Phạm Kiều Oanh씨는 "저는 매장이 없고 수족관 물고기를 도매로 판매합니다. 이 일을 거의 30년째 하고 있어요," 라고 말했습니다.</p> <div class="one-row full-width">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m04.webp"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m05.webp" /></div> </div> <p class="image-caption">관상어 상점에서는 어항을 계속 관리해줘야 합니다.&nbsp;Photos by Trần Duy Minh.</p> <p dir="ltr">Oanh는 처음에 이곳에서 물고기 먹이를 파는 것으로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그녀의 거래망이 커졌고, 수족관 물고기를 도매로 팔기 시작했습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n11.webp" /></p> <p class="image-caption">수족관 장식용 소품도 판매되고 있습니다.&nbsp;Photo by Lê Thái Hoàng Nguyên.</p> <p>Lưu Xuân Tín 거리는 공식적인 영업 시간은 없지만, 매일 새벽 4시부터 저녁 5시까지 열려 있습니다. 거리에는 아침 일찍 도착하여 새로운 업무일을 시작하는 상인들, 구매자들, 판매자들이 모여 있습니다.</p> <div class="biggest"><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n01.webp" /></div> <div class="one-row biggest">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n02.webp"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n03.webp"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n04.webp" /></div> </div> <p class="image-caption">Photos by Lê Thái Hoàng Nguyên.</p> <p dir="ltr">"매일 아침 4시부터 8시 사이에 여기서 일을 합니다. 여기서 아침을 먹고 커피 한 잔 마시고, 그 후에 구매자들과 만나서 제 직원들에게 주문을 충족시킬 물고기를 배달하도록 지시합니다," 옌(Oanh)은 말했습니다.</p> <div class="bigger"><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n09.webp" /></div> <p class="image-caption">물고기 잡이용 그물. Photo by Lê Thái Hoàng Nguyên.</p> <p dir="ltr">옌은 이전에 자수 기술자로 일했습니다. 그녀의 오빠가 그녀를 수족관 어류 산업에 소개하였습니다. 그녀와 그녀의 남편은 모두 애완용 어류 시장에서 일하고 있으며, 이 일은 가족의 중요한 수입원입니다.</p> <div class="bigger"><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n05.webp" /></div> <p class="image-caption">수초들.&nbsp;Photo by Lê Thái Hoàng Nguyên.</p> <p dir="ltr">"이 사업은 저를 부자로 만들지는 않지만, 제 가족의 생활비를 지원해 줍니다. 저는 지금 57살입니다. 나이가 많아 누구도 저를 고용하려 하지 않지만, 이 사업은 제게 잘 맞는 일입니다," 그녀는 말합니다.</p> <div class="one-row">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c05.webp"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c03.webp" /></div> </div> <div class="one-row">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c06.webp"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c07.webp" /></div> </div> <p class="image-caption">다양한 종류의 형형색색 물고기들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Photos by Đỗ Anh Chương.</p> <p dir="ltr">옌은 8군에 있는 자택에서 수족관 어류 가게를 운영합니다. 거리에서 거래를 하지 않을때에는 집으로 돌아가 가게에 엤는 물고기들을 돌보곤 합니다.</p> <div class="one-row full-width">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n06.webp"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n08.webp" /></div> </div> <p class="image-caption">Photos by Lê Thái Hoàng Nguyên.</p> <p dir="ltr">"저는 매일 물고기들을 제 아이들처럼 돌보아요. 오랜 시간 동안 이 사업을 하고 있고, 정말 좋아해요. 다른 직업으로 바꾸고 싶지 않아요," 옌은 말했습니다.</p> <div class="bigger"><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n10.webp" /></div> <p class="image-caption">길거리에 놓인 금붕어 봉지들. Photo by Lê Thái Hoàng Nguyên.</p> <p>"수족관 거리"의 형성은 자발적으로 일어난 일이었지만, 이 존재는 사람들이 물고기 거래에 참여를 하던 안하던 그 지역 사이공 시민들의 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왔습니다.</p> <p dir="ltr">"저는 28살 때 이곳에서 사업을 시작했고, 지금은 60살입니다. 제 음료 가게에 많은 단골 손님들이 찾아와 줍니다. 그래서 제 삶은 즐겁고 안정적입니다," 투이(Thủy)가 말했습니다.</p> <div class="one-row bigger">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n07.webp"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c04.webp" /></div> </div> <p class="image-caption">Photos by Lê Thái Hoàng Nguyên and Đỗ Anh Chương.</p> <p dir="ltr">"내가 없어도, 단골 손님들은 스스로 음료를 가져가고 나중에 '후불'로 정산해줍니다. '가끔 테이블 위에 돈을 두고 돌아가는 경우도 있어요' 라며 그녀는 미소를 짓습니다.</p> <div class="one-row bigger">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n12.webp"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n13.webp" /></div> </div> <p class="image-caption">Photos by Lê Thái Hoàng Nguyên.</p> <p dir="ltr">Thủy가 이 거리에서 음료를 판매한 기간 동안, 그녀는 이곳의 물고기 거래에 대해 많은 지식을 쌓았습니다. 새로운 거래자들이 도착하면, 그녀는 항상 기꺼이 도움을 줍니다.</p> <div class="bigger"><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n15.webp" /></div> <p class="image-caption">수족관에서 자랄 수 있는 수초들. Photo by Lê Thái Hoàng Nguyên.</p> <p dir="ltr">"저는 이곳에서 처음 구매를 하는 사람들에게 효율적이고 저렴하게 애완용 물고기를 사는 방법에 대해 조언합니다," 그녀가 설명했습니다. "저는 이 거리를 좋아합니다. 여기 사람들은 모두 친절합니다. 우리는 구매자든 판매자든, 부유한 사람이든 가난한 사람이든 서로를 사랑하고 서로를 도와 줍니다."</p> <div class="one-row full-width">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n14.webp"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n16.webp" /></div> </div> <p class="image-caption">이건 뭘까요? 물고기 집? Photos by Lê Thái Hoàng Nguyên.</p> <p dir="ltr">Lưu Xuân Tín에서 애완용 물고기를 거래하는 회원들에게는, 그 거리는 단지 상업을 하고 수입을 올리는 장소를 넘어서서 매우 중요한 존재가 되었습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m01.webp" /></p> <p class="image-caption">이른 아침부터 아버지와 함께 물고기를 사러 나온 아이.&nbsp;Photo by Trần Duy Minh.</p> <p dir="ltr">"이 곳의 사람들은 제 가족 같습니다. 그들과 대화하는 것은 즐겁고 재미있습니다. 이곳에서 보내는 시간은 제 하루 중 가장 행복한 시간입니다," Oanh가 말했습니다.</p> <p dir="ltr"><strong>이 기사는 2022년에 처음 게재되었습니다.</strong></p></div> <div class="feed-description"><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new00.webp" data-og-image="//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fb-new00b.jpg" data-position="20% 100%" /></p> <p><em>사이공에서 생기 넘치는 물고기에 대해 이야기할 때, 사람들은 강이 아니라 거리를 떠올립니다. 5군에 위치한 Lưu Xuân Tín 거리는 길이가 약 500미터에 불과하지만, 수십 개의 수족관 관련 상점들이 자리하고 있습니다.</em></p> <div class="full-width"><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c01.webp" /> <p class="image-caption">처음에는 몇 개의 가게만 있었던 이곳이 이제는 수족관 용품 상점들이 줄지어 있는 거리로 변했습니다. Photo by Đỗ Anh Chương.</p> </div> <p dir="ltr">이 거리는 40년이 넘게 된 오래된 애완용 물고기 거리로 애호가들 사이에서 잘 알려져 있습니다.</p> <div class="third-width right"><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c02.webp" /> <p class="image-caption">거리 입구.&nbsp;Photo by Đỗ Anh Chương.</p> </div> <p dir="ltr">Lưu Xuân Tín 거리는 상업적으로 잘 알려진 장소일 뿐만 아니라 5군에서 인기 있는 관광 명소입니다. 사이공의 수족관 애호가들과 전국 각지의 상인들이 여기에 모여 애완용 물고기와 어항 용품을 구매합니다.</p> <p dir="ltr">음료를 파는 Đặng Thị Thủy씨는 "처음 방문했을 때는 몇 개의 상점밖에 없었는데, 그 후로는 점점 더 많은 상점들이 생겨났습니다. 물고기 상인들이 점차 이곳에 거주하기 시작하여 현재 시장으로 변모시켰습니다," 라고 말했습니다. 그녀는 1992년부터 이곳에서 음료를 판매하고 있습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m06.webp" /></p> <p class="image-caption">거리에서 음료를 판매하는 Cô Thủy. Photo by Trần Duy Minh.</p> <p dir="ltr">상인들은 종종 그녀의 가게에 앉아 사업을 진행합니다. 그녀는 "제 가게는 수족관 사업들의 모임 장소 같은 느낌이에요," 자랑스럽게 말했습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m03.webp" /></p> <p class="image-caption">물고기를 판매하는 상인들이 거래를 하고 있고, 한쪽에서는 판매를 준비하고 있습니다.&nbsp;Photo by Trần Duy Minh.</p> <p dir="ltr">이곳에 실제 매장을 갖지 않은 많은 상인들도 길거리에서 물고기 거래를 합니다. 수족관 물고기 상인인 Phạm Kiều Oanh씨는 "저는 매장이 없고 수족관 물고기를 도매로 판매합니다. 이 일을 거의 30년째 하고 있어요," 라고 말했습니다.</p> <div class="one-row full-width">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m04.webp"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m05.webp" /></div> </div> <p class="image-caption">관상어 상점에서는 어항을 계속 관리해줘야 합니다.&nbsp;Photos by Trần Duy Minh.</p> <p dir="ltr">Oanh는 처음에 이곳에서 물고기 먹이를 파는 것으로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그녀의 거래망이 커졌고, 수족관 물고기를 도매로 팔기 시작했습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n11.webp" /></p> <p class="image-caption">수족관 장식용 소품도 판매되고 있습니다.&nbsp;Photo by Lê Thái Hoàng Nguyên.</p> <p>Lưu Xuân Tín 거리는 공식적인 영업 시간은 없지만, 매일 새벽 4시부터 저녁 5시까지 열려 있습니다. 거리에는 아침 일찍 도착하여 새로운 업무일을 시작하는 상인들, 구매자들, 판매자들이 모여 있습니다.</p> <div class="biggest"><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n01.webp" /></div> <div class="one-row biggest">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n02.webp"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n03.webp"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n04.webp" /></div> </div> <p class="image-caption">Photos by Lê Thái Hoàng Nguyên.</p> <p dir="ltr">"매일 아침 4시부터 8시 사이에 여기서 일을 합니다. 여기서 아침을 먹고 커피 한 잔 마시고, 그 후에 구매자들과 만나서 제 직원들에게 주문을 충족시킬 물고기를 배달하도록 지시합니다," 옌(Oanh)은 말했습니다.</p> <div class="bigger"><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n09.webp" /></div> <p class="image-caption">물고기 잡이용 그물. Photo by Lê Thái Hoàng Nguyên.</p> <p dir="ltr">옌은 이전에 자수 기술자로 일했습니다. 그녀의 오빠가 그녀를 수족관 어류 산업에 소개하였습니다. 그녀와 그녀의 남편은 모두 애완용 어류 시장에서 일하고 있으며, 이 일은 가족의 중요한 수입원입니다.</p> <div class="bigger"><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n05.webp" /></div> <p class="image-caption">수초들.&nbsp;Photo by Lê Thái Hoàng Nguyên.</p> <p dir="ltr">"이 사업은 저를 부자로 만들지는 않지만, 제 가족의 생활비를 지원해 줍니다. 저는 지금 57살입니다. 나이가 많아 누구도 저를 고용하려 하지 않지만, 이 사업은 제게 잘 맞는 일입니다," 그녀는 말합니다.</p> <div class="one-row">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c05.webp"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c03.webp" /></div> </div> <div class="one-row">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c06.webp"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c07.webp" /></div> </div> <p class="image-caption">다양한 종류의 형형색색 물고기들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Photos by Đỗ Anh Chương.</p> <p dir="ltr">옌은 8군에 있는 자택에서 수족관 어류 가게를 운영합니다. 거리에서 거래를 하지 않을때에는 집으로 돌아가 가게에 엤는 물고기들을 돌보곤 합니다.</p> <div class="one-row full-width">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n06.webp"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n08.webp" /></div> </div> <p class="image-caption">Photos by Lê Thái Hoàng Nguyên.</p> <p dir="ltr">"저는 매일 물고기들을 제 아이들처럼 돌보아요. 오랜 시간 동안 이 사업을 하고 있고, 정말 좋아해요. 다른 직업으로 바꾸고 싶지 않아요," 옌은 말했습니다.</p> <div class="bigger"><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n10.webp" /></div> <p class="image-caption">길거리에 놓인 금붕어 봉지들. Photo by Lê Thái Hoàng Nguyên.</p> <p>"수족관 거리"의 형성은 자발적으로 일어난 일이었지만, 이 존재는 사람들이 물고기 거래에 참여를 하던 안하던 그 지역 사이공 시민들의 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왔습니다.</p> <p dir="ltr">"저는 28살 때 이곳에서 사업을 시작했고, 지금은 60살입니다. 제 음료 가게에 많은 단골 손님들이 찾아와 줍니다. 그래서 제 삶은 즐겁고 안정적입니다," 투이(Thủy)가 말했습니다.</p> <div class="one-row bigger">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n07.webp"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c04.webp" /></div> </div> <p class="image-caption">Photos by Lê Thái Hoàng Nguyên and Đỗ Anh Chương.</p> <p dir="ltr">"내가 없어도, 단골 손님들은 스스로 음료를 가져가고 나중에 '후불'로 정산해줍니다. '가끔 테이블 위에 돈을 두고 돌아가는 경우도 있어요' 라며 그녀는 미소를 짓습니다.</p> <div class="one-row bigger">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n12.webp"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n13.webp" /></div> </div> <p class="image-caption">Photos by Lê Thái Hoàng Nguyên.</p> <p dir="ltr">Thủy가 이 거리에서 음료를 판매한 기간 동안, 그녀는 이곳의 물고기 거래에 대해 많은 지식을 쌓았습니다. 새로운 거래자들이 도착하면, 그녀는 항상 기꺼이 도움을 줍니다.</p> <div class="bigger"><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n15.webp" /></div> <p class="image-caption">수족관에서 자랄 수 있는 수초들. Photo by Lê Thái Hoàng Nguyên.</p> <p dir="ltr">"저는 이곳에서 처음 구매를 하는 사람들에게 효율적이고 저렴하게 애완용 물고기를 사는 방법에 대해 조언합니다," 그녀가 설명했습니다. "저는 이 거리를 좋아합니다. 여기 사람들은 모두 친절합니다. 우리는 구매자든 판매자든, 부유한 사람이든 가난한 사람이든 서로를 사랑하고 서로를 도와 줍니다."</p> <div class="one-row full-width">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n14.webp"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n16.webp" /></div> </div> <p class="image-caption">이건 뭘까요? 물고기 집? Photos by Lê Thái Hoàng Nguyên.</p> <p dir="ltr">Lưu Xuân Tín에서 애완용 물고기를 거래하는 회원들에게는, 그 거리는 단지 상업을 하고 수입을 올리는 장소를 넘어서서 매우 중요한 존재가 되었습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2/07/14/fish-final/m01.webp" /></p> <p class="image-caption">이른 아침부터 아버지와 함께 물고기를 사러 나온 아이.&nbsp;Photo by Trần Duy Minh.</p> <p dir="ltr">"이 곳의 사람들은 제 가족 같습니다. 그들과 대화하는 것은 즐겁고 재미있습니다. 이곳에서 보내는 시간은 제 하루 중 가장 행복한 시간입니다," Oanh가 말했습니다.</p> <p dir="ltr"><strong>이 기사는 2022년에 처음 게재되었습니다.</strong></p></div> 사이공 메트로를 타며 들을 최고의 플레이리스트 만들기 2025-01-13T16:00:00+07:00 2025-01-13T16:00:00+07:00 https://kr.saigoneer.com/사이공/13618-사이공-메트로를-타며-들을-최고의-플레이리스트-만들기 Paul Christiansen. Photos by Khôi Phạm. info@saigoneer.com <div class="feed-description"><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5/13/m1.webp" data-og-image="//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5/13/music0.webp" data-position="60% 100%" /></p> <p dir="ltr"><i>새로운 장난감을 갖게 되면, 최대한 자주 그 장난감 가지고 놀고 싶은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i></p> <p dir="ltr">그래서 저는 지난 몇 주 동안 호치민 메트로(HCMC Metro)를 더 자주 탈 핑계거리를 찾아 다녔습니다. 지난 주말에는 첫 차의 분위기를 경험해 보고 싶어졌습니다. 새벽 5시 전에 역에서 저를 만나줄 친구를 찾을 수 없기에 혼자 타보게 되었고요</p> <p dir="ltr">메트로 시스템 전반, 특히 사이공의 메트로는 음악을 감상하기에 완벽한 환경입니다. 도시에서 운전을 하며 음악을 듣는 것은 무모한 일이며, 심지어 걸어가거나 그랩을 타거나 버스를 타더라도 도시의 소음은 음악 감상을 뒷전으로 밀어 버립니다. 하지만 조용하고 평온한 메트로에서는 자신이 선택한 음악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p>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5/13/m4.webp" /> <p class="image-caption">Photo by Paul Christiansen.</p> </div> <p dir="ltr">그렇다면 무엇을 들어야 할까요?</p> <p dir="ltr">메트로 플레이리스트를 추천하며 특정 곡이나 아티스트를 제안할 생각은 없습니다. 제 편협하고 오래된 취향에는 아마도 아무도 공감하지 못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대신, 벤쎄미엔동(Bến Xe Miền Đông)까지 가는 길과 돌아오는 길에 제 아이팟을 만지작거리며 깨달은 몇 가지 폭넓은 제안을 공유하고 싶습니다.</p> <p dir="ltr">향수에 젖을 만한 선곡은 피하세요. 마음을 편안하게 만드는 추억을 소환하는 성장기 최애곡을 듣고 싶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맥락에서는 어울리지 않습니다. 익숙한 감정과 도시 풍경을 스치며 빛나는 새로운 경험이 대척되는 상황에서 뇌가 혼란스러워질 것입니다. 신곡, 혹은 여러분에게 새로운 곡을 선택하세요.</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5/13/m2.webp" /></p> <p dir="ltr">가사를 중점에 두고 골라보세요. 특히 조용한 환경과 방해 받지 않는 자유는 가사에 집중할 수 있는 충분한 여유를 제공합니다. 재즈 연주 같은 곡을 재생할 수도 있지만, 가사를 온전히 받아들일 수 있는 곡을 선택해 보세요. 그러면 평소에는 지나쳤을 법한 한 줄의 가사 속에서 깊은 뜻을 발견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제가 했던 앞서 했던 말을 뒤 짚어 노래를 하나 추천하자면, David Berman의 노랫말이 담긴 Silver Jews입니다: "닻이 있기에 비로소 강물이 흘러간다는 것을 알게 되지(An anchor lets you see the river move)."</p> <p>다른 나라의 음악을 들어보세요. 이 말을 처음 들으면, 베트남과 관련 없는 음악을 추천하는 것이 베트남의 문화, 역사, 생활방식을 깊이 탐구하는 출판물에서 나오는 말로는 이상하게 들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메트로는 다국적 손길이 닿은 독특한 문화적 현상으로 보이는 무형의 세계화로 이 나라가 한 발짝 더 들어가게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메트로 시스템 자체가 베트남만의 것도, 특정 국가나 민족의 것도 아닙니다. 당신의 선곡도 유사한 방식으로 해 보세요. 일본의 시티팝, 핀란드의 메탈, 자메이카의 레게, 폴란드의 폴카 등 국경을 넘어 귀를 열어보세요.</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5/13/m3.webp" /></p> <p dir="ltr"><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사이공에서 음악을 듣기에 가장 좋은 장소 목록을 작성할 수 있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제가 알고 있는 유일한 장소는 사이공 메트로 뿐이거든요. 메트로가 대부분의 사람들의 일상이나 통근에 편리함을 제공하지는 않을지라도, 음악 감상에는 정말 이상적인 장소입니다. 그러니까 우리는 이 프로젝트를 도시에서 예술을 진작시키기 위한 시도로 간주할 수 있겠네요.</span></p></div> <div class="feed-description"><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5/13/m1.webp" data-og-image="//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5/13/music0.webp" data-position="60% 100%" /></p> <p dir="ltr"><i>새로운 장난감을 갖게 되면, 최대한 자주 그 장난감 가지고 놀고 싶은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i></p> <p dir="ltr">그래서 저는 지난 몇 주 동안 호치민 메트로(HCMC Metro)를 더 자주 탈 핑계거리를 찾아 다녔습니다. 지난 주말에는 첫 차의 분위기를 경험해 보고 싶어졌습니다. 새벽 5시 전에 역에서 저를 만나줄 친구를 찾을 수 없기에 혼자 타보게 되었고요</p> <p dir="ltr">메트로 시스템 전반, 특히 사이공의 메트로는 음악을 감상하기에 완벽한 환경입니다. 도시에서 운전을 하며 음악을 듣는 것은 무모한 일이며, 심지어 걸어가거나 그랩을 타거나 버스를 타더라도 도시의 소음은 음악 감상을 뒷전으로 밀어 버립니다. 하지만 조용하고 평온한 메트로에서는 자신이 선택한 음악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p>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5/13/m4.webp" /> <p class="image-caption">Photo by Paul Christiansen.</p> </div> <p dir="ltr">그렇다면 무엇을 들어야 할까요?</p> <p dir="ltr">메트로 플레이리스트를 추천하며 특정 곡이나 아티스트를 제안할 생각은 없습니다. 제 편협하고 오래된 취향에는 아마도 아무도 공감하지 못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대신, 벤쎄미엔동(Bến Xe Miền Đông)까지 가는 길과 돌아오는 길에 제 아이팟을 만지작거리며 깨달은 몇 가지 폭넓은 제안을 공유하고 싶습니다.</p> <p dir="ltr">향수에 젖을 만한 선곡은 피하세요. 마음을 편안하게 만드는 추억을 소환하는 성장기 최애곡을 듣고 싶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맥락에서는 어울리지 않습니다. 익숙한 감정과 도시 풍경을 스치며 빛나는 새로운 경험이 대척되는 상황에서 뇌가 혼란스러워질 것입니다. 신곡, 혹은 여러분에게 새로운 곡을 선택하세요.</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5/13/m2.webp" /></p> <p dir="ltr">가사를 중점에 두고 골라보세요. 특히 조용한 환경과 방해 받지 않는 자유는 가사에 집중할 수 있는 충분한 여유를 제공합니다. 재즈 연주 같은 곡을 재생할 수도 있지만, 가사를 온전히 받아들일 수 있는 곡을 선택해 보세요. 그러면 평소에는 지나쳤을 법한 한 줄의 가사 속에서 깊은 뜻을 발견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제가 했던 앞서 했던 말을 뒤 짚어 노래를 하나 추천하자면, David Berman의 노랫말이 담긴 Silver Jews입니다: "닻이 있기에 비로소 강물이 흘러간다는 것을 알게 되지(An anchor lets you see the river move)."</p> <p>다른 나라의 음악을 들어보세요. 이 말을 처음 들으면, 베트남과 관련 없는 음악을 추천하는 것이 베트남의 문화, 역사, 생활방식을 깊이 탐구하는 출판물에서 나오는 말로는 이상하게 들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메트로는 다국적 손길이 닿은 독특한 문화적 현상으로 보이는 무형의 세계화로 이 나라가 한 발짝 더 들어가게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메트로 시스템 자체가 베트남만의 것도, 특정 국가나 민족의 것도 아닙니다. 당신의 선곡도 유사한 방식으로 해 보세요. 일본의 시티팝, 핀란드의 메탈, 자메이카의 레게, 폴란드의 폴카 등 국경을 넘어 귀를 열어보세요.</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5/13/m3.webp" /></p> <p dir="ltr"><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사이공에서 음악을 듣기에 가장 좋은 장소 목록을 작성할 수 있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제가 알고 있는 유일한 장소는 사이공 메트로 뿐이거든요. 메트로가 대부분의 사람들의 일상이나 통근에 편리함을 제공하지는 않을지라도, 음악 감상에는 정말 이상적인 장소입니다. 그러니까 우리는 이 프로젝트를 도시에서 예술을 진작시키기 위한 시도로 간주할 수 있겠네요.</span></p></div> 사이공에서 보이는 CEE 로고에 숨겨진 역사 2024-12-11T15:00:00+07:00 2024-12-11T15:00:00+07:00 https://kr.saigoneer.com/사이공/13600-사이공에서-보이는-cee-로고에-숨겨진-역사 Uyên Đỗ. Photos by Cao Nhân. info@saigoneer.com <div class="feed-description"><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web1.webp" data-og-image="//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fb1.webp" data-position="50% 50%" /></p> <p><em>사이공의 거리 곳곳에서 볼 수 있는 낡은 변전소들은 어두웠던 프랑스 식민지 시대의 유산이 되어 그 자리를 묵묵히 지키고 있습니다.</em></p> <p>프랑스 식민지 시대에 만들어진 사이공의 기반 시설에 대해 논할 때는, 주로 철도, 다리, 그리고 웅장한 식민지 시대 건물 같은 익숙한 상징물들이 주목을 받습니다.</p> <p>그러나 이런 화려한 주목은 받지 못하지만 그 무게는 같은 유산이 있습니다. 바로 사이공을 "극동의 진주"로 변화시키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한 전력망입니다. 이 변혁의 중심에는 프랑스 기업인 Compagnie des Eaux et Électricité (CEE)가 있었으며, 이 회사는 사이공과 인근 지역에까지 구석구석 안정적인 전력망을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134.webp"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p> <p class="image-caption">At the crossroads of Võ Thị Sáu and Hai Bà Trưng stands one of the CEE’s electrical substations, a relic from the French colonial era.</p> <p>전기가 인도차이나에 처음 도입된 것은 1870년대 전신망이 설치되면서였습니다. 당시 프랑스 식민 정부는 사이공을 성공적으로 점령했지만, 사이공에는 아직 현대적인 기반 시설이 충분하지 못해, 어두운 밤이 되면 코코넛 오일이나 등유로 밝힌 수백 개의 가로등에 의존해야 했습니다.</p> <p>가로등을 현대화하려는 제안은 기술적 어려움과 높은 비용 문제에 직면했습니다. 습한 기후로 인한 기술적 문제뿐만 아니라, 많은 식민 관료들조차도 사치라 여겼던 이 혁신의 천문학적인 비용을 둘러싼 논쟁도 있었습니다.</p> <p>그러나 오랜 논쟁 끝에 1889년 사이공 시의회는 전기 가로등의 시범 도입을 승인했습니다. 이후 Société d’Électricité de Saigon (SEVS)이 설립되어 현재 하이 바 쯩(Hai Bà Trưng) 거리인 폴 블랑쉬(Paul Blanchy) 거리의 첫번째 발전소를 관리하였습니다.&nbsp;</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200.webp" /></p> <p class="image-caption">Saigon's first electric plant. Photo via <em>historicvietnam</em>.</p> <p>초기 20년 동안에는 전력공급이 부족해 몇몇 행정업무구역과 노로돔(Norodom, 현재의 레즈언 Lê Duẩn), 블랑스뵈(Blancsubé, 현재의 팜응옥타치 Phạm Ngọc Thạch), 맥마혼(Mac-Mahon, 현재의 남끼응이아 Nam Kỳ Khởi Nghĩa) 같은 주요 대로에 우선적으로 전력이 공급되었습니다. 그러나 도시 인구가 증가하고 트램망이 확장되면서, 보다 종합적이고 현대적인 공공 전력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점점 커졌습니다.</p> <p>20세기 초, Compagnie des Eaux et Électricité (CEE)라는 새로운 회사가 설립되었습니다. 파리에 본사를 두고 초기 투자금 250만 프랑으로 시작한 이 회사는 사이공, 쩌런(Chợ Lớn), 그리고 프놈펜(Phnom Penh)에 물과 전력을 공급하여 인도차이나 지역을 "문명화"하겠다는 식민지 목표를 추진했습니다. 1906년까지 공공 서비스 사업에서 발생한 수익으로 CEE는 재정적 기반을 강화하고 SEVS와 같은 경쟁사를 인수해 사이공 전력망을 통제하게 됩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100.webp" /></p> <p class="image-caption">CEE's headquarter at 72 Hai Bà Trưng in the 1950s. Photo via historicvietnam.</p> <p>이 시기는 급속한 도시화로 특징 지어지며, 주거 및 산업 전력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기반 시설 개선이 필요했습니다. 이를 위해 알베르 사로(Albert Sarraut) 총독은 전력 배급과 관리를 표준화하는 법적 틀을 도입했습니다. 이후 CEE는 민간 고객에게 전력을 공급하며 네트워크를 확장하기 시작했습니다. 1912년 1월에는 쩌꽌(Chợ Quán) 발전소가 개소하면서 사이공, 쩌런(Chợ Lớn), 그리고 주변 지역을 연결하는 통합 전력 시스템의 시작을 알렸습니다.</p> <p>1920년대 중반까지 쩌런(Chợ Lớn)에 고압 전력망을 구축하는 대규모 업그레이드 프로젝트가 진행되었습니다. 이 고압 전력망은 변전소를 통해 주요 시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여기에는 총독궁, 오페라 하우스, 시청 같은 주요 건물과 푸토(Phú Thọ) 및 떤선녓(Tân Sơn Nhứt) 수도 펌프장 같은 필수 기반 시설이 포함되었습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17.webp" /></p> <p class="image-caption">Some substations still bear the CEE logo and the year of construction, like this one on Hai Bà Trưng Street, next to the Saigon Opera House.</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1.webp" /></p> <p class="image-caption">Cách Mạng Tháng 8 Street.</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12.webp" /></p> <p class="image-caption">Nguyễn Du Street.</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38.webp" /></p> <p class="image-caption">Lý Chính Thắng Street.</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21.webp" /></p> <p class="image-caption">Nguyễn Cư Trinh Street.</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55.webp" /></p> <p class="image-caption">Trần Hưng Đạo Street.</p> <p>이 변전소들을 통해 전기는 보다 효율적으로 분배되어, 수요가 높은 지역에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보장했습니다. 실제로 이 중앙집중식 시스템 덕에 CEE는 노후화된 기반 시설을 교체하고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새 발전소와 변전소가 가동되자, 전력 공급은 최대 50%까지 증가했습니다.</p> <p>도시 전역으로 전기가 공급되자 가로등에서부터 공기 순환, 건물 냉방에 이르기 까지 전반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켰다는 점에서 프랑스인과 베트남인 모두에게 높이 평가 받았습니다. "전기는 백인들에게 셀 수 없이 많은 편리함을 가져다 주었습니다. 이는 도시에 사는 베트남 사람들에게 크게 환영 받았고, 특히 중국인들에게 더욱 그러했습니다,"라고 한 CEE 보고서는 언급했습니다. 작가 응우옌 리엔 퐁(Nguyễn Liên Phong) 역시 까티낫(Catinat) 거리의 전등을 다음과 같은 베트남어 시로 찬양했습니다. "품위있고 세련되며, 우아한 면에서 비할 데 없다. 매끄러운 도로, 밝은 조명, 빛나는 포옹."</p> <p>1955년 프랑스가 베트남에서 철수한 이후, CEE는 1967년까지 현지 정부와의 협정에 따라 남베트남에서 계속 운영되었습니다. 그 시점부터 모든 기반 시설과 시설운영은 Sở Điện Lực(전력부)로 이관되었습니다.</p> <p>초기에 업무에 관여했던 사람들이 생각했던 것 이상으로, CEE의 오래된 변전소들 중 많은 수가 오늘날에도 여전히 가동되고 있습니다. 그래피티, 벗겨진 페인트, 나무들에 가려져 있기는 하지만, 이 유산들은 지금도 사이공의 사회 및 경제 성장을 밑받침 하는 연료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수십 년 더 이 도시를 굴러가게 할 것입니다.</p> <p>도시 곳곳에 흩어져 있는 이 역사적 랜드마크들을 아래 사진 시리즈를 통해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8.webp" /></p> <p class="image-caption">Cống Quỳnh Street.</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11.webp" /></p> <p class="image-caption">Lý Tự Trọng Street.</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23.webp" /></p> <p class="image-caption">Phan Liêm Sreet.</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20.webp" /></p> <p class="image-caption">Pasteur Street.</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29.webp" /></p> <p class="image-caption">Trần Hưng Đạo Street.</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16.webp" /></p> <p class="image-caption">Nguyễn Huệ Street.</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25.webp" /></p> <p class="image-caption">Trần Hưng Đạo Sreet.</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250.webp" /></p> <p class="image-caption">Nam Kỳ Khởi Nghĩa Street.</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251.webp" /></p> <p class="image-caption">Hồ Hảo Hớn Street.</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27.webp" /></p> <p class="image-caption">Trần Hưng Đạo Street.</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300.webp" /></p> <p class="image-caption">Nguyễn Văn Trỗi Street.</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44.webp" /></p> <p class="image-caption">Substations built after 1968 are marked with the initials SĐL, short for Sở Điện Lực (Department of Electricity). This one is on Nguyễn Trãi Street.</p></div> <div class="feed-description"><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web1.webp" data-og-image="//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fb1.webp" data-position="50% 50%" /></p> <p><em>사이공의 거리 곳곳에서 볼 수 있는 낡은 변전소들은 어두웠던 프랑스 식민지 시대의 유산이 되어 그 자리를 묵묵히 지키고 있습니다.</em></p> <p>프랑스 식민지 시대에 만들어진 사이공의 기반 시설에 대해 논할 때는, 주로 철도, 다리, 그리고 웅장한 식민지 시대 건물 같은 익숙한 상징물들이 주목을 받습니다.</p> <p>그러나 이런 화려한 주목은 받지 못하지만 그 무게는 같은 유산이 있습니다. 바로 사이공을 "극동의 진주"로 변화시키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한 전력망입니다. 이 변혁의 중심에는 프랑스 기업인 Compagnie des Eaux et Électricité (CEE)가 있었으며, 이 회사는 사이공과 인근 지역에까지 구석구석 안정적인 전력망을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134.webp"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p> <p class="image-caption">At the crossroads of Võ Thị Sáu and Hai Bà Trưng stands one of the CEE’s electrical substations, a relic from the French colonial era.</p> <p>전기가 인도차이나에 처음 도입된 것은 1870년대 전신망이 설치되면서였습니다. 당시 프랑스 식민 정부는 사이공을 성공적으로 점령했지만, 사이공에는 아직 현대적인 기반 시설이 충분하지 못해, 어두운 밤이 되면 코코넛 오일이나 등유로 밝힌 수백 개의 가로등에 의존해야 했습니다.</p> <p>가로등을 현대화하려는 제안은 기술적 어려움과 높은 비용 문제에 직면했습니다. 습한 기후로 인한 기술적 문제뿐만 아니라, 많은 식민 관료들조차도 사치라 여겼던 이 혁신의 천문학적인 비용을 둘러싼 논쟁도 있었습니다.</p> <p>그러나 오랜 논쟁 끝에 1889년 사이공 시의회는 전기 가로등의 시범 도입을 승인했습니다. 이후 Société d’Électricité de Saigon (SEVS)이 설립되어 현재 하이 바 쯩(Hai Bà Trưng) 거리인 폴 블랑쉬(Paul Blanchy) 거리의 첫번째 발전소를 관리하였습니다.&nbsp;</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200.webp" /></p> <p class="image-caption">Saigon's first electric plant. Photo via <em>historicvietnam</em>.</p> <p>초기 20년 동안에는 전력공급이 부족해 몇몇 행정업무구역과 노로돔(Norodom, 현재의 레즈언 Lê Duẩn), 블랑스뵈(Blancsubé, 현재의 팜응옥타치 Phạm Ngọc Thạch), 맥마혼(Mac-Mahon, 현재의 남끼응이아 Nam Kỳ Khởi Nghĩa) 같은 주요 대로에 우선적으로 전력이 공급되었습니다. 그러나 도시 인구가 증가하고 트램망이 확장되면서, 보다 종합적이고 현대적인 공공 전력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점점 커졌습니다.</p> <p>20세기 초, Compagnie des Eaux et Électricité (CEE)라는 새로운 회사가 설립되었습니다. 파리에 본사를 두고 초기 투자금 250만 프랑으로 시작한 이 회사는 사이공, 쩌런(Chợ Lớn), 그리고 프놈펜(Phnom Penh)에 물과 전력을 공급하여 인도차이나 지역을 "문명화"하겠다는 식민지 목표를 추진했습니다. 1906년까지 공공 서비스 사업에서 발생한 수익으로 CEE는 재정적 기반을 강화하고 SEVS와 같은 경쟁사를 인수해 사이공 전력망을 통제하게 됩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100.webp" /></p> <p class="image-caption">CEE's headquarter at 72 Hai Bà Trưng in the 1950s. Photo via historicvietnam.</p> <p>이 시기는 급속한 도시화로 특징 지어지며, 주거 및 산업 전력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기반 시설 개선이 필요했습니다. 이를 위해 알베르 사로(Albert Sarraut) 총독은 전력 배급과 관리를 표준화하는 법적 틀을 도입했습니다. 이후 CEE는 민간 고객에게 전력을 공급하며 네트워크를 확장하기 시작했습니다. 1912년 1월에는 쩌꽌(Chợ Quán) 발전소가 개소하면서 사이공, 쩌런(Chợ Lớn), 그리고 주변 지역을 연결하는 통합 전력 시스템의 시작을 알렸습니다.</p> <p>1920년대 중반까지 쩌런(Chợ Lớn)에 고압 전력망을 구축하는 대규모 업그레이드 프로젝트가 진행되었습니다. 이 고압 전력망은 변전소를 통해 주요 시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여기에는 총독궁, 오페라 하우스, 시청 같은 주요 건물과 푸토(Phú Thọ) 및 떤선녓(Tân Sơn Nhứt) 수도 펌프장 같은 필수 기반 시설이 포함되었습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17.webp" /></p> <p class="image-caption">Some substations still bear the CEE logo and the year of construction, like this one on Hai Bà Trưng Street, next to the Saigon Opera House.</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1.webp" /></p> <p class="image-caption">Cách Mạng Tháng 8 Street.</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12.webp" /></p> <p class="image-caption">Nguyễn Du Street.</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38.webp" /></p> <p class="image-caption">Lý Chính Thắng Street.</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21.webp" /></p> <p class="image-caption">Nguyễn Cư Trinh Street.</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55.webp" /></p> <p class="image-caption">Trần Hưng Đạo Street.</p> <p>이 변전소들을 통해 전기는 보다 효율적으로 분배되어, 수요가 높은 지역에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보장했습니다. 실제로 이 중앙집중식 시스템 덕에 CEE는 노후화된 기반 시설을 교체하고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새 발전소와 변전소가 가동되자, 전력 공급은 최대 50%까지 증가했습니다.</p> <p>도시 전역으로 전기가 공급되자 가로등에서부터 공기 순환, 건물 냉방에 이르기 까지 전반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켰다는 점에서 프랑스인과 베트남인 모두에게 높이 평가 받았습니다. "전기는 백인들에게 셀 수 없이 많은 편리함을 가져다 주었습니다. 이는 도시에 사는 베트남 사람들에게 크게 환영 받았고, 특히 중국인들에게 더욱 그러했습니다,"라고 한 CEE 보고서는 언급했습니다. 작가 응우옌 리엔 퐁(Nguyễn Liên Phong) 역시 까티낫(Catinat) 거리의 전등을 다음과 같은 베트남어 시로 찬양했습니다. "품위있고 세련되며, 우아한 면에서 비할 데 없다. 매끄러운 도로, 밝은 조명, 빛나는 포옹."</p> <p>1955년 프랑스가 베트남에서 철수한 이후, CEE는 1967년까지 현지 정부와의 협정에 따라 남베트남에서 계속 운영되었습니다. 그 시점부터 모든 기반 시설과 시설운영은 Sở Điện Lực(전력부)로 이관되었습니다.</p> <p>초기에 업무에 관여했던 사람들이 생각했던 것 이상으로, CEE의 오래된 변전소들 중 많은 수가 오늘날에도 여전히 가동되고 있습니다. 그래피티, 벗겨진 페인트, 나무들에 가려져 있기는 하지만, 이 유산들은 지금도 사이공의 사회 및 경제 성장을 밑받침 하는 연료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수십 년 더 이 도시를 굴러가게 할 것입니다.</p> <p>도시 곳곳에 흩어져 있는 이 역사적 랜드마크들을 아래 사진 시리즈를 통해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8.webp" /></p> <p class="image-caption">Cống Quỳnh Street.</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11.webp" /></p> <p class="image-caption">Lý Tự Trọng Street.</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23.webp" /></p> <p class="image-caption">Phan Liêm Sreet.</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20.webp" /></p> <p class="image-caption">Pasteur Street.</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29.webp" /></p> <p class="image-caption">Trần Hưng Đạo Street.</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16.webp" /></p> <p class="image-caption">Nguyễn Huệ Street.</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25.webp" /></p> <p class="image-caption">Trần Hưng Đạo Sreet.</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250.webp" /></p> <p class="image-caption">Nam Kỳ Khởi Nghĩa Street.</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251.webp" /></p> <p class="image-caption">Hồ Hảo Hớn Street.</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27.webp" /></p> <p class="image-caption">Trần Hưng Đạo Street.</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300.webp" /></p> <p class="image-caption">Nguyễn Văn Trỗi Street.</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11/06/cee/cee44.webp" /></p> <p class="image-caption">Substations built after 1968 are marked with the initials SĐL, short for Sở Điện Lực (Department of Electricity). This one is on Nguyễn Trãi Street.</p></div> 사이공의 유산인 상가주택(Shophouse), 무분별한 파괴로 위험에 처하다 2024-11-15T10:00:00+07:00 2024-11-15T10:00:00+07:00 https://kr.saigoneer.com/사이공/13589-사이공의-유산인-상가주택-shophouse-,-무분별한-파괴로-위험에-처하다 Tim Doling. info@saigoneer.com <div class="feed-description"><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11/15/shophouse/01.webp" data-og-image="//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11/15/shophouse/00.webp" data-position="50% 0%" /></p> <p><em>사이공의 가장 상징적인 건축 양식 중 하나인 식민지 시대의 상가주택(Shophouse)이 멸종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em></p> <p>상가주택은 전통적인 아시아 건축과 유럽 식민지 건축의 영향을 혼합한 독특한 양식으로, 캄보디아,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널리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전통적인 아시아식 주택 구조에서 파생되었지만, 유럽식 건축 요소가 강하게 드러납니다.</p> <p>역사적으로 건물에 대한 세금이 총 면적이 아니라 도로를 접하는 폭을 기준으로 부과되었기 때문에, 상가주택은 좁고 긴 형태를 띤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베트남의 전통적인 '통나무집(tube house)'과 유사하며, 내부에 작은 안뜰이나 뒷마당이 있어 휴식, 빨래 건조 등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p> <p>상가주택은 일반적으로 긴 연속된 테라스 형태로 무리지어 세워졌으며, 조적식 벽체(masonry wall)로 구분됩니다. 지붕은 대부분은 서양식 기와로 덮여 있으며 (경우에 따라 동양식 기와), 건물의 정면 장식(Façade ornamentation)은 동서양의 전통에서 영감을 받아 다양하게 꾸며집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11/15/shophouse/02.webp" /></p> <p class="image-caption">Three-story colonial shophouse at 93-99 Lương Nhữ Học, District 5. Photo by Tim Doling.</p> <p>사이공-쩌런(Saigon-Chợ Lớn) 지역의 초기 상가주택은 1860년대에 건축된 단층 구조로, 앞부분은 상점으로, 뒷부분은 주거 공간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이제는 몇 채만 남아있는 초기 건축물은 현지에서 사용되던 기본적인 벽돌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호이안(Hội An) 지역에서 볼 수 있는 화려한 단층 식민지 테라스와는 대조를 이룹니다.</p> <p>사이공-쩌런(Saigon-Chợ Lớn) 지역에서 볼 수 있는 가장 흔한 유형은 1860년대 처음 등장한 2층 상가주택으로, 1층에는 상점과 창고, 2층에는 주거 공간이 있었습니다. 현존하는 예로는 1군(Võ Văn Kiệt, Pasteur, Hàm Nghi, Nguyễn Huệ, Huỳnh Thúc Kháng, Đinh Tiên Hoàng)과 5군(Trần Hưng Đạo, Triệu Quang Phục, Hồng Bàng)에서 찾아볼 수 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11/15/shophouse/03.webp" /></p> <p class="image-caption">Two-story colonial shophouses at 26-56 Võ Văn Kiệt, District 1. Photo by Tim Doling.</p> <p>상인들의 경제적 성장에 따라 3층 구조의 대형 상가주택이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1층에 넓은 상업 공간, 위층에는 여유로운 주거 공간을 제공했습니다. 1890년대에 건축된 몇몇 화려한 상가주택은 현재 5군의 Hải Thượng Lãn Ông 거리에 남아 있으며, 대표적으로 45 Hải Thượng Lãn Ông 에 위치한 꽉담(Quách Đàm)의 Thông Hiệp 회사 본사가 있습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11/15/shophouse/04.webp" /></p> <p class="image-caption">Three-story colonial shophouse at 43-49 Hải Thượng Lãn Ông, District 5. Photo by Tim Doling.</p> <p>프랑스가 철수한 이후, 기존 식민지 양식과 현대적 디자인을 결합한 새로운 상가주택 건축이 이루어졌습니다.</p> <p>지난 10여년 동안 미흡한 유지보수와 문화유산으로서의 인식 부족으로 많은 상가주택이 파괴되거나 원래 모습을 잃었습니다. 특히, 4군의 Bến Nghé 운하 남쪽에 위치했던 우아한 테라스들의 철거는 큰 손실로 평가된다. 최근에도 1구역 Nguyễn Huệ 보행자 거리 남쪽에 위치한 다섯 채의 상가주택이 새로운 쇼핑센터 건설로 인해 철거되었습니다.</p> <p>사이공-쩌런(Saigon-Chợ Lớn)과 마찬가지로, 싱가포르에도 한때 수많은 상가주택이 있었으나, 1970년대 국가의 부주의한 개발과 현대화 추진 과정에서 대부분 파괴되었습니다. 1984년 Wong 보고서가 발표되기 전까지, 싱가포르 정부는 도시 유산의 가치를 제대로 평가하지 않았습니다. 이 보고서는 국가 건축유산의 손실이 관광객 수 감소의 주요 원인 중 하나라고 주장했습니다. 이 시점까지 익숙했던 도시 풍경의 파괴와 일상의 스트레스가 결합되어, 많은 싱가포르 사람들은 자신들의 뿌리를 상실했다고 느꼈습니다. 이후 정부는 도시 형성에서 역사, 기억, 유산의 중요한 역할을 인정하고, 남아 있는 싱가포르 역사적 건축물을 보호하고 보존하기 위한 대규모 프로그램을 시작했습니다. 오늘날 유산 관광(heritage tourism)은 싱가포르의 이미지를 활기찬 글로벌 도시로 강화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11/15/shophouse/05.webp" /></p> <p class="image-caption">Singapore shophouse architecture. Photo courtesy of <a href="http://www.shophouses.sg" target="_blank">www.shophouses.sg</a>.</p> <p>고(故) 리콴유(Lee Kuan Yew) 초대 총리는 1995년에 이렇게 말했습니다.</p> <p class="quote">"싱가포르에서 우리는 많은 실수를 했습니다. 예를 들어, 싱가포르를 재건하기 위해 서두르는 과정에서, 우리는 수많은 오래되고 아기자기한 싱가포르 건물을 철거했습니다. 그러다가 우리는 관광객들이 싱가포르에서 매력적이고 독특하게 여기는 우리의 문화유산을 파괴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철거를 멈췄습니다. 대신, 차이나타운, 리틀 인디아, 캄퐁 글람 같은 소수 민족 지구들과 황실구역(Empress Place), 옛 영국 사무국, 국회의사당, 대법원, 시청, 성공회 성당, 그리고 싱가포르 크리켓 클럽과 같은 식민지 시대의 건물들을 광범위하게 보존하고 복원했습니다. 이러한 지역들의 건축적, 문화적, 관광적 가치는 단순히 돈으로 환산할 수 없습니다. 우리는 조금 늦었지만, 다행히 우리의 과거를 상기시키고 관광객들에게도 이를 보여줄 수 있는 역사의 일부를 보존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이 관광명소들을 최고 수준의 서비스로 지원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습니다."</p> <p>싱가포르의 다양한 건축유산 중에서, 상가주택은 문화, 여가, 상업 시설로 재활용하는 데 가장 유연하고 적응력이 뛰어난 기반을 제공해 왔습니다. 현대 생활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채택적 재활용(adaptive reuse)” 원칙에 따라 복원되고 개조된 이들 건물은 현재 극장, 갤러리, 사무실, 호텔, 카페 및 상점 등 다양한 조직과 시설을 수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보트키(Boat Quay)나 에메랄드 힐(Emerald Hill) 같은 역사적 상가주택 테라스가 있는 지역에서는 최근 몇 년간 부동산 가격이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arl G Larson, Adaptive Re-Use, Singapore River 참조)</p> <p>최근 말레이시아도 “역사와 정체성의 표현으로서 건축유산에 대한 이해 고취”를 목표로 삼고 있으며(말레이시아 건축유산위원회, 2004), 현재는 유산 관광(heritage tourism)을 전체 서비스 분야로 확대되는 경제 전략의 핵심 요소로 삼고 있습니다. 복원된 상가주택은 다시 지역 주민들의 삶과 관광 홍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멜라카(Melaka)와 조지타운(Georgetown)의 상가주택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인정받았습니다.</p> <p>반면, 호치민시에서는 아직 개발과 보존 간의 균형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식민지 시대 건축물에 대한 목록조차 없으며, 이를 보호하기 위한 규정이나 구역 설정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결과적으로, 현재 남아 있는 식민지 시대 상가주택의 미래는 매우 암울해 보입니다.</p> <div class="smaller"><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11/15/shophouse/06.webp" /> <p class="image-caption">The continuing destruction of Saigon's colonial shophouse heritage: Nos 85-113 Nguyễn Huệ, pictured in March 2015 and in June 2015. To date Nos 89-99 have been demolished and others are expected to follow.</p> </div> <p>보존 단체인 Saigon Heritage Observatory는 사이공-쩌런(Saigon-Chợ Lớn)의 특정 유형의 유산 건축물을 소개하는 페이스북 그룹 페이지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 중 하나인 “Shophouse heritage Saigon Chợ Lớn - Cửa tiệm mặt phố di sản Sài Gòn Chợ Lớn” 페이지는 상가주택 건축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그룹에 가입해서 빠르게 사라져가는 이 유산에 대한 사진을 업로드하고 공유해 보시기 바랍니다.</p> <p><strong>이 기사는 2015년에 처음 게시되었습니다.</strong></p> <p><strong>Tim Doling is the author of the guidebooks Exploring Huế (Nhà Xuất Bản Thế Giới, Hà Nội, 2018), Exploring Saigon-Chợ Lớn (Nhà Xuất Bản Thế Giới, Hà Nội, 2019) and Exploring Quảng Nam (Nhà Xuất Bản Thế Giới, Hà Nội, 2020) and The Railways and Tramways of Việt Nam (White Lotus Press, 2012) For more information about Saigon history, visit his website,&nbsp;<a href="http://www.historicvietnam.com/" target="_blank">historicvietnam.com</a>.</strong></p></div> <div class="feed-description"><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11/15/shophouse/01.webp" data-og-image="//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11/15/shophouse/00.webp" data-position="50% 0%" /></p> <p><em>사이공의 가장 상징적인 건축 양식 중 하나인 식민지 시대의 상가주택(Shophouse)이 멸종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em></p> <p>상가주택은 전통적인 아시아 건축과 유럽 식민지 건축의 영향을 혼합한 독특한 양식으로, 캄보디아,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널리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전통적인 아시아식 주택 구조에서 파생되었지만, 유럽식 건축 요소가 강하게 드러납니다.</p> <p>역사적으로 건물에 대한 세금이 총 면적이 아니라 도로를 접하는 폭을 기준으로 부과되었기 때문에, 상가주택은 좁고 긴 형태를 띤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베트남의 전통적인 '통나무집(tube house)'과 유사하며, 내부에 작은 안뜰이나 뒷마당이 있어 휴식, 빨래 건조 등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p> <p>상가주택은 일반적으로 긴 연속된 테라스 형태로 무리지어 세워졌으며, 조적식 벽체(masonry wall)로 구분됩니다. 지붕은 대부분은 서양식 기와로 덮여 있으며 (경우에 따라 동양식 기와), 건물의 정면 장식(Façade ornamentation)은 동서양의 전통에서 영감을 받아 다양하게 꾸며집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11/15/shophouse/02.webp" /></p> <p class="image-caption">Three-story colonial shophouse at 93-99 Lương Nhữ Học, District 5. Photo by Tim Doling.</p> <p>사이공-쩌런(Saigon-Chợ Lớn) 지역의 초기 상가주택은 1860년대에 건축된 단층 구조로, 앞부분은 상점으로, 뒷부분은 주거 공간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이제는 몇 채만 남아있는 초기 건축물은 현지에서 사용되던 기본적인 벽돌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호이안(Hội An) 지역에서 볼 수 있는 화려한 단층 식민지 테라스와는 대조를 이룹니다.</p> <p>사이공-쩌런(Saigon-Chợ Lớn) 지역에서 볼 수 있는 가장 흔한 유형은 1860년대 처음 등장한 2층 상가주택으로, 1층에는 상점과 창고, 2층에는 주거 공간이 있었습니다. 현존하는 예로는 1군(Võ Văn Kiệt, Pasteur, Hàm Nghi, Nguyễn Huệ, Huỳnh Thúc Kháng, Đinh Tiên Hoàng)과 5군(Trần Hưng Đạo, Triệu Quang Phục, Hồng Bàng)에서 찾아볼 수 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11/15/shophouse/03.webp" /></p> <p class="image-caption">Two-story colonial shophouses at 26-56 Võ Văn Kiệt, District 1. Photo by Tim Doling.</p> <p>상인들의 경제적 성장에 따라 3층 구조의 대형 상가주택이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1층에 넓은 상업 공간, 위층에는 여유로운 주거 공간을 제공했습니다. 1890년대에 건축된 몇몇 화려한 상가주택은 현재 5군의 Hải Thượng Lãn Ông 거리에 남아 있으며, 대표적으로 45 Hải Thượng Lãn Ông 에 위치한 꽉담(Quách Đàm)의 Thông Hiệp 회사 본사가 있습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11/15/shophouse/04.webp" /></p> <p class="image-caption">Three-story colonial shophouse at 43-49 Hải Thượng Lãn Ông, District 5. Photo by Tim Doling.</p> <p>프랑스가 철수한 이후, 기존 식민지 양식과 현대적 디자인을 결합한 새로운 상가주택 건축이 이루어졌습니다.</p> <p>지난 10여년 동안 미흡한 유지보수와 문화유산으로서의 인식 부족으로 많은 상가주택이 파괴되거나 원래 모습을 잃었습니다. 특히, 4군의 Bến Nghé 운하 남쪽에 위치했던 우아한 테라스들의 철거는 큰 손실로 평가된다. 최근에도 1구역 Nguyễn Huệ 보행자 거리 남쪽에 위치한 다섯 채의 상가주택이 새로운 쇼핑센터 건설로 인해 철거되었습니다.</p> <p>사이공-쩌런(Saigon-Chợ Lớn)과 마찬가지로, 싱가포르에도 한때 수많은 상가주택이 있었으나, 1970년대 국가의 부주의한 개발과 현대화 추진 과정에서 대부분 파괴되었습니다. 1984년 Wong 보고서가 발표되기 전까지, 싱가포르 정부는 도시 유산의 가치를 제대로 평가하지 않았습니다. 이 보고서는 국가 건축유산의 손실이 관광객 수 감소의 주요 원인 중 하나라고 주장했습니다. 이 시점까지 익숙했던 도시 풍경의 파괴와 일상의 스트레스가 결합되어, 많은 싱가포르 사람들은 자신들의 뿌리를 상실했다고 느꼈습니다. 이후 정부는 도시 형성에서 역사, 기억, 유산의 중요한 역할을 인정하고, 남아 있는 싱가포르 역사적 건축물을 보호하고 보존하기 위한 대규모 프로그램을 시작했습니다. 오늘날 유산 관광(heritage tourism)은 싱가포르의 이미지를 활기찬 글로벌 도시로 강화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11/15/shophouse/05.webp" /></p> <p class="image-caption">Singapore shophouse architecture. Photo courtesy of <a href="http://www.shophouses.sg" target="_blank">www.shophouses.sg</a>.</p> <p>고(故) 리콴유(Lee Kuan Yew) 초대 총리는 1995년에 이렇게 말했습니다.</p> <p class="quote">"싱가포르에서 우리는 많은 실수를 했습니다. 예를 들어, 싱가포르를 재건하기 위해 서두르는 과정에서, 우리는 수많은 오래되고 아기자기한 싱가포르 건물을 철거했습니다. 그러다가 우리는 관광객들이 싱가포르에서 매력적이고 독특하게 여기는 우리의 문화유산을 파괴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철거를 멈췄습니다. 대신, 차이나타운, 리틀 인디아, 캄퐁 글람 같은 소수 민족 지구들과 황실구역(Empress Place), 옛 영국 사무국, 국회의사당, 대법원, 시청, 성공회 성당, 그리고 싱가포르 크리켓 클럽과 같은 식민지 시대의 건물들을 광범위하게 보존하고 복원했습니다. 이러한 지역들의 건축적, 문화적, 관광적 가치는 단순히 돈으로 환산할 수 없습니다. 우리는 조금 늦었지만, 다행히 우리의 과거를 상기시키고 관광객들에게도 이를 보여줄 수 있는 역사의 일부를 보존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이 관광명소들을 최고 수준의 서비스로 지원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습니다."</p> <p>싱가포르의 다양한 건축유산 중에서, 상가주택은 문화, 여가, 상업 시설로 재활용하는 데 가장 유연하고 적응력이 뛰어난 기반을 제공해 왔습니다. 현대 생활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채택적 재활용(adaptive reuse)” 원칙에 따라 복원되고 개조된 이들 건물은 현재 극장, 갤러리, 사무실, 호텔, 카페 및 상점 등 다양한 조직과 시설을 수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보트키(Boat Quay)나 에메랄드 힐(Emerald Hill) 같은 역사적 상가주택 테라스가 있는 지역에서는 최근 몇 년간 부동산 가격이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arl G Larson, Adaptive Re-Use, Singapore River 참조)</p> <p>최근 말레이시아도 “역사와 정체성의 표현으로서 건축유산에 대한 이해 고취”를 목표로 삼고 있으며(말레이시아 건축유산위원회, 2004), 현재는 유산 관광(heritage tourism)을 전체 서비스 분야로 확대되는 경제 전략의 핵심 요소로 삼고 있습니다. 복원된 상가주택은 다시 지역 주민들의 삶과 관광 홍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멜라카(Melaka)와 조지타운(Georgetown)의 상가주택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인정받았습니다.</p> <p>반면, 호치민시에서는 아직 개발과 보존 간의 균형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식민지 시대 건축물에 대한 목록조차 없으며, 이를 보호하기 위한 규정이나 구역 설정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결과적으로, 현재 남아 있는 식민지 시대 상가주택의 미래는 매우 암울해 보입니다.</p> <div class="smaller"><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11/15/shophouse/06.webp" /> <p class="image-caption">The continuing destruction of Saigon's colonial shophouse heritage: Nos 85-113 Nguyễn Huệ, pictured in March 2015 and in June 2015. To date Nos 89-99 have been demolished and others are expected to follow.</p> </div> <p>보존 단체인 Saigon Heritage Observatory는 사이공-쩌런(Saigon-Chợ Lớn)의 특정 유형의 유산 건축물을 소개하는 페이스북 그룹 페이지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 중 하나인 “Shophouse heritage Saigon Chợ Lớn - Cửa tiệm mặt phố di sản Sài Gòn Chợ Lớn” 페이지는 상가주택 건축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그룹에 가입해서 빠르게 사라져가는 이 유산에 대한 사진을 업로드하고 공유해 보시기 바랍니다.</p> <p><strong>이 기사는 2015년에 처음 게시되었습니다.</strong></p> <p><strong>Tim Doling is the author of the guidebooks Exploring Huế (Nhà Xuất Bản Thế Giới, Hà Nội, 2018), Exploring Saigon-Chợ Lớn (Nhà Xuất Bản Thế Giới, Hà Nội, 2019) and Exploring Quảng Nam (Nhà Xuất Bản Thế Giới, Hà Nội, 2020) and The Railways and Tramways of Việt Nam (White Lotus Press, 2012) For more information about Saigon history, visit his website,&nbsp;<a href="http://www.historicvietnam.com/" target="_blank">historicvietnam.com</a>.</strong></p></div> 호치민 시내 교통 체증이 가장 심한 도로는? 2024-10-31T11:00:00+07:00 2024-10-31T11:00:00+07:00 https://kr.saigoneer.com/사이공/13585-호치민-시내-교통-체증이-가장-심한-도로는 Saigoneer. Photo by Kevin Lee. info@saigoneer.com <div class="feed-description"><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10/31/trafficjam0.webp" data-og-image="//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10/31/trafficjam0.webp" data-position="50% 50%" /></p> <p>호치민의 인구밀도가 전례 없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시내 도로의 교통 혼잡도도 나날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호치민시 교통부에서는 빈번하게 교통 정체가 발생하는 도로 Top 5를 발표하였습니다. &nbsp;</p> <div class="centered"><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10/30/road/jam01.webp" /> <p class="image-caption">Nguyễn Tất Thành Street. Photo via&nbsp;<em><a href="https://tuoitre.vn/duong-nguyen-tat-thanh-moi-chieu-o-to-chiem-2-hang-xe-may-leo-via-he-20241023091444996.htm" target="_blank">Tuổi Trẻ</a></em>.</p> </div> <p>호치민시 교통부에 따르면, 4군과 7군을 연결하는 Nguyễn Tất Thành 도로가 올해 9개월 동안 811번의 교통체증발생으로 가장 혼잡한 도로에 이름을 올렸습니다.</p> <p>현재까지의 교통체증발생 빈도로 보면, Nguyễn Tất Thành 도로는 작년도 호치민시 도시 최고 기록인 978번을 뛰어 넘을 것으로 보입니다. 남부 지역에서 시내로 드나드는 주요 경로 역할을 하는 이 3km 도로는 아침과 저녁 출퇴근 시간대 교통 체증이 심각합니다.</p> <p>Nguyễn Tất Thành 도로를 주행하는 운전자들은 교통 규칙을 자주 어기고 연석에 올라타서 주행하면서 주변 상점이나 입주민에 피해를 준다고 합니다. 또 이 도로는 현재 허용치의 140%로 운영되고 있어서 작은 사고라도 나면 그로 인한 교통정체가 더 심각해집니다. 우기와 학생들의 학기 중에는 더 최악의 상황이 되고요.</p> <p>Nguyễn Tất Thành 도로의 사정은 호치민 내 교통량이 많은 다른 곳에서도 비슷합니다. 올해 첫 9개월 동안 Xô Viết Nghệ-Tĩnh는 615번, Đinh Bộ Lĩnh-Bạch Đằng 교차로는 588번의 교통 체증을 각각 나타냈습니다. Âu Cơ로와 Tân Kỳ Tân Quý로 사이의 Trường Chinh 도로는 569번을, An Phú 교차로는 554번의 교통 체증을 보였고요.</p> <div class="one-row">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10/30/road/jam02.webp"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10/30/road/jam03.webp" /></div> </div> <p class="image-caption">Regular traffic observed on Nguyễn Tất Thành Street. Photo via&nbsp;<em><a href="https://tuoitre.vn/duong-nguyen-tat-thanh-moi-chieu-o-to-chiem-2-hang-xe-may-leo-via-he-20241023091444996.htm" target="_blank">Tuổi Trẻ</a></em>.</p> <p>이러한 교통 체증에 대한 대책이 제안된 바는 있지만, 가시적인 해결책은 아직 없습니다. 2015년에 제시된 가장 최근의 계획은 현재 4차선 도로의 폭을 14m에서 구간에 따라 37m 또는 46m로 확장하는 것이었습니다만, 이 계획은 지연과 자금 문제로 인해 승인이 철회되었습니다. 대형 트럭운행 금지나 주차 금지와 같은 소규모 조치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습니다.</p> <p>교통 체증으로 인한 피해가 가장 심각한 일부 지역에 다양한 도로 확장안도 제시되었지만, 실제로 이행이 되지는 않고 있습니다. 한편, 정부는 운행계획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앱, 웹사이트, 디지털 표지판 사용을 추진하고 있습니다.</p> <p>앞에서 언급된 교통 체증의 원인 외에도, 호치민의 운전자 수, 특히 자동차의 수가 증가하면서 상황이 악화되고 있습니다. 호치민에는 840만 대 이상의 오토바이와 100만 대의 자동차가 있으며, 지난 15년 동안 그 수가 500만 대 이상 증가했습니다. 올해만 해도 자동차 등록은 7%, 오토바이 등록은 4.5%나 증가했습니다.</p></div> <div class="feed-description"><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10/31/trafficjam0.webp" data-og-image="//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10/31/trafficjam0.webp" data-position="50% 50%" /></p> <p>호치민의 인구밀도가 전례 없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시내 도로의 교통 혼잡도도 나날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호치민시 교통부에서는 빈번하게 교통 정체가 발생하는 도로 Top 5를 발표하였습니다. &nbsp;</p> <div class="centered"><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10/30/road/jam01.webp" /> <p class="image-caption">Nguyễn Tất Thành Street. Photo via&nbsp;<em><a href="https://tuoitre.vn/duong-nguyen-tat-thanh-moi-chieu-o-to-chiem-2-hang-xe-may-leo-via-he-20241023091444996.htm" target="_blank">Tuổi Trẻ</a></em>.</p> </div> <p>호치민시 교통부에 따르면, 4군과 7군을 연결하는 Nguyễn Tất Thành 도로가 올해 9개월 동안 811번의 교통체증발생으로 가장 혼잡한 도로에 이름을 올렸습니다.</p> <p>현재까지의 교통체증발생 빈도로 보면, Nguyễn Tất Thành 도로는 작년도 호치민시 도시 최고 기록인 978번을 뛰어 넘을 것으로 보입니다. 남부 지역에서 시내로 드나드는 주요 경로 역할을 하는 이 3km 도로는 아침과 저녁 출퇴근 시간대 교통 체증이 심각합니다.</p> <p>Nguyễn Tất Thành 도로를 주행하는 운전자들은 교통 규칙을 자주 어기고 연석에 올라타서 주행하면서 주변 상점이나 입주민에 피해를 준다고 합니다. 또 이 도로는 현재 허용치의 140%로 운영되고 있어서 작은 사고라도 나면 그로 인한 교통정체가 더 심각해집니다. 우기와 학생들의 학기 중에는 더 최악의 상황이 되고요.</p> <p>Nguyễn Tất Thành 도로의 사정은 호치민 내 교통량이 많은 다른 곳에서도 비슷합니다. 올해 첫 9개월 동안 Xô Viết Nghệ-Tĩnh는 615번, Đinh Bộ Lĩnh-Bạch Đằng 교차로는 588번의 교통 체증을 각각 나타냈습니다. Âu Cơ로와 Tân Kỳ Tân Quý로 사이의 Trường Chinh 도로는 569번을, An Phú 교차로는 554번의 교통 체증을 보였고요.</p> <div class="one-row">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10/30/road/jam02.webp"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10/30/road/jam03.webp" /></div> </div> <p class="image-caption">Regular traffic observed on Nguyễn Tất Thành Street. Photo via&nbsp;<em><a href="https://tuoitre.vn/duong-nguyen-tat-thanh-moi-chieu-o-to-chiem-2-hang-xe-may-leo-via-he-20241023091444996.htm" target="_blank">Tuổi Trẻ</a></em>.</p> <p>이러한 교통 체증에 대한 대책이 제안된 바는 있지만, 가시적인 해결책은 아직 없습니다. 2015년에 제시된 가장 최근의 계획은 현재 4차선 도로의 폭을 14m에서 구간에 따라 37m 또는 46m로 확장하는 것이었습니다만, 이 계획은 지연과 자금 문제로 인해 승인이 철회되었습니다. 대형 트럭운행 금지나 주차 금지와 같은 소규모 조치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습니다.</p> <p>교통 체증으로 인한 피해가 가장 심각한 일부 지역에 다양한 도로 확장안도 제시되었지만, 실제로 이행이 되지는 않고 있습니다. 한편, 정부는 운행계획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앱, 웹사이트, 디지털 표지판 사용을 추진하고 있습니다.</p> <p>앞에서 언급된 교통 체증의 원인 외에도, 호치민의 운전자 수, 특히 자동차의 수가 증가하면서 상황이 악화되고 있습니다. 호치민에는 840만 대 이상의 오토바이와 100만 대의 자동차가 있으며, 지난 15년 동안 그 수가 500만 대 이상 증가했습니다. 올해만 해도 자동차 등록은 7%, 오토바이 등록은 4.5%나 증가했습니다.</p></div> 사이공의 매력적인 숨은 제3의 공간: 다리 그늘 아래서 2024-10-06T12:00:00+07:00 2024-10-06T12:00:00+07:00 https://kr.saigoneer.com/사이공/13578-사이공의-매력적인-숨은-제3의-공간-다리-그늘-아래서 Uyên Đỗ. Nikolai Sokolov. info@saigoneer.com <div class="feed-description"><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3.webp" data-og-image="//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9/30/fb-bridge0.webp" data-position="50% 100%" /></p> <p><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제</span>3<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장소</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명사</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집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직장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아닌</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외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공간으로</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사람들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만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사회적으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교류하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장소</span>.</p> <p><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우리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집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아니지만</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집처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편안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곳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찾기</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위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어디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가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할까요</span>?</p> <p><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집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아니고</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직장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아닌</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제</span>3<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장소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일상에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벗어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공간으로</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새로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사람들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교류하고</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관계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형성할</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만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편안함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느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있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곳입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사회학자</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레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올든버그</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처음으로</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제</span>3<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장소</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라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용어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만들었으며</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이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공통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가치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자리</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잡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문화적</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인큐베이터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설명했습니다</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공간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사람들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서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대화하고</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자신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정체성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표현하며</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플라토닉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유대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로맨틱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관계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통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소속감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찾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있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곳입니다</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제</span>3<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장소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동네</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바</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아늑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헌책방</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또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사원처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다양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형태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나타나며</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각</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사회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문화적</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구조에</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맞춰</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끊임없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변화합니다</span>.</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9.webp" /></p> <p class="image-caption">사이공에는 200개가 넘는 다리가 있습니다.</p> <p><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베트남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주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도시에서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급속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경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발전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도시화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인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공원</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도서관</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놀이터</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같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공공</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시설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무료</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공동</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공간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점차</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줄어들고</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있습니다</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이러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공간들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모든</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사람들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쉽게</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접근할</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있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가장</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자연스러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제</span>3<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장소입니다</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그러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인간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연결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강인하며</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도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기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시설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남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틈새</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속에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비공식적인</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제</span>3<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장소들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새롭게</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등장했습니다</span>.</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4.webp" /></p> <p data-pm-slice="1 1 []">바손 다리 아래에서 쉬고 있는 노동자들.</p> <p><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러시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출신</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사진작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니콜라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소콜로프는</span> 2019<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년에</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베트남으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이주했습니다</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그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작업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점차</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추상</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사진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풍경</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사진에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거리</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사진으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변해갔으며</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그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매료시킨</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것은</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이곳</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사람들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삶</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이었습니다</span>. 2024<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여름</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그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사이공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많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다리</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밑에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일상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순간들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포착하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데</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시간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보냈습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저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베트남</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전역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여행하면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다리</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밑에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햇볕이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비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피하곤</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했습니다</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특히</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남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지역에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많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사람들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다리</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아래에</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앉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있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것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보게</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되었어요</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다리마다</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특별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무언가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있었고</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각기</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다른</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이야기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품고</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있었습니다</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어느</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날</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남자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제게</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사진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찍어달라고</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부탁했는데</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그</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순간부터</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사람들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삶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기록하고</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싶다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확신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들었습니다</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얼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하나하나</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시선</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하나하나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이야기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담고</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있었어요</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그리고</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저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그</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이야기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공유하고</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싶었습니다</span>."</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6.webp"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p> <p class="image-caption">시리즈의 첫 번째 사진.</p> <p><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다리들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흔히</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제</span>3<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장소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여겨지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않고</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보통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통행자들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어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없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지나치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곳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뿐입니다</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그러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니콜라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소콜로프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흑백</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사진에서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가려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다리들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고요하면서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활기찬</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성소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되살아납니다</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딱딱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콘크리트</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구조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아래에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거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땅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놀이터</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친구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가족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모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장소</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혹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도시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끊임없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움직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속에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잠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쉬어갈</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있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공간으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변모합니다</span>.</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27.webp" /></p> <p data-pm-slice="1 1 []">자유롭게 풀어놓은 오리들, 가까운 다리 아래에서 쉽게 볼 수 있어요.</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5.webp" /></p> <p class="image-caption">더운 오후, 그늘에서 그네를 타며 느끼는 달콤한 기쁨.</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11.webp" /></p> <p data-pm-slice="1 1 []">투계 클럽의 첫 번째 규칙: 투계 클럽에 대해 말하지 않는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7.webp" /></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12.webp" /></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13.webp" /></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14.webp" /></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17.webp" /></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18.webp" /></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19.webp" /></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20.webp" /></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21.webp" /></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22.webp" /></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23.webp" /></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24.webp" /></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25.webp" /></p> <p class="image-caption"><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26.webp"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28.webp" /></p></div> <div class="feed-description"><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3.webp" data-og-image="//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9/30/fb-bridge0.webp" data-position="50% 100%" /></p> <p><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제</span>3<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장소</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명사</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집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직장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아닌</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외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공간으로</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사람들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만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사회적으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교류하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장소</span>.</p> <p><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우리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집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아니지만</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집처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편안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곳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찾기</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위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어디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가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할까요</span>?</p> <p><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집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아니고</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직장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아닌</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제</span>3<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장소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일상에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벗어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공간으로</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새로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사람들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교류하고</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관계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형성할</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만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편안함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느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있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곳입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사회학자</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레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올든버그</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처음으로</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제</span>3<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장소</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라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용어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만들었으며</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이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공통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가치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자리</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잡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문화적</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인큐베이터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설명했습니다</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공간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사람들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서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대화하고</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자신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정체성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표현하며</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플라토닉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유대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로맨틱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관계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통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소속감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찾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있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곳입니다</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제</span>3<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장소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동네</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바</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아늑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헌책방</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또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사원처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다양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형태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나타나며</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각</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사회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문화적</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구조에</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맞춰</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끊임없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변화합니다</span>.</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9.webp" /></p> <p class="image-caption">사이공에는 200개가 넘는 다리가 있습니다.</p> <p><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베트남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주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도시에서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급속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경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발전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도시화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인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공원</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도서관</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놀이터</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같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공공</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시설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무료</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공동</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공간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점차</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줄어들고</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있습니다</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이러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공간들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모든</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사람들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쉽게</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접근할</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있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가장</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자연스러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제</span>3<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장소입니다</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그러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인간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연결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강인하며</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도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기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시설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남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틈새</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속에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비공식적인</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제</span>3<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장소들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새롭게</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등장했습니다</span>.</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4.webp" /></p> <p data-pm-slice="1 1 []">바손 다리 아래에서 쉬고 있는 노동자들.</p> <p><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러시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출신</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사진작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니콜라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소콜로프는</span> 2019<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년에</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베트남으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이주했습니다</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그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작업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점차</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추상</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사진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풍경</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사진에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거리</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사진으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변해갔으며</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그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매료시킨</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것은</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이곳</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사람들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삶</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이었습니다</span>. 2024<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여름</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그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사이공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많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다리</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밑에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일상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순간들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포착하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데</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시간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보냈습니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저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베트남</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전역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여행하면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다리</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밑에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햇볕이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비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피하곤</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했습니다</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특히</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남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지역에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많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사람들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다리</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아래에</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앉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있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것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보게</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되었어요</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다리마다</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특별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무언가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있었고</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각기</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다른</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이야기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품고</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있었습니다</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어느</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날</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남자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제게</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사진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찍어달라고</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부탁했는데</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그</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순간부터</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사람들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삶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기록하고</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싶다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확신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들었습니다</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얼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하나하나</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시선</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하나하나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이야기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담고</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있었어요</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그리고</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저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그</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이야기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공유하고</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싶었습니다</span>."</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6.webp"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p> <p class="image-caption">시리즈의 첫 번째 사진.</p> <p><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다리들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흔히</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제</span>3<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장소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여겨지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않고</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보통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통행자들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어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없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지나치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곳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뿐입니다</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그러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니콜라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소콜로프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흑백</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사진에서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가려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다리들이</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고요하면서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활기찬</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성소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되살아납니다</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딱딱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콘크리트</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구조물</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아래에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거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땅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놀이터</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친구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가족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모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장소</span>, <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혹은</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도시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끊임없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움직임</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속에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잠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쉬어갈</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수</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있는</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공간으로</span><span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sans-serif;">변모합니다</span>.</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27.webp" /></p> <p data-pm-slice="1 1 []">자유롭게 풀어놓은 오리들, 가까운 다리 아래에서 쉽게 볼 수 있어요.</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5.webp" /></p> <p class="image-caption">더운 오후, 그늘에서 그네를 타며 느끼는 달콤한 기쁨.</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11.webp" /></p> <p data-pm-slice="1 1 []">투계 클럽의 첫 번째 규칙: 투계 클럽에 대해 말하지 않는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7.webp" /></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12.webp" /></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13.webp" /></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14.webp" /></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17.webp" /></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18.webp" /></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19.webp" /></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20.webp" /></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21.webp" /></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22.webp" /></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23.webp" /></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24.webp" /></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25.webp" /></p> <p class="image-caption"><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26.webp"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4/09/25/bridge/bridge28.webp" /></p></div> 자부심의 원천: 사이공 우체국에 벤자민 프랭클린 2024-09-22T13:00:00+07:00 2024-09-22T13:00:00+07:00 https://kr.saigoneer.com/사이공/13574-자부심의-원천-사이공-우체국에-벤자민-프랭클린 Paul Christiansen. Photo by Alberto Prieto. info@saigoneer.com <div class="feed-description"><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9/16/PO1.webp" data-og-image="//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9/22/ben0.webp" data-position="50% 99%" /></p> <p><em>사이공에서 미국의 흔적을 발견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em></p> <p>작은 유럽 산간 마을에서 진한 쌀국수(Phở) 향을 감지하거나, 외국 뉴스 가판대에서 낯익은 베트남어 성조가 있는 기사를 발견하거나, 먼 도시의 대중교통에서 완벽한 후에(Huế) 억양을 우연히 듣는 일: 고향에서 멀리 떨어져 있을 때 베트남의 요소를 뜻밖에 마주하는 것이 얼마나 위안이 되는지에 대해 많이 들었습니다. 아마 베트남에 사는 많은 외국인들에게도 그 반대의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미국인이 사이공에 살면서 이 경험에 대한 적절한 비유를 찾기란 쉽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제 모국의 문화적 영향력, 그리고 그 외의 다양한 요소들이 전 세계에 퍼져 있기 때문입니다.</p> <p>패션 브랜드에서 영화 포스터, 기술 회사들에 이르기까지, 심지어 전시된 전투기들까지 언급하지 않더라도, 2024년의 베트남 거리에서 미국의 흔적을 피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는 정말로 감상에 젖는 단 한 곳이 있습니다. 바로 사이공 중앙 우체국 앞입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9/16/PO2.webp" /></p> <p data-pm-slice="1 1 []">1895년 Firmin André Salles가 촬영한 사이공 중앙 우체국의 사진. 이미지 출처: Flickr 사용자 manhhai.</p> <p>1886년에서 1891년 사이에 건설된 사이공 중앙 우체국은 종종 잘못해서 귀스타브 에펠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프랑스 건축가 알프레드 풀루(Alfred Foulhoux)가 설계한 것입니다. 이 식민지 시대 건축물은 고딕과 르네상스 요소가 어우러진 디자인으로, 과학과 기술 발전을 기념하는 기념비로 설계되었습니다. 내부에는 이 지역의 초기 전신 노선을 묘사한 대형 벽화가 있으며, 건물의 외벽에는 초기 통신 기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 과학자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습니다.</p> <div class="third-width left"><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9/16/PO3.webp" /></div> <p>안타깝게도, 베트남 인물들에 대한 존경은 전혀 나타나지 않습니다. 예상할 수 있듯이, 프랑스 때문에 새겨진 이름들은 모두 프랑스인들이고, 단 한 명의 예외가 있습니다. 바로 벤자민 프랭클린입니다. 프랭클린은 이중 초점 안경, 카테터, 유리 아르모니카 등 수많은 발명품을 남겼으며, 미국의 "건국의 아버지" 중 한 명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특히 그는 과학 혁신을 앞당긴 피뢰침 발명으로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과학적 발전의 여세는 위성과 스마트폰을 통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p> <div class="third-width right"><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9/16/PO5.webp" /> <p data-pm-slice="1 1 []">1775년에 Joseph Siffrein Duplessis가 그린 벤자민 프랭클린의 초상화. 이미지 출처: Wikimedia.</p> </div> <p>프랭클린은 그 시대를 반영한 결점 있는 인물이었지만, 제게는 개인적인 영웅 중 한 명입니다. 그는 끝없는 호기심과 근면함을 지녔고, 고상한 예술에 대한 경외심과 더불어 소박한 재치와 유머를 겸비한 인물이었습니다. 사이공에서 보이는 수많은 미국 제국주의의 흔적들 중에서도 그의 이름은 저를 자부심으로 가득 차게 합니다. 그것은 우리가 사이공을 포함한 여러 곳에 소비주의와 무례한 자기 집착을 수출하는 것과는 별개로, 미국이 세상에 줄 수 있는 좋은 점들이 많다는 사실을 상기시켜 줍니다. 그래서 우체국을 지날 때마다 저는 프랭클린의 많은 조언 중 하나를 떠올리곤 합니다: "당신이 죽고 썩은 후에도 잊히지 않으려면, 읽을 가치가 있는 것을 쓰거나, 글로 남을 만한 일을 하라."</p></div> <div class="feed-description"><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9/16/PO1.webp" data-og-image="//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9/22/ben0.webp" data-position="50% 99%" /></p> <p><em>사이공에서 미국의 흔적을 발견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em></p> <p>작은 유럽 산간 마을에서 진한 쌀국수(Phở) 향을 감지하거나, 외국 뉴스 가판대에서 낯익은 베트남어 성조가 있는 기사를 발견하거나, 먼 도시의 대중교통에서 완벽한 후에(Huế) 억양을 우연히 듣는 일: 고향에서 멀리 떨어져 있을 때 베트남의 요소를 뜻밖에 마주하는 것이 얼마나 위안이 되는지에 대해 많이 들었습니다. 아마 베트남에 사는 많은 외국인들에게도 그 반대의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미국인이 사이공에 살면서 이 경험에 대한 적절한 비유를 찾기란 쉽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제 모국의 문화적 영향력, 그리고 그 외의 다양한 요소들이 전 세계에 퍼져 있기 때문입니다.</p> <p>패션 브랜드에서 영화 포스터, 기술 회사들에 이르기까지, 심지어 전시된 전투기들까지 언급하지 않더라도, 2024년의 베트남 거리에서 미국의 흔적을 피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는 정말로 감상에 젖는 단 한 곳이 있습니다. 바로 사이공 중앙 우체국 앞입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9/16/PO2.webp" /></p> <p data-pm-slice="1 1 []">1895년 Firmin André Salles가 촬영한 사이공 중앙 우체국의 사진. 이미지 출처: Flickr 사용자 manhhai.</p> <p>1886년에서 1891년 사이에 건설된 사이공 중앙 우체국은 종종 잘못해서 귀스타브 에펠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프랑스 건축가 알프레드 풀루(Alfred Foulhoux)가 설계한 것입니다. 이 식민지 시대 건축물은 고딕과 르네상스 요소가 어우러진 디자인으로, 과학과 기술 발전을 기념하는 기념비로 설계되었습니다. 내부에는 이 지역의 초기 전신 노선을 묘사한 대형 벽화가 있으며, 건물의 외벽에는 초기 통신 기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 과학자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습니다.</p> <div class="third-width left"><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9/16/PO3.webp" /></div> <p>안타깝게도, 베트남 인물들에 대한 존경은 전혀 나타나지 않습니다. 예상할 수 있듯이, 프랑스 때문에 새겨진 이름들은 모두 프랑스인들이고, 단 한 명의 예외가 있습니다. 바로 벤자민 프랭클린입니다. 프랭클린은 이중 초점 안경, 카테터, 유리 아르모니카 등 수많은 발명품을 남겼으며, 미국의 "건국의 아버지" 중 한 명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특히 그는 과학 혁신을 앞당긴 피뢰침 발명으로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과학적 발전의 여세는 위성과 스마트폰을 통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p> <div class="third-width right"><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9/16/PO5.webp" /> <p data-pm-slice="1 1 []">1775년에 Joseph Siffrein Duplessis가 그린 벤자민 프랭클린의 초상화. 이미지 출처: Wikimedia.</p> </div> <p>프랭클린은 그 시대를 반영한 결점 있는 인물이었지만, 제게는 개인적인 영웅 중 한 명입니다. 그는 끝없는 호기심과 근면함을 지녔고, 고상한 예술에 대한 경외심과 더불어 소박한 재치와 유머를 겸비한 인물이었습니다. 사이공에서 보이는 수많은 미국 제국주의의 흔적들 중에서도 그의 이름은 저를 자부심으로 가득 차게 합니다. 그것은 우리가 사이공을 포함한 여러 곳에 소비주의와 무례한 자기 집착을 수출하는 것과는 별개로, 미국이 세상에 줄 수 있는 좋은 점들이 많다는 사실을 상기시켜 줍니다. 그래서 우체국을 지날 때마다 저는 프랭클린의 많은 조언 중 하나를 떠올리곤 합니다: "당신이 죽고 썩은 후에도 잊히지 않으려면, 읽을 가치가 있는 것을 쓰거나, 글로 남을 만한 일을 하라."</p></div> 사이공 도심에 있는 비둘기 집의 추억과 마지막 날들 2024-09-13T10:00:00+07:00 2024-09-13T10:00:00+07:00 https://kr.saigoneer.com/사이공/13567-사이공-도심에-있는-비둘기-집의-추억과-마지막-날들 Dana Filek-Gibson. Photos by Lee Starnes. info@saigoneer.com <div class="feed-description"><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legacy/9fHpeGf.jpg" /></p> <p><em>처음으로 빠스떼르 비둘기 집을 방문했을 때, 레반 아우(Lê Văn Âu)는 이곳이 없어지지 않을 거라고 저에게 확신했습니다.</em></p> <p><strong>편집자 노트: 이 기사는 원래 2017년에 발행되었습니다. 안타깝게도 비둘기 집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 자리에 있던 부지가 완전히 철거되었기 때문입니다.</strong></p> <p>어느 날 오후, 그는 건물 뒤쪽에 숨겨져 있는 상당한 양의 가구들 사이에서 모습을 드러냅니다. 이곳에서 중년의 남성과 그의 직원들은 오래된 나무 가구를 복원하고 있었습니다. 그의 작업장 오른쪽에는 비어 있는 부지가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데, 빠스떼르(Pasteur)와 응우옌 후에(Nguyễn Huệ) 사이의 레러이(Lê Lợi) 블록에서 택스 센터가 철거되고, 그 주변 상점들이 철거되어 곧 들어설 40층짜리 고층 빌딩을 위한 자리를 마련 중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우(Âu)는 주변의 철거 작업에 대해 그다지 걱정하는 것 같지 않았습니다.&nbsp;</p> <p>우리 앞에는 빠르게 사라져가는 거리의 상점들과 달리, 벽을 따라 정돈된 비둘기집들이 줄지어 있어 과거가 생생히 살아 숨쉬고 있었습니다. 몇몇 비둘기집은 비둘기들이 사라진 후 자라난 큰 나무로 인해 가려져 있었습니다. 요즘 빠스떼르 비둘기 집은 비어 있지만, 아우(Âu)에 따르면 사진작가들, 지나가는 사람들, 그리고 호기심 많은 관광객들이 하루 종일 찾아와 이 오래된 구조물과 톤탓티엡(Tôn Thất Thiệp) 거리 끝에 자리한 힌두 사원 사이의 풀밭을 둘러본다고 합니다.</p> <p>땅 가까운 곳에는 두껍고 검은 글씨로 "Pigeon’s Case since 1920"라고 적혀 있습니다. 이 낙서가 실제로 1920년대부터 있었을 가능성은 거의 없지만, 아우(Âu)는 이 비둘기집들이 1910년대 후반 또는 1920년대 초반부터 존재해 왔다고 말합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legacy/sLNV7h5.jpg" /></p> <p>가구 수집가인 아우(Âu)에 따르면, 빠스떼르 비둘기 집은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된 적이 없습니다. 대신, 사람들은 그곳에 와서 비둘기들에게 먹이를 주곤 했습니다. 이후 비둘기 집은 사용되지 않게 되었고, 비둘기들은 점차 사라졌지만, 그가 어디로 갔는지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정확히 비둘기들이 언제 떠났는지 말하기는 어렵지만, 아우가 이곳에서 20년간 살면서 비둘기집이 사용된 적은 한 번도 없었다고 합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legacy/p5HI25B.jpg" /></p> <p>하지만 두 번째로 빠스떼르(Pasteur)와 레러이(Lê Lợi) 모퉁이에 도착했을 때, 상황은 달라져 있었습니다. 안전모를 쓴 한 남자가 비둘기집 위에서 빨간색, 흰색, 파란색의 방수포를 덮고 있었습니다. 맞은편 건물은 철거 중이었고, 모두 철거를 피하기 위해 몇 발짝 오른쪽으로 자리를 옮겨야 했습니다. 빈티지 가구로 가득한 야외 파빌리온 형태의 그의 사무실에 앉아 있는 동안, 아우(Âu)는 의자에 기대어 더 철학적인 관점을 취했습니다.</p> <p>"모든 것은 운명을 가지고 있어요. 사람도 운명이 있고, 사물도 운명이 있죠,"라고 그는 사이공이어와의 인터뷰에서 베트남어로 말했습니다. "영원한 것은 없습니다."</p> <p>우리는 교통 소음과 공사 차량 소리가 뒤섞인 가운데 비둘기집의 역사를 되짚으며 조금 더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아우(Âu)는 가끔씩 뒤를 돌아보며 붉은 갈색 구조물을 바라보았습니다. 그는 이 건물이 힌두교인들이 지은 것이라고 설명하며, 옆에 있는 사원을 가리켰습니다. 과거 사이공의 인도인 공동체가 번성하던 시절, 아우의 가게가 있는 땅은 옆에 있는 스리 텐다유타파니(Sri Thendayuttaphani) 사원과 비둘기집이 함께 속해 있던 땅이었다고 합니다. 수백 개의 비둘기 구멍 아래에는 신성한 소를 모신 힌두교 제단이 있었고, 이곳에서 현지 신자들이 와서 예배를 드리곤 했다고 그는 주장했습니다.&nbsp;</p> <p>모퉁이를 돌아 그 힌두 사원 안으로 들어가자, 관리인은 비둘기집이 힌두교 공동체에 의해 지어졌다는 사실을 확인해주었지만, 역사에 대해서는 더 이상의 설명을 해주지 않았습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legacy/EHLwWDJ.jpg" /></p> <p>비둘기집의 미스터리를 풀어줄 다른 사람이 없는 상황에서, 아우(Âu)는 현재에 집중하는 것을 권장했습니다. 사람들은 지난주까지도 이곳에 와서 오래된 구조물과 그 위에 우뚝 솟은 나무를 사진으로 담고 있었습니다. 도심 한가운데에 위치하고, 화려한 사이공 센터 맞은편에 있는 이 장소는 도시의 과거와 현재를 잘 대조해 보여준다고 그는 설명합니다. 우리의 대화는 잠시 사이공의 지속적인 현대화의 기복에 대해 전환됬습니다. 다시 한 번, 아우는 철학적인 이야기를 꺼냈습니다.</p> <p>"변화가 좋다거나 나쁘다고 확신할 수는 없어요," 그는 말합니다. "그건 삶과 사회의 순환이죠. 어쩌면 좋을 수도, 나쁠 수도 있어요. 그건 사람의 시각에 따라 다릅니다. 저에게는 변화를 저항할 수는 없고, 오직 기억할 수만 있습니다. 그리고 좋고 나쁨은 개인의 의견에 달려 있죠."</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legacy/Jzstl5n.jpg" /></p></div> <div class="feed-description"><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legacy/9fHpeGf.jpg" /></p> <p><em>처음으로 빠스떼르 비둘기 집을 방문했을 때, 레반 아우(Lê Văn Âu)는 이곳이 없어지지 않을 거라고 저에게 확신했습니다.</em></p> <p><strong>편집자 노트: 이 기사는 원래 2017년에 발행되었습니다. 안타깝게도 비둘기 집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 자리에 있던 부지가 완전히 철거되었기 때문입니다.</strong></p> <p>어느 날 오후, 그는 건물 뒤쪽에 숨겨져 있는 상당한 양의 가구들 사이에서 모습을 드러냅니다. 이곳에서 중년의 남성과 그의 직원들은 오래된 나무 가구를 복원하고 있었습니다. 그의 작업장 오른쪽에는 비어 있는 부지가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데, 빠스떼르(Pasteur)와 응우옌 후에(Nguyễn Huệ) 사이의 레러이(Lê Lợi) 블록에서 택스 센터가 철거되고, 그 주변 상점들이 철거되어 곧 들어설 40층짜리 고층 빌딩을 위한 자리를 마련 중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우(Âu)는 주변의 철거 작업에 대해 그다지 걱정하는 것 같지 않았습니다.&nbsp;</p> <p>우리 앞에는 빠르게 사라져가는 거리의 상점들과 달리, 벽을 따라 정돈된 비둘기집들이 줄지어 있어 과거가 생생히 살아 숨쉬고 있었습니다. 몇몇 비둘기집은 비둘기들이 사라진 후 자라난 큰 나무로 인해 가려져 있었습니다. 요즘 빠스떼르 비둘기 집은 비어 있지만, 아우(Âu)에 따르면 사진작가들, 지나가는 사람들, 그리고 호기심 많은 관광객들이 하루 종일 찾아와 이 오래된 구조물과 톤탓티엡(Tôn Thất Thiệp) 거리 끝에 자리한 힌두 사원 사이의 풀밭을 둘러본다고 합니다.</p> <p>땅 가까운 곳에는 두껍고 검은 글씨로 "Pigeon’s Case since 1920"라고 적혀 있습니다. 이 낙서가 실제로 1920년대부터 있었을 가능성은 거의 없지만, 아우(Âu)는 이 비둘기집들이 1910년대 후반 또는 1920년대 초반부터 존재해 왔다고 말합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legacy/sLNV7h5.jpg" /></p> <p>가구 수집가인 아우(Âu)에 따르면, 빠스떼르 비둘기 집은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된 적이 없습니다. 대신, 사람들은 그곳에 와서 비둘기들에게 먹이를 주곤 했습니다. 이후 비둘기 집은 사용되지 않게 되었고, 비둘기들은 점차 사라졌지만, 그가 어디로 갔는지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정확히 비둘기들이 언제 떠났는지 말하기는 어렵지만, 아우가 이곳에서 20년간 살면서 비둘기집이 사용된 적은 한 번도 없었다고 합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legacy/p5HI25B.jpg" /></p> <p>하지만 두 번째로 빠스떼르(Pasteur)와 레러이(Lê Lợi) 모퉁이에 도착했을 때, 상황은 달라져 있었습니다. 안전모를 쓴 한 남자가 비둘기집 위에서 빨간색, 흰색, 파란색의 방수포를 덮고 있었습니다. 맞은편 건물은 철거 중이었고, 모두 철거를 피하기 위해 몇 발짝 오른쪽으로 자리를 옮겨야 했습니다. 빈티지 가구로 가득한 야외 파빌리온 형태의 그의 사무실에 앉아 있는 동안, 아우(Âu)는 의자에 기대어 더 철학적인 관점을 취했습니다.</p> <p>"모든 것은 운명을 가지고 있어요. 사람도 운명이 있고, 사물도 운명이 있죠,"라고 그는 사이공이어와의 인터뷰에서 베트남어로 말했습니다. "영원한 것은 없습니다."</p> <p>우리는 교통 소음과 공사 차량 소리가 뒤섞인 가운데 비둘기집의 역사를 되짚으며 조금 더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아우(Âu)는 가끔씩 뒤를 돌아보며 붉은 갈색 구조물을 바라보았습니다. 그는 이 건물이 힌두교인들이 지은 것이라고 설명하며, 옆에 있는 사원을 가리켰습니다. 과거 사이공의 인도인 공동체가 번성하던 시절, 아우의 가게가 있는 땅은 옆에 있는 스리 텐다유타파니(Sri Thendayuttaphani) 사원과 비둘기집이 함께 속해 있던 땅이었다고 합니다. 수백 개의 비둘기 구멍 아래에는 신성한 소를 모신 힌두교 제단이 있었고, 이곳에서 현지 신자들이 와서 예배를 드리곤 했다고 그는 주장했습니다.&nbsp;</p> <p>모퉁이를 돌아 그 힌두 사원 안으로 들어가자, 관리인은 비둘기집이 힌두교 공동체에 의해 지어졌다는 사실을 확인해주었지만, 역사에 대해서는 더 이상의 설명을 해주지 않았습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legacy/EHLwWDJ.jpg" /></p> <p>비둘기집의 미스터리를 풀어줄 다른 사람이 없는 상황에서, 아우(Âu)는 현재에 집중하는 것을 권장했습니다. 사람들은 지난주까지도 이곳에 와서 오래된 구조물과 그 위에 우뚝 솟은 나무를 사진으로 담고 있었습니다. 도심 한가운데에 위치하고, 화려한 사이공 센터 맞은편에 있는 이 장소는 도시의 과거와 현재를 잘 대조해 보여준다고 그는 설명합니다. 우리의 대화는 잠시 사이공의 지속적인 현대화의 기복에 대해 전환됬습니다. 다시 한 번, 아우는 철학적인 이야기를 꺼냈습니다.</p> <p>"변화가 좋다거나 나쁘다고 확신할 수는 없어요," 그는 말합니다. "그건 삶과 사회의 순환이죠. 어쩌면 좋을 수도, 나쁠 수도 있어요. 그건 사람의 시각에 따라 다릅니다. 저에게는 변화를 저항할 수는 없고, 오직 기억할 수만 있습니다. 그리고 좋고 나쁨은 개인의 의견에 달려 있죠."</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legacy/Jzstl5n.jpg" /></p></div> 나의 사이공 여름 - 음식, 예술, 유산, 그리고 모든 것 2024-09-06T14:00:00+07:00 2024-09-06T14:00:00+07:00 https://kr.saigoneer.com/사이공/13560-나의-사이공-여름-음식,-예술,-유산,-그리고-모든-것 Phạm Thục Khuê. Top graphic by Trường Dĩ. info@saigoneer.com <div class="feed-description"><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9/summer_in_saigon/sst1.webp" data-og-image="//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9/summer_in_saigon/sst2.webp" data-position="50% 50%" /></p> <p dir="ltr"><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자신의 고향을 떠나 해외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처럼, 저는 인생이 어디로 흘러가든 여름만 되면 다시 베트남으로 돌아옵니다. 뜨거운 햇살 아래에서 먹고, 땀 흘리고, 쇼핑하고, 사람들을 구경하며, 가족들과 연결되고, 이 도시와 다시 사랑에 빠집니다. 사이공은 소음과 혼돈이 뒤섞인 곳으로, 미워하거나 아니면 끝없이 사랑하게 되죠. 다행히도 저는 사이공을 사랑합니다.&nbsp;</span></p>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9/summer_in_saigon/ss2.webp" /></div> <p>나의 여름 일상은 이른 아침에 밝게 눈을 뜨면서 시작됩니다. 태양과 거리의 열기가 더해지기 전에 선선한 아침 공기를 즐기죠. 동네를 자전거로 한 바퀴 돌다가 가끔은 신선한 꽃이나 장을 보며, 같은 생각을 하고 있는 이웃 어르신들과 인사를 나누기도 합니다. 귀여운 음료를 만들어 마시기도 하는데, 주로 녹차라떼를 마시며 가족과 아침을 먹고, 그랩 바이크를 타고 출근길에 나섭니다. 출근길에 저는 사이공 특유의 교통 체증을 뚫고 분주하게 이동하는 활기찬 사이공 사람들과 스쳐 지나가며, 그들의 하루는 어떤 모습일지 상상해봅니다. 특히 홍련 나무와 탐라 나무들이 붉은 신호등 앞에서 그늘을 만들어주며, 저를 잠시 멈추게 합니다. 직장에서는 '진정한' 사이공 사람들이 어떻게 사는지 엿볼 수 있는데, 제 동료들은 이 도시의 중심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줍니다. 퇴근 후에는 다양한 상점, 카페, 레스토랑, 클럽, 그리고 젊은이들을 위한 활동들이 하루 중 가장 즐거운 순간을 알립니다. 현지에서 디자인되고 생산된 옷을 파는 매력적인 상점들 중 하나에서 쇼핑을 하는 건 너무나 재미있는 즐거움입니다. 커피 문화는 잠시 멈춰 사람들을 구경하고, 도시의 에너지를 만끽할 수 있는 휴식을 선사합니다. 때로는 가장 평범해 보이는 곳에서 최고의 음식을 발견하고, 밤이 깊어지면 분위기가 좋은 술집과 댄스 클럽들이 저를 불러들이죠. &nbsp;</p> <div class="one-row">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9/summer_in_saigon/ss9.webp"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9/summer_in_saigon/s4.webp" /></div> </div> <p>사이공의 모든 것은 전통과 현대 사이에서 아슬아슬하게 균형을 이루는 것 같습니다. 특히 현대적인 요소는 젊은 세대들 사이에서 창의적인 흐름으로 자리잡고 있죠. 그래서 저는 매년 여름, 이 도시에 대해 새로운 것들을 발견하게 됩니다. 작년 여름에는 아트 페어를, 올해 여름에는 지하에서 음악을 중심으로 한 대규모 파티와 주말마다 열리는 팝업들이 새로운 발견이었습니다.&nbsp;</p> <div class="centered"><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9/summer_in_saigon/ss4.webp" /></div> <p dir="ltr">이 모든 여유와 즐거움 속에서, 당신은 이전에 몰랐던 자신에 대해 새로운 감정을 발견할 수도 있습니다.</p> <p dir="ltr">부모님과 형제 자매들이 같이 있거나, 친척들의 집에 가면 그 느낌이 와닿습니다.</p> <p dir="ltr">할아버지께서 젊으셨을 때 심으신 오래된 나무 그늘 아래에서 생강, 라임, 설탕을 넣은 손수 만든 부드러운 두부 디저트인 '따오퍼(tào phớ)'를 먹으며 감정을 느낍니다.</p> <p dir="ltr">두 손을 모아 향을 들고, 눈을 감은 채 무릎을 꿇고 선조들의 사당과 제단 앞에서 경의를 표할 때 또한 그 감정을 느낍니다.</p> <div class="smaller"><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9/summer_in_saigon/s3.webp" /> <p class="image-caption">Graphic by Trường Dĩ.</p> </div></div> <div class="feed-description"><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9/summer_in_saigon/sst1.webp" data-og-image="//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9/summer_in_saigon/sst2.webp" data-position="50% 50%" /></p> <p dir="ltr"><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자신의 고향을 떠나 해외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처럼, 저는 인생이 어디로 흘러가든 여름만 되면 다시 베트남으로 돌아옵니다. 뜨거운 햇살 아래에서 먹고, 땀 흘리고, 쇼핑하고, 사람들을 구경하며, 가족들과 연결되고, 이 도시와 다시 사랑에 빠집니다. 사이공은 소음과 혼돈이 뒤섞인 곳으로, 미워하거나 아니면 끝없이 사랑하게 되죠. 다행히도 저는 사이공을 사랑합니다.&nbsp;</span></p>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9/summer_in_saigon/ss2.webp" /></div> <p>나의 여름 일상은 이른 아침에 밝게 눈을 뜨면서 시작됩니다. 태양과 거리의 열기가 더해지기 전에 선선한 아침 공기를 즐기죠. 동네를 자전거로 한 바퀴 돌다가 가끔은 신선한 꽃이나 장을 보며, 같은 생각을 하고 있는 이웃 어르신들과 인사를 나누기도 합니다. 귀여운 음료를 만들어 마시기도 하는데, 주로 녹차라떼를 마시며 가족과 아침을 먹고, 그랩 바이크를 타고 출근길에 나섭니다. 출근길에 저는 사이공 특유의 교통 체증을 뚫고 분주하게 이동하는 활기찬 사이공 사람들과 스쳐 지나가며, 그들의 하루는 어떤 모습일지 상상해봅니다. 특히 홍련 나무와 탐라 나무들이 붉은 신호등 앞에서 그늘을 만들어주며, 저를 잠시 멈추게 합니다. 직장에서는 '진정한' 사이공 사람들이 어떻게 사는지 엿볼 수 있는데, 제 동료들은 이 도시의 중심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줍니다. 퇴근 후에는 다양한 상점, 카페, 레스토랑, 클럽, 그리고 젊은이들을 위한 활동들이 하루 중 가장 즐거운 순간을 알립니다. 현지에서 디자인되고 생산된 옷을 파는 매력적인 상점들 중 하나에서 쇼핑을 하는 건 너무나 재미있는 즐거움입니다. 커피 문화는 잠시 멈춰 사람들을 구경하고, 도시의 에너지를 만끽할 수 있는 휴식을 선사합니다. 때로는 가장 평범해 보이는 곳에서 최고의 음식을 발견하고, 밤이 깊어지면 분위기가 좋은 술집과 댄스 클럽들이 저를 불러들이죠. &nbsp;</p> <div class="one-row">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9/summer_in_saigon/ss9.webp"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9/summer_in_saigon/s4.webp" /></div> </div> <p>사이공의 모든 것은 전통과 현대 사이에서 아슬아슬하게 균형을 이루는 것 같습니다. 특히 현대적인 요소는 젊은 세대들 사이에서 창의적인 흐름으로 자리잡고 있죠. 그래서 저는 매년 여름, 이 도시에 대해 새로운 것들을 발견하게 됩니다. 작년 여름에는 아트 페어를, 올해 여름에는 지하에서 음악을 중심으로 한 대규모 파티와 주말마다 열리는 팝업들이 새로운 발견이었습니다.&nbsp;</p> <div class="centered"><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9/summer_in_saigon/ss4.webp" /></div> <p dir="ltr">이 모든 여유와 즐거움 속에서, 당신은 이전에 몰랐던 자신에 대해 새로운 감정을 발견할 수도 있습니다.</p> <p dir="ltr">부모님과 형제 자매들이 같이 있거나, 친척들의 집에 가면 그 느낌이 와닿습니다.</p> <p dir="ltr">할아버지께서 젊으셨을 때 심으신 오래된 나무 그늘 아래에서 생강, 라임, 설탕을 넣은 손수 만든 부드러운 두부 디저트인 '따오퍼(tào phớ)'를 먹으며 감정을 느낍니다.</p> <p dir="ltr">두 손을 모아 향을 들고, 눈을 감은 채 무릎을 꿇고 선조들의 사당과 제단 앞에서 경의를 표할 때 또한 그 감정을 느낍니다.</p> <div class="smaller"><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9/summer_in_saigon/s3.webp" /> <p class="image-caption">Graphic by Trường Dĩ.</p> </div></div> 사이공의 마지막 남은 대장간 중 하나, 뜨거운 열기로 들어갑니다. 2024-07-30T10:00:00+07:00 2024-07-30T10:00:00+07:00 https://kr.saigoneer.com/사이공/13538-사이공의-마지막-남은-대장간-중-하나,-뜨거운-열기로-들어갑니다 Như Quỳnh. Photos by Alberto Prieto. info@saigoneer.com <div class="feed-description"><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17/blacksmith/54.webp" data-og-image="//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17/blacksmith/smith0.webp" data-position="50% 50%" /></p> <p><em>‘대장간에서 일하는 것은 불타는 사우나에 있는 것과 같다’는 것은 과장이 아닙니다.</em></p> <div class="half-width right"><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17/blacksmith/01.webp" alt=""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div> <p><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초등학교 시절에 가장 기억에 남는 두 개의 시가 있습니다: Tố Hữu의 '대나무 빗자루 소리'와 Khánh Nguyên 시인의 '대장장이'입니다. 어린 시절, 저는 거리 청소부와 대장장이의 노동을 온도와 연관지었습니다. 전자는 추운 이슬비 내리는 밤에 거리를 청소하고, 후자는 실제로 화로 앞에 서 있는 것이었습니다.</span></p> <p>뜨거운 사이공의 날씨에 사람들은 뜨거운 열기를 피하기 위해 서둘러 목적지로 향합니다. 그러나 오토바이를 타고 지역 거리를 달릴 때, 저는 수십 년 동안 이러한 가혹한 조건에서 일해야 하는 사람들을 생각하게 됩니다.</p> <h3>4세대에 걸친 대장간</h3> <p>오늘날 베트남의 많은 대장간은 현재 소유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지 않았습니다. 대대로 전해 내려오는 이 대장간들은 선조들을 기리고 그들이 실천한 공예와 계속 이어지는 유산을 존중하기 위해 원래의 이름을 유지합니다. 사이공의 Thủ Đức 시에 위치한 약 80년의 역사를 지닌 Lò Rèn Phương도 이러한 전통을 따릅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17/blacksmith/58.webp" alt=""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p> <p>“[Phương]은 저의 증조할아버지의 이름입니다. 그 당시에는 모든 것이 매우 원시적이었고, 대부분 수작업으로 운영되었습니다. 그는 현재의 자동 송풍기와는 달리 터빈 팬을 사용해 불을 붙여야 했습니다. 그러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그는 자신의 공예를 매우 사랑했습니다. 할아버지는 저의 아버지에게 가르쳤고, 아버지는 저에게 가르쳤습니다,” 현재 소유자인 Toản이 대장간으로 이어지는 골목 입구에 있는 오래된 간판을 자랑스럽게 가리키며 말했습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17/blacksmith/65.webp" alt=""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p> <p>오늘날 Lò Rèn Phương은 주로 마체테, 정원용 괭이, 삽, 쇠지렛대, 전문 건축 자재를 생산합니다. 또한 콘크리트 끌과 도로 굴착용 쇠지렛대와 같은 수제 도구의 맞춤 주문도 받습니다.</p> <p>예를 들어, 뼈 절단 칼을 만드는 데 약 2~3시간이 걸립니다. 숙련된 대장장이인 Toản에게 이 과정은 거의 두 번째 천성처럼 익숙하여 단계를 실행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습니다. 그러나 치밀하고 예리한 제품을 요구하는 까다로운 고객을 상대할 때는 각 금속 조각을 신중하게 측정하고 무게를 재며 세부 사항을 하나도 놓치지 않습니다.</p> <div class="one-row biggest">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17/blacksmith/13.webp" alt=""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17/blacksmith/08.webp" alt="" /></div> </div> <p>완벽한 도구를 만들기 위해 Toản은 대장장이 먼저 원하는 경도와 내구성을 제공하는 적절한 종류의 강철을 선택해야 한다고 믿습니다. 강철을 선택한 후, 대장간에서 빨갛게 달아오를 때까지 가열하여 성형하기 쉽게 한 다음 빠르게 망치질하여 금속 구조를 개선하고 칼날을 더 강하고 예리하게 만듭니다.</span></p> <div class="one-row biggest"> <div class="a-3-2"> <video src="https://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17/blacksmith/h01.mp4" autoplay="autoplay" loop="loop" muted="true"></video> </div> <div class="a-2-3"><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17/blacksmith/21.webp" alt="" /></div> </div> <p>다음 단계는 열처리로, 칼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강철을 특정 온도로 가열한 다음 기름과 화학 혼합물에 급속 냉각합니다. 이 과정은 강철의 탄소 함량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칼날을 단단하게 만들어 사용자가 모든 것을 부드럽게 절단할 수 있게 합니다. 마지막 단계는 추가 연마, 광택, 손잡이 부착, 제품이 고객에게 도달하기 전에 철저한 검사를 포함합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17/blacksmith/55.webp" alt=""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p> <div class="one-row biggest">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17/blacksmith/56.webp" alt=""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17/blacksmith/57.webp" alt="" /></div> </div> <p>“시장에서 오랜 사용으로 인해 너무 무뎌져서 더 이상 효과적으로 절단할 수 없는 칼들이 있습니다. 사람들은 그것들을 나에게 가져와 날을 새로 깎거나 새 칼을 주문합니다. 칼을 갈면 수만 동밖에 들지 않지만, 새 칼은 고객의 요구에 따라 수십만 동에서 수백만 동까지 다양합니다. 예를 들어, 코코넛 절단 칼은 150,000동에서 200,000동, 뼈 절단 칼은 250,000동에서 300,000동입니다. 칼이 복잡하고 고품질일수록 더 비쌉니다.”</p> <div class="biggest"><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17/blacksmith/46.webp" alt=""/></div> <p>작은 사업체임에도 불구하고 대장간의 각 제품에는 독특한 보증이 제공됩니다. 고객은 마모된 제품을 Toản에게 가져와 무료로 수리받을 수 있습니다. 놀랍게도, 아버지로부터 대장간을 물려받은 이후로 제품 품질에 대한 불만이나 환불 요청은 없었습니다.</p> <h3>불꽃을 유지하다</h3> <div class="right quarter-width"> <video src="https://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17/blacksmith/v04.mp4" autoplay="autoplay" loop="loop" muted="true"></video> </div> <p>“망치질은 ‘고난’을 상징하는 ‘cực’ 소리를 내고, 금속이 물에 담길 때 나는 소리 ‘xèo’는 ‘가난’을 의미하는 ‘nghèo’와 비슷하게 들립니다,” Toản은 자신의 직업이 종종 열악한 작업 조건과 저임금과 관련이 있다고 농담처럼 이야기합니다.</p> <p>그러나 그는 피하지 않고 학업을 마치고, 직장에 들어갔다가 다시 돌아와 아버지를 도와 20년 이상 가족 대장간을 운영하게 되었습니다.</p> <p>“힘들고, 지치고, 뜨겁습니다,” 그가 말했습니다. “대장간에서 제가 있는 곳까지의 온도는 아마도 천도 정도일 것이고, 직접적인 열기는 약 1200-1300°C에 이를 것입니다. 열을 분산시키기 위해 23개의 팬을 사용해도 여전히 영향을 받습니다. 그리고 석탄에 노출되는 것은 당연히 위험합니다. 그러나 이 일은 제가 진정으로 사랑하는 직업입니다. 모든 완성된 제품은 제 손과 땀, 노력이 담긴 결과입니다. 작은 칼이나 끌을 성형하고, 구부리고, 단련하는 느낌은 정직한 노동의 느낌을 주며, 제 제품이 많은 사람들의 일을 지원한다는 것을 아는 것은 묘사할 수 없는 감정입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17/blacksmith/66.webp" alt=""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p> <p>그는 오늘날 대장간이 기계와 생산 라인의 발전으로 인해 예전만큼 많은 고객을 끌어들이지 못한다는 것을 인정했습니다. 가장 검소한 고객층은 대량으로 필요한 도구를 구입하는 건설업자와 회사들입니다. 시장의 다양한 옵션은 전통적인 대장장이에게 더 큰 도전을 안겨줍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17/blacksmith/61.webp" alt=""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p> <p>“황금기 동안 내 대장간은 망치, 칼, 끌뿐만 아니라 모든 종류의 도구 주문으로 항상 붐볐습니다... 하지만 기술이 너무 빨리 발전하여 대량 생산은 저렴하고 사용 가능한 도구를 끊임없이 생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경쟁하기가 어려워졌습니다,” Toản이 고백했습니다. 또한 COVID-19 팬데믹은 그의 대장간을 포함한 많은 사업에 타격을 입혔습니다.</p> <p>그러나 Toản은 여전히 낙관적이며, 각 제품이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믿습니다. 일부 전문 제품은 시장에서 찾을 수 없는 맞춤 주문이 필요합니다. 코코넛 톱, 자동차 수리 부품, 가축 먹이용 칼과 같은 제품은 특정 사용자 요구에 맞게 맞춤 제작되어야 합니다.</p> <p>대장간은 전통적으로 아버지에서 아들로 전해지지만, 일부 고객은 비슷한 전통을 유지합니다. 대장간에서 생산된 제품은 2~3세대 동안 내구성이 있습니다. 새로운 도구가 필요할 때 그들은 자손들에게 같은 대장간을 찾도록 지시합니다. Toản은 Long An, Hóc Môn, Củ Chi와 같은 먼 지역에서 온 많은 나이 든 고객들이 그의 제품을 신뢰하고 선호하기 때문에 먼 길을 기꺼이 여행하여 주문을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이러한 단골 손님은 대장간이 세월을 견디는 데 도움이 됩니다.</p> <div class="bigger"><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17/blacksmith/51.webp" alt="" /></div> <p>그는 베트남을 방문하여 주문을 한 인도 고객과의 기억에 남는 만남을 회상했습니다. Toản은 영어를 할 수 없어서 둘은 땅에 앉아 분필로 모양과 과정을 그리며 소통했습니다. “그가 하는 말을 한마디도 이해하지 못했지만, 우리는 서로 그림을 그렸고 결국 인도로 수출할 쇠지렛대 수십 개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이 고객은 5~7번 다시 와서 총 수백 개의 쇠지렛대를 주문했습니다,” Toản이 말했습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17/blacksmith/06.webp" alt=""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p> <p>마음속 깊은 곳에서 Toản은 자신의 조상 대대로 이어져 온 이 업을 오랫동안 유지하고 싶지만, 50대 중반을 넘긴 그는 자신의 자녀들이 이 일을 이어갈지 확신할 수 없다는 걱정을 합니다. 그는 자녀들이 대장간의 유산을 여러 세대에 걸쳐 이어가기를 바랍니다.</p> <p>“젊은 사람들이 대장장이에 관심이 있다면 와서 배워야 이 전통이 계속될 수 있습니다. 나라가 어떻게 발전하고 변화하든, 우리는 조상의 장인 정신을 기억하기를 바랍니다.”</p> <p><strong>Lò Rèn Phương은 호치민시 Thủ Đức 구 Tam Bình Ward, Tô Ngọc Vân 562번지에 위치해 있습니다.</strong></p></div> <div class="feed-description"><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17/blacksmith/54.webp" data-og-image="//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17/blacksmith/smith0.webp" data-position="50% 50%" /></p> <p><em>‘대장간에서 일하는 것은 불타는 사우나에 있는 것과 같다’는 것은 과장이 아닙니다.</em></p> <div class="half-width right"><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17/blacksmith/01.webp" alt=""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div> <p><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초등학교 시절에 가장 기억에 남는 두 개의 시가 있습니다: Tố Hữu의 '대나무 빗자루 소리'와 Khánh Nguyên 시인의 '대장장이'입니다. 어린 시절, 저는 거리 청소부와 대장장이의 노동을 온도와 연관지었습니다. 전자는 추운 이슬비 내리는 밤에 거리를 청소하고, 후자는 실제로 화로 앞에 서 있는 것이었습니다.</span></p> <p>뜨거운 사이공의 날씨에 사람들은 뜨거운 열기를 피하기 위해 서둘러 목적지로 향합니다. 그러나 오토바이를 타고 지역 거리를 달릴 때, 저는 수십 년 동안 이러한 가혹한 조건에서 일해야 하는 사람들을 생각하게 됩니다.</p> <h3>4세대에 걸친 대장간</h3> <p>오늘날 베트남의 많은 대장간은 현재 소유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지 않았습니다. 대대로 전해 내려오는 이 대장간들은 선조들을 기리고 그들이 실천한 공예와 계속 이어지는 유산을 존중하기 위해 원래의 이름을 유지합니다. 사이공의 Thủ Đức 시에 위치한 약 80년의 역사를 지닌 Lò Rèn Phương도 이러한 전통을 따릅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17/blacksmith/58.webp" alt=""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p> <p>“[Phương]은 저의 증조할아버지의 이름입니다. 그 당시에는 모든 것이 매우 원시적이었고, 대부분 수작업으로 운영되었습니다. 그는 현재의 자동 송풍기와는 달리 터빈 팬을 사용해 불을 붙여야 했습니다. 그러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그는 자신의 공예를 매우 사랑했습니다. 할아버지는 저의 아버지에게 가르쳤고, 아버지는 저에게 가르쳤습니다,” 현재 소유자인 Toản이 대장간으로 이어지는 골목 입구에 있는 오래된 간판을 자랑스럽게 가리키며 말했습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17/blacksmith/65.webp" alt=""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p> <p>오늘날 Lò Rèn Phương은 주로 마체테, 정원용 괭이, 삽, 쇠지렛대, 전문 건축 자재를 생산합니다. 또한 콘크리트 끌과 도로 굴착용 쇠지렛대와 같은 수제 도구의 맞춤 주문도 받습니다.</p> <p>예를 들어, 뼈 절단 칼을 만드는 데 약 2~3시간이 걸립니다. 숙련된 대장장이인 Toản에게 이 과정은 거의 두 번째 천성처럼 익숙하여 단계를 실행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습니다. 그러나 치밀하고 예리한 제품을 요구하는 까다로운 고객을 상대할 때는 각 금속 조각을 신중하게 측정하고 무게를 재며 세부 사항을 하나도 놓치지 않습니다.</p> <div class="one-row biggest">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17/blacksmith/13.webp" alt=""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17/blacksmith/08.webp" alt="" /></div> </div> <p>완벽한 도구를 만들기 위해 Toản은 대장장이 먼저 원하는 경도와 내구성을 제공하는 적절한 종류의 강철을 선택해야 한다고 믿습니다. 강철을 선택한 후, 대장간에서 빨갛게 달아오를 때까지 가열하여 성형하기 쉽게 한 다음 빠르게 망치질하여 금속 구조를 개선하고 칼날을 더 강하고 예리하게 만듭니다.</span></p> <div class="one-row biggest"> <div class="a-3-2"> <video src="https://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17/blacksmith/h01.mp4" autoplay="autoplay" loop="loop" muted="true"></video> </div> <div class="a-2-3"><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17/blacksmith/21.webp" alt="" /></div> </div> <p>다음 단계는 열처리로, 칼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강철을 특정 온도로 가열한 다음 기름과 화학 혼합물에 급속 냉각합니다. 이 과정은 강철의 탄소 함량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칼날을 단단하게 만들어 사용자가 모든 것을 부드럽게 절단할 수 있게 합니다. 마지막 단계는 추가 연마, 광택, 손잡이 부착, 제품이 고객에게 도달하기 전에 철저한 검사를 포함합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17/blacksmith/55.webp" alt=""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p> <div class="one-row biggest">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17/blacksmith/56.webp" alt=""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17/blacksmith/57.webp" alt="" /></div> </div> <p>“시장에서 오랜 사용으로 인해 너무 무뎌져서 더 이상 효과적으로 절단할 수 없는 칼들이 있습니다. 사람들은 그것들을 나에게 가져와 날을 새로 깎거나 새 칼을 주문합니다. 칼을 갈면 수만 동밖에 들지 않지만, 새 칼은 고객의 요구에 따라 수십만 동에서 수백만 동까지 다양합니다. 예를 들어, 코코넛 절단 칼은 150,000동에서 200,000동, 뼈 절단 칼은 250,000동에서 300,000동입니다. 칼이 복잡하고 고품질일수록 더 비쌉니다.”</p> <div class="biggest"><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17/blacksmith/46.webp" alt=""/></div> <p>작은 사업체임에도 불구하고 대장간의 각 제품에는 독특한 보증이 제공됩니다. 고객은 마모된 제품을 Toản에게 가져와 무료로 수리받을 수 있습니다. 놀랍게도, 아버지로부터 대장간을 물려받은 이후로 제품 품질에 대한 불만이나 환불 요청은 없었습니다.</p> <h3>불꽃을 유지하다</h3> <div class="right quarter-width"> <video src="https://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17/blacksmith/v04.mp4" autoplay="autoplay" loop="loop" muted="true"></video> </div> <p>“망치질은 ‘고난’을 상징하는 ‘cực’ 소리를 내고, 금속이 물에 담길 때 나는 소리 ‘xèo’는 ‘가난’을 의미하는 ‘nghèo’와 비슷하게 들립니다,” Toản은 자신의 직업이 종종 열악한 작업 조건과 저임금과 관련이 있다고 농담처럼 이야기합니다.</p> <p>그러나 그는 피하지 않고 학업을 마치고, 직장에 들어갔다가 다시 돌아와 아버지를 도와 20년 이상 가족 대장간을 운영하게 되었습니다.</p> <p>“힘들고, 지치고, 뜨겁습니다,” 그가 말했습니다. “대장간에서 제가 있는 곳까지의 온도는 아마도 천도 정도일 것이고, 직접적인 열기는 약 1200-1300°C에 이를 것입니다. 열을 분산시키기 위해 23개의 팬을 사용해도 여전히 영향을 받습니다. 그리고 석탄에 노출되는 것은 당연히 위험합니다. 그러나 이 일은 제가 진정으로 사랑하는 직업입니다. 모든 완성된 제품은 제 손과 땀, 노력이 담긴 결과입니다. 작은 칼이나 끌을 성형하고, 구부리고, 단련하는 느낌은 정직한 노동의 느낌을 주며, 제 제품이 많은 사람들의 일을 지원한다는 것을 아는 것은 묘사할 수 없는 감정입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17/blacksmith/66.webp" alt=""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p> <p>그는 오늘날 대장간이 기계와 생산 라인의 발전으로 인해 예전만큼 많은 고객을 끌어들이지 못한다는 것을 인정했습니다. 가장 검소한 고객층은 대량으로 필요한 도구를 구입하는 건설업자와 회사들입니다. 시장의 다양한 옵션은 전통적인 대장장이에게 더 큰 도전을 안겨줍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17/blacksmith/61.webp" alt=""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p> <p>“황금기 동안 내 대장간은 망치, 칼, 끌뿐만 아니라 모든 종류의 도구 주문으로 항상 붐볐습니다... 하지만 기술이 너무 빨리 발전하여 대량 생산은 저렴하고 사용 가능한 도구를 끊임없이 생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경쟁하기가 어려워졌습니다,” Toản이 고백했습니다. 또한 COVID-19 팬데믹은 그의 대장간을 포함한 많은 사업에 타격을 입혔습니다.</p> <p>그러나 Toản은 여전히 낙관적이며, 각 제품이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믿습니다. 일부 전문 제품은 시장에서 찾을 수 없는 맞춤 주문이 필요합니다. 코코넛 톱, 자동차 수리 부품, 가축 먹이용 칼과 같은 제품은 특정 사용자 요구에 맞게 맞춤 제작되어야 합니다.</p> <p>대장간은 전통적으로 아버지에서 아들로 전해지지만, 일부 고객은 비슷한 전통을 유지합니다. 대장간에서 생산된 제품은 2~3세대 동안 내구성이 있습니다. 새로운 도구가 필요할 때 그들은 자손들에게 같은 대장간을 찾도록 지시합니다. Toản은 Long An, Hóc Môn, Củ Chi와 같은 먼 지역에서 온 많은 나이 든 고객들이 그의 제품을 신뢰하고 선호하기 때문에 먼 길을 기꺼이 여행하여 주문을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이러한 단골 손님은 대장간이 세월을 견디는 데 도움이 됩니다.</p> <div class="bigger"><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17/blacksmith/51.webp" alt="" /></div> <p>그는 베트남을 방문하여 주문을 한 인도 고객과의 기억에 남는 만남을 회상했습니다. Toản은 영어를 할 수 없어서 둘은 땅에 앉아 분필로 모양과 과정을 그리며 소통했습니다. “그가 하는 말을 한마디도 이해하지 못했지만, 우리는 서로 그림을 그렸고 결국 인도로 수출할 쇠지렛대 수십 개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이 고객은 5~7번 다시 와서 총 수백 개의 쇠지렛대를 주문했습니다,” Toản이 말했습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17/blacksmith/06.webp" alt=""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p> <p>마음속 깊은 곳에서 Toản은 자신의 조상 대대로 이어져 온 이 업을 오랫동안 유지하고 싶지만, 50대 중반을 넘긴 그는 자신의 자녀들이 이 일을 이어갈지 확신할 수 없다는 걱정을 합니다. 그는 자녀들이 대장간의 유산을 여러 세대에 걸쳐 이어가기를 바랍니다.</p> <p>“젊은 사람들이 대장장이에 관심이 있다면 와서 배워야 이 전통이 계속될 수 있습니다. 나라가 어떻게 발전하고 변화하든, 우리는 조상의 장인 정신을 기억하기를 바랍니다.”</p> <p><strong>Lò Rèn Phương은 호치민시 Thủ Đức 구 Tam Bình Ward, Tô Ngọc Vân 562번지에 위치해 있습니다.</strong></p></div> 비를 피해 다리 아래 함께 있던 사람들에게 보내는 편지 2024-07-20T11:38:44+07:00 2024-07-20T11:38:44+07:00 https://kr.saigoneer.com/사이공/13527-비를-피해-다리-아래-함께-있던-사람들에게-보내는-편지 Khôi Phạm. Photos by Alberto Prieto and Pete Walls. info@saigoneer.com <div class="feed-description"><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20/rain/00.webp" data-og-image="//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20/rain/fb-00.webp" data-position="50% 50%" /></p> <p dir="ltr"><em>“비에게 화내지 마세요; 비는 그저 위로 올라가는 법을 모를 뿐이에요.”</em><br /><em>— 블라디미르 나보코프.</em></p> <div class="one-row">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20/rain/01.webp"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20/rain/38.webp" /></div> </div> <p dir="ltr">안녕하세요,</p> <p dir="ltr">몇 주가 지났는데, 잘 지내셨나요? 따님은 학교에 제시간에 도착했나요? 쌀국수는 배고픈 고객들에게 잘 도착했나요? 가죽 신발은 완전히 말랐나요? 우비가 찢어져 다리가 다 젖어서 정말 안타까웠어요.</p> <div class="smaller"><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20/rain/08.webp" /></div> <p dir="ltr">저는 잘 지내고 있어요 — 젖은 바지 끝, 더러워진 타이어, 이슬비 속에서 운전해야 하는 약간의 스트레스가 있지만, 사이공에서 30년을 살면서 내성이 생겼습니다. 이제는 비가 오기 직전의 미세한 흙냄새도 감지할 수 있고, 비가 잠시 그친 것처럼 보여도 우비를 너무 일찍 벗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오래전부터 몸에 새겼습니다. 잘 마르지 않는 신발 대신 사용할 여분의 슬리퍼를 바이크 트렁크에 넣어 두고, 30초 이내에 우비를 펼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물이 삶의 환영받는 요소임을 받아들이는 마음가짐도요.</p> <div class="one-row">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20/rain/47.webp"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20/rain/49.webp" /></div> </div> <p dir="ltr">당신의 이름을 물어보지 못해 죄송하지만, 제가 당신을 기억하지 못하는 것처럼 당신도 저를 기억하지 못할 것 같아요. 시간이 지나면서 기억 속에 남아있는 시각적, 청각적 조각들만 남겠지요. 헬로 키티 슬리퍼, 전화 알림 소리, 여름 햇살처럼 따스한 미소. 이 1,000만 인구 도시에서 다른 곳에서 만났다면 우리는 친구가 될 수 있었을까요?</p> <p dir="ltr">우리 삶의 짧은 15분 동안 우리는 운하를 가로지르는 이 다리 아래의 넓은 공간에 모여, 고래 아래의 빨판상어 떼처럼 웅크리고 있습니다. 우리는 남부의 격렬한 우기 앞에서 우비를 챙겨오지 않은 채, 추위에 떨며 쏟아지는 비를 피하려는 필요에 의해 이곳에 모였습니다. 그리고 도로 공간을 차지한다고 경고하며 다가오는 교통의 성난 경적 소리에 신경 쓸 겨를도 없을 만큼 춥습니다.</p> <div class="one-row">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20/rain/15.webp"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20/rain/17.webp" /></div> </div> <p dir="ltr">나는 경적 소리가 나는 양쪽 입장을 다 겪어봤습니다. 몬순을 피하기 위해 무심코 도로 고가도로 아래에 멈춰서기도 했고, 급한 상황에서 내 통행을 늦추는 빗속 피신자들을 향해 경적을 울리기도 했습니다. 내가 배운 것은 비가 멈추면 모두가 그 순간을 잊어버린다는 것입니다. 요즘 사이공의 비를 견디는 것은 일상적인 스트레스 의식이 되어버렸습니다. 그래서 나는 끝없는 하늘을 바라보며 빗방울이 나를 내려다볼 때마다 의식적으로 공감하려고 노력합니다. 어려운 시기를 함께 겪은 사람들 사이에는 특정한 동지애가 싹트기 마련인데, 우리는 15분 동안 그 동지애를 함께 경험할 수 있어서 정말 기뻤습니다.</p> <p dir="ltr">비를 피하는 사람이 씀.</p>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20/rain/50.webp" /></div></div> <div class="feed-description"><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20/rain/00.webp" data-og-image="//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20/rain/fb-00.webp" data-position="50% 50%" /></p> <p dir="ltr"><em>“비에게 화내지 마세요; 비는 그저 위로 올라가는 법을 모를 뿐이에요.”</em><br /><em>— 블라디미르 나보코프.</em></p> <div class="one-row">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20/rain/01.webp"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20/rain/38.webp" /></div> </div> <p dir="ltr">안녕하세요,</p> <p dir="ltr">몇 주가 지났는데, 잘 지내셨나요? 따님은 학교에 제시간에 도착했나요? 쌀국수는 배고픈 고객들에게 잘 도착했나요? 가죽 신발은 완전히 말랐나요? 우비가 찢어져 다리가 다 젖어서 정말 안타까웠어요.</p> <div class="smaller"><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20/rain/08.webp" /></div> <p dir="ltr">저는 잘 지내고 있어요 — 젖은 바지 끝, 더러워진 타이어, 이슬비 속에서 운전해야 하는 약간의 스트레스가 있지만, 사이공에서 30년을 살면서 내성이 생겼습니다. 이제는 비가 오기 직전의 미세한 흙냄새도 감지할 수 있고, 비가 잠시 그친 것처럼 보여도 우비를 너무 일찍 벗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오래전부터 몸에 새겼습니다. 잘 마르지 않는 신발 대신 사용할 여분의 슬리퍼를 바이크 트렁크에 넣어 두고, 30초 이내에 우비를 펼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물이 삶의 환영받는 요소임을 받아들이는 마음가짐도요.</p> <div class="one-row">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20/rain/47.webp"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20/rain/49.webp" /></div> </div> <p dir="ltr">당신의 이름을 물어보지 못해 죄송하지만, 제가 당신을 기억하지 못하는 것처럼 당신도 저를 기억하지 못할 것 같아요. 시간이 지나면서 기억 속에 남아있는 시각적, 청각적 조각들만 남겠지요. 헬로 키티 슬리퍼, 전화 알림 소리, 여름 햇살처럼 따스한 미소. 이 1,000만 인구 도시에서 다른 곳에서 만났다면 우리는 친구가 될 수 있었을까요?</p> <p dir="ltr">우리 삶의 짧은 15분 동안 우리는 운하를 가로지르는 이 다리 아래의 넓은 공간에 모여, 고래 아래의 빨판상어 떼처럼 웅크리고 있습니다. 우리는 남부의 격렬한 우기 앞에서 우비를 챙겨오지 않은 채, 추위에 떨며 쏟아지는 비를 피하려는 필요에 의해 이곳에 모였습니다. 그리고 도로 공간을 차지한다고 경고하며 다가오는 교통의 성난 경적 소리에 신경 쓸 겨를도 없을 만큼 춥습니다.</p> <div class="one-row">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20/rain/15.webp"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20/rain/17.webp" /></div> </div> <p dir="ltr">나는 경적 소리가 나는 양쪽 입장을 다 겪어봤습니다. 몬순을 피하기 위해 무심코 도로 고가도로 아래에 멈춰서기도 했고, 급한 상황에서 내 통행을 늦추는 빗속 피신자들을 향해 경적을 울리기도 했습니다. 내가 배운 것은 비가 멈추면 모두가 그 순간을 잊어버린다는 것입니다. 요즘 사이공의 비를 견디는 것은 일상적인 스트레스 의식이 되어버렸습니다. 그래서 나는 끝없는 하늘을 바라보며 빗방울이 나를 내려다볼 때마다 의식적으로 공감하려고 노력합니다. 어려운 시기를 함께 겪은 사람들 사이에는 특정한 동지애가 싹트기 마련인데, 우리는 15분 동안 그 동지애를 함께 경험할 수 있어서 정말 기뻤습니다.</p> <p dir="ltr">비를 피하는 사람이 씀.</p>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7/20/rain/50.webp" /></div></div> 호치민시 5군의 숨겨진 보물, 1970년대 베트남-한국 역사의 건축적 유물 2024-04-22T19:59:29+07:00 2024-04-22T19:59:29+07:00 https://kr.saigoneer.com/사이공/13487-호치민시-5군의-숨겨진-보물,-1970년대-베트남-한국-역사의-건축적-유물 Leo. Photos by Lê Thái Hoàng Nguyên. Graphics by Hannah Hoàng and Phan Nhi. info@saigoneer.com <div class="feed-description"><p>&nbs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2/03/13/dinhhanquoc/dinhhanquoc17.webp" data-og-image="//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2/03/13/dinhhanquoc/dinhhanquoc16.webp" data-position="50% 35%" /></p> <p><em>여러 해 동안 5군의 Hòa Bình 공원 안에 있는 푸르른 소나무 녹색 팔각정은 Chợ Lớn(쪼 론) 주민들에게 익숙한 랜드마크로 자리잡았습니다.</em></p> <p>Hòa Bình 공원은 Hùng Vương, Sư Vạn Hạnh 및 Nguyễn Chí Thanh의 세 개의 큰 길이 만나는 곳에 위치해 있습니다. 중간에 있는 이 보통 크기의 공원에는 천천히 나이를 먹는 팔각정이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 구조물의 기원과 건축물 건립의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알아채지 못합니다.</p> <div class="biggest"><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2/03/13/dinhhanquoc/dinhhanquoc1.webp" /></div> <div class="one-row biggest">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2/03/13/dinhhanquoc/dinhhanquoc10.webp"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2/03/13/dinhhanquoc/dinhhanquoc2.webp" /></div> </div> <p>Hòa Bình 공원에 타이틀을 맞춘 팔각정은 단순히 "평화"(한국어: 평화정)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는 전통적인 한국 건축을 모델로 제작되었습니다. 처음에는 베트남과 한국 간의 외교적 관계를 상징하는 기념비로 세워졌습니다.</p> <div class="third-width right"><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2/03/13/dinhhanquoc/dinhhanquoc18.webp" /> <p class="image-caption">한국의 불교승려이자 미술가 이만봉. 사진 출처:&nbsp;<a href="http://www.buddhism.org/buddhist-painting-by-venerable-manbong/" target="_blank">Buddhism.org</a>.</p> </div> <p>평화 팔각정은 한국의 불교 수도사이자 예술가이자 이만봉과 다른 5명의 협력자들에 의해 설계되었습니다. 프로젝트는 1972년 2월 8일에 착공되었습니다. 그 당시에 이만봉은 고국에서 문화유산 보존의 중요한 인물로 인식되었으며, 5군의 팔각정은 그의 다른 작품과 일관된 예술적 철학을 보여줍니다.</p> <p>구조물은 1972년 7월 27일에 공원에 완공되었습니다. 그당시에는 이 공원이 인접한 거리의 이름을 따서 Hùng Vương 공원이라고 불렸습니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공원이 팔각정의 이름을 가지게 되었습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2/03/13/dinhhanquoc/dinhhanquoc20.webp" /></p> <p class="image-caption">평화 팔각정의 독창적인 디자인.</p> <p>딘 호아 빈(Dinh Hòa Bình)은 한국의 기념물에 자주 등장하는 팔각정의 대표적인 건축물입니다. 동아시아 국가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은 서울의 유명한 <a href="https://english.seoul.go.kr/bugak-palgakjeong-pavilion/">북악 스카이웨이 팔각정</a>과 같은 많은 지역 랜드마크에서 그 모양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nbsp;</p> <p>또한 현재의 녹색 페인트 칠이 한국 전통 건축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다색 장식 모티브인 단청 문양을 특징으로 했던 누각의 원래 장식 대부분을 가렸다는 점도 주목해야 합니다.</p> <div class="smaller"><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2/03/13/dinhhanquoc/dinhhanquoc5.webp" /> <p class="image-caption">흔치 않은 1972년의 사진에 따르면 딘 호아 빈에는 한때 단청 문양과 한국 이름인 평화정이 새겨진 나무 명판이 있었습니다.</p> </div> <p>일부 한국 기록에 따르면, 팔각정에는 한때 한국 이름인 평화정이 적힌 나무 명판이 있었습니다. 이 글자는 박정희 당시 대통령이 직접 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아아, 이 명판은 어느 순간 제거되어 사라졌습니다.</p> <p>1973년에 공원을 촬영한 사진은 공사가 시작될 당시 분수와 공원 이름 표시와 같은 다른 많은 세부 사항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2017년에 완료된 최신 개조 공사에서는 팔각정 자체를 제외한 다른 주변 구조물이 제거되었습니다.</p> <div class="smaller"><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2/03/13/dinhhanquoc/dinhhanquoc6.webp" /> <p class="image-caption">분수가 있는 공원을 보여주는 1973년 사진.</p> </div> <p>대도시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공간이며, 이민이 쇄도할 때마다 한때 익숙했던 아이콘과 랜드마크는 사라집니다. 평화의 팔각정은 중요한 정치적, 문화적, 역사적 의미를 바탕으로 건립되었으나 이후 원래의 의미를 상실하고 일상적인 공공 쉼터가 되었습니다. 결국 이러한 변화는 상점, 거리, 기념물, 정체성 및 추억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끊임없이 서로 덧칠하는 도시의 특성입니다.</p> <div class="full-width"><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2/03/13/dinhhanquoc/dinhhanquoc12.webp" /> <p class="image-caption">2022년에 본 공원.</p> </div> <p>역사의 층을 발굴함으로써 우리는 다양성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비록 평화정은 우리 시대의 짧고 격동적인 기간 동안 원래의 원형으로만 존재했지만, 그 시대의 지정학에 대한 한국의 개입을 상기시키는 팔각정은 이제 회복과 모임의 장소로서 보다 일상적인 목적을 제공하고 있습니다.</p> <div class="bigger"><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2/03/13/dinhhanquoc/dinhhanquoc13.webp" /></div> <div class="one-row">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2/03/13/dinhhanquoc/dinhhanquoc11.webp" alt=""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2/03/13/dinhhanquoc/dinhhanquoc8.webp" alt=""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2/03/13/dinhhanquoc/dinhhanquoc9.webp" alt="" /></div> </div> <div class="one-row bigger">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2/03/13/dinhhanquoc/dinhhanquoc4.webp"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2/03/13/dinhhanquoc/dinhhanquoc7.webp" /></div> </div> <p><strong><em>이 기사는 Saigoneer와 베트남의 도시 유산, 특히 베트남 남부의 도시 유산에 초점을 맞춘 독립 단체인 Architecture Excursions(Tản Mạn Kiến Trúc) 간의 콘텐츠 협력의 일환으로 출판되었습니다. Tản Mạn Kiến Trúc의 작업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면 여기에서 <a href="https://www.facebook.com/tanmankientruc">페이스북 페이지</a>를 방문해보세요.</em></strong></p></div> <div class="feed-description"><p>&nbs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2/03/13/dinhhanquoc/dinhhanquoc17.webp" data-og-image="//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2/03/13/dinhhanquoc/dinhhanquoc16.webp" data-position="50% 35%" /></p> <p><em>여러 해 동안 5군의 Hòa Bình 공원 안에 있는 푸르른 소나무 녹색 팔각정은 Chợ Lớn(쪼 론) 주민들에게 익숙한 랜드마크로 자리잡았습니다.</em></p> <p>Hòa Bình 공원은 Hùng Vương, Sư Vạn Hạnh 및 Nguyễn Chí Thanh의 세 개의 큰 길이 만나는 곳에 위치해 있습니다. 중간에 있는 이 보통 크기의 공원에는 천천히 나이를 먹는 팔각정이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 구조물의 기원과 건축물 건립의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알아채지 못합니다.</p> <div class="biggest"><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2/03/13/dinhhanquoc/dinhhanquoc1.webp" /></div> <div class="one-row biggest">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2/03/13/dinhhanquoc/dinhhanquoc10.webp"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2/03/13/dinhhanquoc/dinhhanquoc2.webp" /></div> </div> <p>Hòa Bình 공원에 타이틀을 맞춘 팔각정은 단순히 "평화"(한국어: 평화정)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는 전통적인 한국 건축을 모델로 제작되었습니다. 처음에는 베트남과 한국 간의 외교적 관계를 상징하는 기념비로 세워졌습니다.</p> <div class="third-width right"><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2/03/13/dinhhanquoc/dinhhanquoc18.webp" /> <p class="image-caption">한국의 불교승려이자 미술가 이만봉. 사진 출처:&nbsp;<a href="http://www.buddhism.org/buddhist-painting-by-venerable-manbong/" target="_blank">Buddhism.org</a>.</p> </div> <p>평화 팔각정은 한국의 불교 수도사이자 예술가이자 이만봉과 다른 5명의 협력자들에 의해 설계되었습니다. 프로젝트는 1972년 2월 8일에 착공되었습니다. 그 당시에 이만봉은 고국에서 문화유산 보존의 중요한 인물로 인식되었으며, 5군의 팔각정은 그의 다른 작품과 일관된 예술적 철학을 보여줍니다.</p> <p>구조물은 1972년 7월 27일에 공원에 완공되었습니다. 그당시에는 이 공원이 인접한 거리의 이름을 따서 Hùng Vương 공원이라고 불렸습니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공원이 팔각정의 이름을 가지게 되었습니다.</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2/03/13/dinhhanquoc/dinhhanquoc20.webp" /></p> <p class="image-caption">평화 팔각정의 독창적인 디자인.</p> <p>딘 호아 빈(Dinh Hòa Bình)은 한국의 기념물에 자주 등장하는 팔각정의 대표적인 건축물입니다. 동아시아 국가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은 서울의 유명한 <a href="https://english.seoul.go.kr/bugak-palgakjeong-pavilion/">북악 스카이웨이 팔각정</a>과 같은 많은 지역 랜드마크에서 그 모양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nbsp;</p> <p>또한 현재의 녹색 페인트 칠이 한국 전통 건축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다색 장식 모티브인 단청 문양을 특징으로 했던 누각의 원래 장식 대부분을 가렸다는 점도 주목해야 합니다.</p> <div class="smaller"><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2/03/13/dinhhanquoc/dinhhanquoc5.webp" /> <p class="image-caption">흔치 않은 1972년의 사진에 따르면 딘 호아 빈에는 한때 단청 문양과 한국 이름인 평화정이 새겨진 나무 명판이 있었습니다.</p> </div> <p>일부 한국 기록에 따르면, 팔각정에는 한때 한국 이름인 평화정이 적힌 나무 명판이 있었습니다. 이 글자는 박정희 당시 대통령이 직접 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아아, 이 명판은 어느 순간 제거되어 사라졌습니다.</p> <p>1973년에 공원을 촬영한 사진은 공사가 시작될 당시 분수와 공원 이름 표시와 같은 다른 많은 세부 사항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2017년에 완료된 최신 개조 공사에서는 팔각정 자체를 제외한 다른 주변 구조물이 제거되었습니다.</p> <div class="smaller"><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2/03/13/dinhhanquoc/dinhhanquoc6.webp" /> <p class="image-caption">분수가 있는 공원을 보여주는 1973년 사진.</p> </div> <p>대도시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공간이며, 이민이 쇄도할 때마다 한때 익숙했던 아이콘과 랜드마크는 사라집니다. 평화의 팔각정은 중요한 정치적, 문화적, 역사적 의미를 바탕으로 건립되었으나 이후 원래의 의미를 상실하고 일상적인 공공 쉼터가 되었습니다. 결국 이러한 변화는 상점, 거리, 기념물, 정체성 및 추억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끊임없이 서로 덧칠하는 도시의 특성입니다.</p> <div class="full-width"><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2/03/13/dinhhanquoc/dinhhanquoc12.webp" /> <p class="image-caption">2022년에 본 공원.</p> </div> <p>역사의 층을 발굴함으로써 우리는 다양성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비록 평화정은 우리 시대의 짧고 격동적인 기간 동안 원래의 원형으로만 존재했지만, 그 시대의 지정학에 대한 한국의 개입을 상기시키는 팔각정은 이제 회복과 모임의 장소로서 보다 일상적인 목적을 제공하고 있습니다.</p> <div class="bigger"><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2/03/13/dinhhanquoc/dinhhanquoc13.webp" /></div> <div class="one-row">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2/03/13/dinhhanquoc/dinhhanquoc11.webp" alt=""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2/03/13/dinhhanquoc/dinhhanquoc8.webp" alt=""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2/03/13/dinhhanquoc/dinhhanquoc9.webp" alt="" /></div> </div> <div class="one-row bigger">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2/03/13/dinhhanquoc/dinhhanquoc4.webp"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2/03/13/dinhhanquoc/dinhhanquoc7.webp" /></div> </div> <p><strong><em>이 기사는 Saigoneer와 베트남의 도시 유산, 특히 베트남 남부의 도시 유산에 초점을 맞춘 독립 단체인 Architecture Excursions(Tản Mạn Kiến Trúc) 간의 콘텐츠 협력의 일환으로 출판되었습니다. Tản Mạn Kiến Trúc의 작업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면 여기에서 <a href="https://www.facebook.com/tanmankientruc">페이스북 페이지</a>를 방문해보세요.</em></strong></p></div> 매일 아침, 나의 출근길인 Hoàng Sa를 예찬하며 2024-04-01T14:18:08+07:00 2024-04-01T14:18:08+07:00 https://kr.saigoneer.com/사이공/13481-매일-아침,-나의-출근길인-hoàng-sa를-예찬하며 Brian Letwin. Photos by Brian Letwin. info@saigoneer.com <div class="feed-description"><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3/28/no-traffic/01.webp" data-og-image="//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3/28/no-traffic/fb-00m.webp" data-position="60% 70%" /></p> <p><em>사이공이어(Saigoneer)가 설립된 지 10여년 동안 우리는 1군과 3군에 6개의 사무실을 옮겨 다녔습니다. 그 기간 동안 저는 빈탄(Bình Thạnh) 군과 타오 디엔(Thảo Diền)에 거주해서 출퇴근에 상당 시간을 소요했습니다.</em></p> <p>완벽한 세계라면 사이공의 첫 번째 지하철 노선을 타고 출퇴근할 수 있겠지만, 우리는 다른 시간대에 살고 있습니다. 혼잡한 도로를 따라 오토바이를 타고 출근하고 종종 사무실에 도착했을 때 이미 진이 빠져있을 때도 있습니다.</p> <div class="centered"><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3/28/no-traffic/02.webp" /> <p class="image-caption">스프링클러는 잔디와 지나가는 사람에게 필요한 수분을 공급합니다.</p> </div> <p>작년에 사무실을 이전했을 때 구글 지도로 집에서 사무실에 가는 길을 검색했습니다. 가장 빠른 길은 Võ Thị Sáu를 바로 지나는 경로였습니다. 예전에도 출퇴근을 위해 이 거리를 지난 적이 있어서 새롭지는 않았습니다. 구글 화면을 다시 한번 봤을 때, 사이공의 Nhiêu Lộc–Thị Nghè 운하를 따라가는 경로를 발견했습니다. 5분 더 긴 경로로, Hoàng Sa 거리를 따라가는 길이었습니다.</p> <p>두 번째 경로를 좋아하는데 오래 걸리지 않았습니다. 출근길은 아침의 명상에 가까웠습니다. 운하는 용의 꼬리처럼 구불구불하고 그 옆에는 소박한 도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오전 9시 이전에는 나무가 늘어서 있고 차가 없는 이곳을 지날 땐 감각이 풍부해졌습니다.</p> <div class="one-row">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3/28/no-traffic/03.webp"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3/28/no-traffic/04.webp" /></div> </div> <p class="image-caption">3월의 더위 속에서 Hoàng Sa 양쪽에 줄지어 늘어선 나무.</p> <p>자동 스프링클러가 오작동해서 운전자가 통과해야 하는 안개 구름을 생성하는 경우에는 독특한 분위기를 더해줍니다. 여행 중간에 새로 고침 같은 순간입니다. 근래에 잔디를 정리한 날에는 수평으로 뻗은 녹색 잎의 달콤한 향기가 코를 가득 채웁니다.</p> <p>운하를 따라 늘어선 사원이 많아 평온함이 강화됩니다. 사찰의 향을 느끼는 아침 출근길에는 에너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Hoàng Sa를 따라 운전하며 보내는 15분 정도의 시간은 때때로 하루 중 가장 평온한 시간입니다. 아침 출근길에 대해 그렇게 말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요?</p> <p><em><strong>Brian Letwin은 Saigoneer의 공동 창립자이자 CEO입니다.</strong></em></p></div> <div class="feed-description"><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3/28/no-traffic/01.webp" data-og-image="//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3/28/no-traffic/fb-00m.webp" data-position="60% 70%" /></p> <p><em>사이공이어(Saigoneer)가 설립된 지 10여년 동안 우리는 1군과 3군에 6개의 사무실을 옮겨 다녔습니다. 그 기간 동안 저는 빈탄(Bình Thạnh) 군과 타오 디엔(Thảo Diền)에 거주해서 출퇴근에 상당 시간을 소요했습니다.</em></p> <p>완벽한 세계라면 사이공의 첫 번째 지하철 노선을 타고 출퇴근할 수 있겠지만, 우리는 다른 시간대에 살고 있습니다. 혼잡한 도로를 따라 오토바이를 타고 출근하고 종종 사무실에 도착했을 때 이미 진이 빠져있을 때도 있습니다.</p> <div class="centered"><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3/28/no-traffic/02.webp" /> <p class="image-caption">스프링클러는 잔디와 지나가는 사람에게 필요한 수분을 공급합니다.</p> </div> <p>작년에 사무실을 이전했을 때 구글 지도로 집에서 사무실에 가는 길을 검색했습니다. 가장 빠른 길은 Võ Thị Sáu를 바로 지나는 경로였습니다. 예전에도 출퇴근을 위해 이 거리를 지난 적이 있어서 새롭지는 않았습니다. 구글 화면을 다시 한번 봤을 때, 사이공의 Nhiêu Lộc–Thị Nghè 운하를 따라가는 경로를 발견했습니다. 5분 더 긴 경로로, Hoàng Sa 거리를 따라가는 길이었습니다.</p> <p>두 번째 경로를 좋아하는데 오래 걸리지 않았습니다. 출근길은 아침의 명상에 가까웠습니다. 운하는 용의 꼬리처럼 구불구불하고 그 옆에는 소박한 도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오전 9시 이전에는 나무가 늘어서 있고 차가 없는 이곳을 지날 땐 감각이 풍부해졌습니다.</p> <div class="one-row">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3/28/no-traffic/03.webp" /></div>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4/03/28/no-traffic/04.webp" /></div> </div> <p class="image-caption">3월의 더위 속에서 Hoàng Sa 양쪽에 줄지어 늘어선 나무.</p> <p>자동 스프링클러가 오작동해서 운전자가 통과해야 하는 안개 구름을 생성하는 경우에는 독특한 분위기를 더해줍니다. 여행 중간에 새로 고침 같은 순간입니다. 근래에 잔디를 정리한 날에는 수평으로 뻗은 녹색 잎의 달콤한 향기가 코를 가득 채웁니다.</p> <p>운하를 따라 늘어선 사원이 많아 평온함이 강화됩니다. 사찰의 향을 느끼는 아침 출근길에는 에너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Hoàng Sa를 따라 운전하며 보내는 15분 정도의 시간은 때때로 하루 중 가장 평온한 시간입니다. 아침 출근길에 대해 그렇게 말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요?</p> <p><em><strong>Brian Letwin은 Saigoneer의 공동 창립자이자 CEO입니다.</strong></em></p></div> 연날리기의 아름다움을 투티엠(Thủ Thiêm)에서 느껴보세요. 2023-05-16T11:00:00+07:00 2023-05-16T11:00:00+07:00 https://kr.saigoneer.com/사이공/13502-연날리기의-아름다움을-투티엠-thủ-thiêm-에서-느껴보세요 Paul Christiansen. Photos by Paul Christiansen. info@saigoneer.com <div class="feed-description"><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3/05/15/8.webp" data-og-image="//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3/16/kite0m.webp" data-position="50% 70%" /></p> <p><em>연이 날리는 모습을 시의 아름다움으로 표현하는 것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보이지 않는 바람의 질감과 무게의 자유로움을 관찰하는 우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em></p> <div class="third-width right"><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3/05/15/7.webp" /></div> <p>연에 대해 철학적으로 깊이 있게 논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을 땅에 묶어두었지만 줄이 연을 하늘에 머물게 한다"와 같은 말이 있습니다. 또는 김유신 장군이 연에 불붙여 하늘로 올려 나쁜 징조를 하늘에 표시하여 군대를 고무시킨 이야기를 할 수도 있습니다. 벤자민 프랭클린이 폭풍우 속에서 연줄에 열쇠를 걸어 최초로 전기를 수확한 이야기나, 연날리기를 금지한 정부들의 이야기도 알 수 있습니다.</p> <p>또한, 연을 단순하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투티엠(Thủ Thiêm)에서 연을 날리는 것은 소소한 즐거움이기 때문입니다. 여름 더위가 가시기 시작하는 저녁 무렵에 시작됩니다. 아직 개발되지 않은 대로변에는 플라스틱 의자들이 줄지어 있고, 몇몇의 노점상들이 있어 차가운 음료와 간단한 길거리 음식을 팔고 있습니다. 연을 가져와서 혹은 그곳에서 연을 살 수도 있습니다. 연을 날리는 것은 몇 걸음 뛰면서 줄이 풀려 하늘로 날아오르는 것이며 간단합니다. 사실 연이 없어도 됩니다. 그저 의자에 편하게 앉아 친구 혹은 가족과 이야기하면서 하늘에 떠다니는 형형색색의 연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p>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3/05/15/11.webp" /></div> <p>연은 매우 조용합니다. 연을 볼때, 불꽃 축제나 스포츠 경기처럼 사람들의 외침과 감탄이 필요한 것이 아닙니다. 즐거움은 친구 또는 가족들과의 단순한 대화와 미소에서 시작됩니다. 제가 연 날리기에 대해 가장 감사하는 점일지도 모릅니다. 사이공은 다른 지역에 비해 생활하기 비싼 곳이며, 가족일 경우 더 많은 생활비가 필요합니다. 모든 사람이 레스토랑에 가거나 멋진 곳에서 즐길 여유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해서 신선한 공기와 야외에서 시간을 보낼 기회를 가지지 못할 이유는 없습니다. 연 날리기는 모든 사람들이 동일하게 누릴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과 어떻게든 맞춰야 할 필요도, 어떻게 맞춰야하는지에 대해서도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도시의 광활한 하늘에 멀리 솟아 있는 높은 건물들 사이, 크레용으로 적힌 아이들의 이름이 담긴 연들이 하늘을 물들이고 있습니다.</p>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3/05/15/9.webp" /></div></div> <div class="feed-description"><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3/05/15/8.webp" data-og-image="//media.urbanistnetwork.com/urbanistvietnam/articleimages/2023/16/kite0m.webp" data-position="50% 70%" /></p> <p><em>연이 날리는 모습을 시의 아름다움으로 표현하는 것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보이지 않는 바람의 질감과 무게의 자유로움을 관찰하는 우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em></p> <div class="third-width right"><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3/05/15/7.webp" /></div> <p>연에 대해 철학적으로 깊이 있게 논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을 땅에 묶어두었지만 줄이 연을 하늘에 머물게 한다"와 같은 말이 있습니다. 또는 김유신 장군이 연에 불붙여 하늘로 올려 나쁜 징조를 하늘에 표시하여 군대를 고무시킨 이야기를 할 수도 있습니다. 벤자민 프랭클린이 폭풍우 속에서 연줄에 열쇠를 걸어 최초로 전기를 수확한 이야기나, 연날리기를 금지한 정부들의 이야기도 알 수 있습니다.</p> <p>또한, 연을 단순하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투티엠(Thủ Thiêm)에서 연을 날리는 것은 소소한 즐거움이기 때문입니다. 여름 더위가 가시기 시작하는 저녁 무렵에 시작됩니다. 아직 개발되지 않은 대로변에는 플라스틱 의자들이 줄지어 있고, 몇몇의 노점상들이 있어 차가운 음료와 간단한 길거리 음식을 팔고 있습니다. 연을 가져와서 혹은 그곳에서 연을 살 수도 있습니다. 연을 날리는 것은 몇 걸음 뛰면서 줄이 풀려 하늘로 날아오르는 것이며 간단합니다. 사실 연이 없어도 됩니다. 그저 의자에 편하게 앉아 친구 혹은 가족과 이야기하면서 하늘에 떠다니는 형형색색의 연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p>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3/05/15/11.webp" /></div> <p>연은 매우 조용합니다. 연을 볼때, 불꽃 축제나 스포츠 경기처럼 사람들의 외침과 감탄이 필요한 것이 아닙니다. 즐거움은 친구 또는 가족들과의 단순한 대화와 미소에서 시작됩니다. 제가 연 날리기에 대해 가장 감사하는 점일지도 모릅니다. 사이공은 다른 지역에 비해 생활하기 비싼 곳이며, 가족일 경우 더 많은 생활비가 필요합니다. 모든 사람이 레스토랑에 가거나 멋진 곳에서 즐길 여유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해서 신선한 공기와 야외에서 시간을 보낼 기회를 가지지 못할 이유는 없습니다. 연 날리기는 모든 사람들이 동일하게 누릴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과 어떻게든 맞춰야 할 필요도, 어떻게 맞춰야하는지에 대해서도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도시의 광활한 하늘에 멀리 솟아 있는 높은 건물들 사이, 크레용으로 적힌 아이들의 이름이 담긴 연들이 하늘을 물들이고 있습니다.</p> <div><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3/05/15/9.webp" /></div></div> 호치민의 상징인 핑크성당(Nhà Thờ Tân Định)의 유래 2023-03-01T16:00:00+07:00 2023-03-01T16:00:00+07:00 https://kr.saigoneer.com/사이공/13509-호치민의-상징인-핑크성당-nhà-thờ-tân-định-의-유래 Tim Doling. Top photo by Alberto Prieto. info@saigoneer.com <div class="feed-description"><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3/03/01/pink-church/06.webp" data-og-image="//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3/03/01/pink-church/00.webp" data-position="70% 70%" /></p> <p><em>“핑크 성당”이라고 하면 모두가 어느 성당인지 바로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이 건물이 바로 탄딘 성당(Tân Định Church)이며, 사이공에서 가장 오래되고 중요한 로마 가톨릭 교회 중 하나라는 사실을 잘 모릅니다.</em></p> <p>핑크 성당의 역사는 1874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이때 돈나티앵 에브이야르(Donatien Éveillard, 1835–1883) 신부가 이곳에 가톨릭 선교를 설립했습니다. 에브이야르 신부는 첫 번째 교회의 건설을 감독했으며, 이 교회는 15,000 피아스트르(38,000 프랑)의 비용으로 지어져 1876년 12월에 완공되었습니다.</p> <div class="smallest"><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3/03/01/pink-church/01.webp" /></div> <p>에브이야르 신부는 샤르트르의 성 바울 수녀회(Sisters of Saint-Paul de Chartres)를 초대하여 교회 옆에 고아원과 기숙 학교를 설립하게 했습니다. 이 탄딘 성당의 학교(Sainte Enfance de Tan-Dinh, 또는 École de Tan-Dinh)는 1877년에 문을 열었고, 1880년대 초반에는 약 300명의 아이들이 있었습니다.</p> <p>에브이야르 신부의 가장 큰 업적은 탄딘 성당의 종교 출판사인 Imprimerie de la Mission을 설립한 것입니다. 탄딘 성당의 학교에서는 어려운 아이들에게 출판업에 대한 교육을 알려주었습니다.</p> <div class="third-width centered"><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3/03/01/pink-church/02.webp" /></div> <p>지역 사회에서 많은 사랑을 받았던 에브이야르 신부는 1883년에 사망했으며, 교회 본당 아래에 묻혔습니다. 그의 묘비는 여전히 그곳에서 볼 수 있습니다.</p> <p>1890년대 초반에 이르러 원래의 교회와 학교 건물은 더 이상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에브이야르 신부의 후임자인 루이-유진 루베(Louis-Eugène Louvet, 1838–1900) 신부는 재건축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복권을 조직했습니다. 현재의 탄딘 성당의 대부분은 1896년부터 1898년 사이에 8,600 피아스트르(22,000 프랑)의 비용으로 재건축된 것입니다.</p> <div class="half-width left"><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3/03/01/pink-church/10.webp" /></div> <p>이 시기에 인접한 학교 건물들도 재건축되었고, 탄딘 성당의 학교(Sainte Enfance de Tan-Dinh) 내에 새로운 탄딘 농아학교(École des Sourds-Muets de Tan-Dinh)가 개교했습니다. 1908년까지 학교에는 4명의 프랑스 수녀와 10명의 베트남 수녀로 구성된 교직원을 갖추게 되었습니다.</p> <p>로마네스크 양식에 고딕과 르네상스 요소가 결합된 탄딘 성당은 높은 통으로된 지붕을 가진 본당(현재는 가짜 천장으로 가려져 있음)과, 아치형으로 분리된 측랑 및 외부 복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또한 얕은 아치형의 상층 갤러리인 트리포리움과 입구 근처 본당 양쪽에 돌출된 두 개의 반원형 예배당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교회에 들어서면 오른쪽 예배당은 마리아와 요셉에게, 왼쪽 예배당은 성녀 테레사에게 헌정되었습니다. 현재 외부 측랑 기둥을 장식하고 있는 성인상과 14개의 십자가의 길은 1890년대에 제작된 것입니다.</p> <p>루베 신부는 선교사 장프랑수아마리 제니브렐(Jean-François-Marie Génibrel, 1851–1914)을 임명하여 Imprimerie de la Mission 출판사를 운영하게 했습니다. 이후 몇 년 동안, 제니브렐은 종교 서적과 함께 주목할 만한 학술 출판물을 발행했습니다. 여기에는 "베트남어-프랑스어 회화 매뉴얼"(Manuel de conversation Annamite-Français, 1893), "프랑스어-베트남어 어휘집"(Vocabulaire Français-Annamite, 1898), "베트남어-프랑스어 어휘집"(Vocabulaire Annamite-Français, 1906) 및 "베트남어-프랑스어 사전"(Dictionnaire Annamite-Français, 1898)이 포함되며, 이 사전은 제니브렐이 14년간의 고된 연구 끝에 완성한 것입니다. 제니브렐은 또한 "프랑스어-베트남어 사전"(Dictionnaire Français-Annamite) 작업을 시작했으나 완성하지 못했습니다.</p> <div class="centered"><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3/03/01/pink-church/08.webp" /></div> <p>탄딘 성당의 출판사는 1951년까지 운영되었습니다. 특별 요청에 따라, 오늘날에도 몇몇 출판물과 오래된 인쇄 도구들을 Tôn Đức Thắng 6번지에 위치한 성 요셉 신학교 박물관에서 볼 수 있습니다.</p> <p>탄딘 성당는 1928년부터 1929년까지 추가 재건축을 거쳤으며, 이는 후에 첫 베트남인 주교가 되어 Phát Diệm 교구를 책임지게 된 장 밥티스트 응우옌 바 통(Jean-Baptiste Nguyễn Bá Tòng, 1868–1949) 신부에 의해 집권되었습니다.</p> <div class="smaller"><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3/03/01/pink-church/03.webp" /></div> <p>이 기간 동안 건물의 정면에는 52.62미터 높이의 6개의 종이 있는 팔각형 탑과 입구 현관이 추가되었고, 본당 천장 위에 가짜 천장이 설치되었습니다. 또한 본당 뒤쪽에는 새 공간을 마련하고 제단 양쪽에 넓은 개방형 좌석 공간을 만들기 위해 단층 U자형 후방 확장이 설치되었습니다.</p> <p>1928-1929년 재건축이 진행되는 동안, 부유한 프랑스 교구인 프랑수아 하스(François Haasz)와 그의 베트남인 아내 앤 톤 티 믹(Anne Tống Thị Mực)이 교회의 화려하게 장식된 이탈리아 대리석 고제대와 측면 제대 설치 비용을 부담했습니다. 이 제대들은 오늘날 사이공의 어떤 교회에서도 가장 뛰어난 장식 요소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p> <div class="centered"><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3/03/01/pink-church/04.webp" /></div> <p>1949년, 본당의 구조 기둥이 보강되었고, 1957년에는 교회가 보수되고 기억에 남는 분홍색으로 다시 칠해졌습니다(외부는 밝은 핑크, 내부는 딸기와 크림 색상). 그 이후로도 교회는 여러 차례 주요 보수 작업을 거쳤습니다.</p> <div class="smaller"><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3/03/01/pink-church/05.webp" /></div> <p>교회 옆에 있는 옛 탄딘 학교(Sainte Enfance de Tan-Dinh)는 여전히 샤르트르의 성 바울 수녀회에 의해 부분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현재 대부분의 건물은 Hai Bà Trưng 거리 295번지에 위치한 Hai Bà Trưng 고등학교로 사용되고 있습니다.</p> <p><em>Hai Bà Trưng 거리 289번지에 위치한 탄딘 성당는 매일 오전 8시부터 11시까지, 오후 2시부터 4시 30분까지 방문객들에게 개방됩니다. </em></p> <p><em>일요일은 휴무입니다.</em></p></div> <div class="feed-description"><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3/03/01/pink-church/06.webp" data-og-image="//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3/03/01/pink-church/00.webp" data-position="70% 70%" /></p> <p><em>“핑크 성당”이라고 하면 모두가 어느 성당인지 바로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이 건물이 바로 탄딘 성당(Tân Định Church)이며, 사이공에서 가장 오래되고 중요한 로마 가톨릭 교회 중 하나라는 사실을 잘 모릅니다.</em></p> <p>핑크 성당의 역사는 1874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이때 돈나티앵 에브이야르(Donatien Éveillard, 1835–1883) 신부가 이곳에 가톨릭 선교를 설립했습니다. 에브이야르 신부는 첫 번째 교회의 건설을 감독했으며, 이 교회는 15,000 피아스트르(38,000 프랑)의 비용으로 지어져 1876년 12월에 완공되었습니다.</p> <div class="smallest"><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3/03/01/pink-church/01.webp" /></div> <p>에브이야르 신부는 샤르트르의 성 바울 수녀회(Sisters of Saint-Paul de Chartres)를 초대하여 교회 옆에 고아원과 기숙 학교를 설립하게 했습니다. 이 탄딘 성당의 학교(Sainte Enfance de Tan-Dinh, 또는 École de Tan-Dinh)는 1877년에 문을 열었고, 1880년대 초반에는 약 300명의 아이들이 있었습니다.</p> <p>에브이야르 신부의 가장 큰 업적은 탄딘 성당의 종교 출판사인 Imprimerie de la Mission을 설립한 것입니다. 탄딘 성당의 학교에서는 어려운 아이들에게 출판업에 대한 교육을 알려주었습니다.</p> <div class="third-width centered"><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3/03/01/pink-church/02.webp" /></div> <p>지역 사회에서 많은 사랑을 받았던 에브이야르 신부는 1883년에 사망했으며, 교회 본당 아래에 묻혔습니다. 그의 묘비는 여전히 그곳에서 볼 수 있습니다.</p> <p>1890년대 초반에 이르러 원래의 교회와 학교 건물은 더 이상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에브이야르 신부의 후임자인 루이-유진 루베(Louis-Eugène Louvet, 1838–1900) 신부는 재건축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복권을 조직했습니다. 현재의 탄딘 성당의 대부분은 1896년부터 1898년 사이에 8,600 피아스트르(22,000 프랑)의 비용으로 재건축된 것입니다.</p> <div class="half-width left"><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3/03/01/pink-church/10.webp" /></div> <p>이 시기에 인접한 학교 건물들도 재건축되었고, 탄딘 성당의 학교(Sainte Enfance de Tan-Dinh) 내에 새로운 탄딘 농아학교(École des Sourds-Muets de Tan-Dinh)가 개교했습니다. 1908년까지 학교에는 4명의 프랑스 수녀와 10명의 베트남 수녀로 구성된 교직원을 갖추게 되었습니다.</p> <p>로마네스크 양식에 고딕과 르네상스 요소가 결합된 탄딘 성당은 높은 통으로된 지붕을 가진 본당(현재는 가짜 천장으로 가려져 있음)과, 아치형으로 분리된 측랑 및 외부 복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또한 얕은 아치형의 상층 갤러리인 트리포리움과 입구 근처 본당 양쪽에 돌출된 두 개의 반원형 예배당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교회에 들어서면 오른쪽 예배당은 마리아와 요셉에게, 왼쪽 예배당은 성녀 테레사에게 헌정되었습니다. 현재 외부 측랑 기둥을 장식하고 있는 성인상과 14개의 십자가의 길은 1890년대에 제작된 것입니다.</p> <p>루베 신부는 선교사 장프랑수아마리 제니브렐(Jean-François-Marie Génibrel, 1851–1914)을 임명하여 Imprimerie de la Mission 출판사를 운영하게 했습니다. 이후 몇 년 동안, 제니브렐은 종교 서적과 함께 주목할 만한 학술 출판물을 발행했습니다. 여기에는 "베트남어-프랑스어 회화 매뉴얼"(Manuel de conversation Annamite-Français, 1893), "프랑스어-베트남어 어휘집"(Vocabulaire Français-Annamite, 1898), "베트남어-프랑스어 어휘집"(Vocabulaire Annamite-Français, 1906) 및 "베트남어-프랑스어 사전"(Dictionnaire Annamite-Français, 1898)이 포함되며, 이 사전은 제니브렐이 14년간의 고된 연구 끝에 완성한 것입니다. 제니브렐은 또한 "프랑스어-베트남어 사전"(Dictionnaire Français-Annamite) 작업을 시작했으나 완성하지 못했습니다.</p> <div class="centered"><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3/03/01/pink-church/08.webp" /></div> <p>탄딘 성당의 출판사는 1951년까지 운영되었습니다. 특별 요청에 따라, 오늘날에도 몇몇 출판물과 오래된 인쇄 도구들을 Tôn Đức Thắng 6번지에 위치한 성 요셉 신학교 박물관에서 볼 수 있습니다.</p> <p>탄딘 성당는 1928년부터 1929년까지 추가 재건축을 거쳤으며, 이는 후에 첫 베트남인 주교가 되어 Phát Diệm 교구를 책임지게 된 장 밥티스트 응우옌 바 통(Jean-Baptiste Nguyễn Bá Tòng, 1868–1949) 신부에 의해 집권되었습니다.</p> <div class="smaller"><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3/03/01/pink-church/03.webp" /></div> <p>이 기간 동안 건물의 정면에는 52.62미터 높이의 6개의 종이 있는 팔각형 탑과 입구 현관이 추가되었고, 본당 천장 위에 가짜 천장이 설치되었습니다. 또한 본당 뒤쪽에는 새 공간을 마련하고 제단 양쪽에 넓은 개방형 좌석 공간을 만들기 위해 단층 U자형 후방 확장이 설치되었습니다.</p> <p>1928-1929년 재건축이 진행되는 동안, 부유한 프랑스 교구인 프랑수아 하스(François Haasz)와 그의 베트남인 아내 앤 톤 티 믹(Anne Tống Thị Mực)이 교회의 화려하게 장식된 이탈리아 대리석 고제대와 측면 제대 설치 비용을 부담했습니다. 이 제대들은 오늘날 사이공의 어떤 교회에서도 가장 뛰어난 장식 요소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p> <div class="centered"><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3/03/01/pink-church/04.webp" /></div> <p>1949년, 본당의 구조 기둥이 보강되었고, 1957년에는 교회가 보수되고 기억에 남는 분홍색으로 다시 칠해졌습니다(외부는 밝은 핑크, 내부는 딸기와 크림 색상). 그 이후로도 교회는 여러 차례 주요 보수 작업을 거쳤습니다.</p> <div class="smaller"><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3/03/01/pink-church/05.webp" /></div> <p>교회 옆에 있는 옛 탄딘 학교(Sainte Enfance de Tan-Dinh)는 여전히 샤르트르의 성 바울 수녀회에 의해 부분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현재 대부분의 건물은 Hai Bà Trưng 거리 295번지에 위치한 Hai Bà Trưng 고등학교로 사용되고 있습니다.</p> <p><em>Hai Bà Trưng 거리 289번지에 위치한 탄딘 성당는 매일 오전 8시부터 11시까지, 오후 2시부터 4시 30분까지 방문객들에게 개방됩니다. </em></p> <p><em>일요일은 휴무입니다.</em></p></div> [사진] 흑백사진으로 본 1966-1967년 사이공의 명소 2021-12-16T21:02:32+07:00 2021-12-16T21:02:32+07:00 https://kr.saigoneer.com/사이공/13460-사진-흑백사진으로-본-1966-1967년-사이공의-명소 Saigoneer. info@saigoneer.com <div class="feed-description"><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1/12/13/henri/1.webp" data-og-image="//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1/12/13/henri/fb-henri0b.jpg" data-position="50% 100%" /></p> <p>사진 속 배경 이야기는 중요하다. 그렇지만 가끔은 단순히 이미지만 관찰하는 것이 더 좋다.</p> <p><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후자의 경우, 1966년부터 1967년까지 사이공에서 Henri Huet가 촬영한 </span><a href="https://www.flickr.com/photos/13476480@N07/albums/72157720104258103/with/51283985100/"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일련의 사진집</a><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을 보며 확인할 수 다. </span><a href="https://www.flickr.com/photos/13476480@N07/albums/72157720104258103"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Flickr 사용자 manhhai</a><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가 제공하는 최소한의 정보와 온라인 검색으로 Huet가 AP통신과 작업한 가장 잘 알려진 달랏 태생의 프랑스 전쟁 사진작가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span></p> <p><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여기서 보여주는 Huet의 흑백 사진들은 그 당시 사이공의 많은 랜드마크를 보여주고 있으며, 그중 일부는 오늘날에도 존재하고, 나머지는 사라졌다.</span></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1/12/13/henri/2.webp" alt="" /></p> <p class="image-caption"><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미국 국제개발처(USAID)의 본부는 Le Van Duyet Street에 있었지만, 지금은 없어졌다</span></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1/12/13/henri/3.webp" alt="" /></p> <p class="image-caption">독립궁이라고 불렸던 통일궁.</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1/12/13/henri/4.webp" alt="" /></p> <p class="image-caption">Vinh Nghiem Pagoda 건너편에 있는 불교 청년 본부.</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1/12/13/henri/5.webp" alt="" /></p> <p class="image-caption"><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오늘날 Ly Tu Trong 거리에 있는 호치민시 박물관. 1960년대에는 Gia Long Palace라고 불렸다.</span></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1/12/13/henri/6.webp" alt="" /></p> <p class="image-caption"><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1967년 6월 새로 지어진 미국 대사관.</span></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1/12/13/henri/7.webp" alt="" /></p> <p class="image-caption"><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1966년 5월 31일 Việt Nam Quốc Tự의 외부 모습.</span></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1/12/13/henri/8.webp" alt="" /></p> <p class="image-caption"><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사이공에 있는 불교 연구소.</span></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1/12/13/henri/9.webp" alt="" /></p> <p class="image-caption"><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국가 경찰 본부.</span></p></div> <div class="feed-description"><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1/12/13/henri/1.webp" data-og-image="//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1/12/13/henri/fb-henri0b.jpg" data-position="50% 100%" /></p> <p>사진 속 배경 이야기는 중요하다. 그렇지만 가끔은 단순히 이미지만 관찰하는 것이 더 좋다.</p> <p><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후자의 경우, 1966년부터 1967년까지 사이공에서 Henri Huet가 촬영한 </span><a href="https://www.flickr.com/photos/13476480@N07/albums/72157720104258103/with/51283985100/"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일련의 사진집</a><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을 보며 확인할 수 다. </span><a href="https://www.flickr.com/photos/13476480@N07/albums/72157720104258103"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Flickr 사용자 manhhai</a><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가 제공하는 최소한의 정보와 온라인 검색으로 Huet가 AP통신과 작업한 가장 잘 알려진 달랏 태생의 프랑스 전쟁 사진작가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span></p> <p><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여기서 보여주는 Huet의 흑백 사진들은 그 당시 사이공의 많은 랜드마크를 보여주고 있으며, 그중 일부는 오늘날에도 존재하고, 나머지는 사라졌다.</span></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1/12/13/henri/2.webp" alt="" /></p> <p class="image-caption"><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미국 국제개발처(USAID)의 본부는 Le Van Duyet Street에 있었지만, 지금은 없어졌다</span></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1/12/13/henri/3.webp" alt="" /></p> <p class="image-caption">독립궁이라고 불렸던 통일궁.</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1/12/13/henri/4.webp" alt="" /></p> <p class="image-caption">Vinh Nghiem Pagoda 건너편에 있는 불교 청년 본부.</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1/12/13/henri/5.webp" alt="" /></p> <p class="image-caption"><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오늘날 Ly Tu Trong 거리에 있는 호치민시 박물관. 1960년대에는 Gia Long Palace라고 불렸다.</span></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1/12/13/henri/6.webp" alt="" /></p> <p class="image-caption"><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1967년 6월 새로 지어진 미국 대사관.</span></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1/12/13/henri/7.webp" alt="" /></p> <p class="image-caption"><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1966년 5월 31일 Việt Nam Quốc Tự의 외부 모습.</span></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1/12/13/henri/8.webp" alt="" /></p> <p class="image-caption"><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사이공에 있는 불교 연구소.</span></p> <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1/12/13/henri/9.webp" alt="" /></p> <p class="image-caption"><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국가 경찰 본부.</span></p></div> 1학년 학부모의 70% 이상이 대면 수업을 반대 2021-12-09T22:42:39+07:00 2021-12-09T22:42:39+07:00 https://kr.saigoneer.com/사이공/13455-1학년-학부모의-70-이상이-대면-수업을-반대 Saigoneer. info@saigoneer.com <div class="feed-description"><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1/12/08/children0.webp" data-og-image="//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1/12/08/children0b.jpg" data-position="60% 50%" /></p> <p>사이공의 1학년 학생들을 위한 대면 학습은 12월 13일부터 2주 동안 시범 프로그램으로 재개될 예정이지만 학부모의 70% 이상이 자녀가 교실로 돌아가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p> <p><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지난주 호치민시 인민위원회는 1, 9, 12학년 학생들을 위한 개학 </span><a href="https://vietnamnet.vn/en/society/hcm-city-to-pilot-school-reopening-in-two-weeks-797766.html"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계획을 발표했다.</a><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4개의 코로나19 경보 수준이 도시의 각 학교에 적용되어 </span><a href="https://www.sggpnews.org.vn/education/hcmcs-firstgrade-students-to-take-halfday-inperson-class-96144.html"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운영 방식이 결정된다.</a></p> <p><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1단계는 오전에 정원의 100%로 운영 할 수 있다. 2단계는 정원의 50%에서 대면 오전 수업을 제공한다. 3단계 학교는 50% 정원으로 일주일에 3일 오전 수업만 운영한다. 4단계로 지정된 사람들은 계속해서 완전히 온라인으로 수업을 제공한다. 다른 모든 초등학교 학년은 온라인 학습을 계속할 것이다.</span></p> <p><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그러나 학부모들은 이 계획에 열성적이지 않다. 사이공 공립 및 사립 학교의 1학년 학부모 121,700명 중 85,400명이 대면 수업으로 복귀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span><a href="https://zingnews.vn/hon-70-phu-huynh-lop-1-o-tphcm-chua-muon-cho-con-den-truong-post1281620.html"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응답했다.</a><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span><a href="https://saigoneer.com/saigon-news/20690-saigon-begins-vaccinating-students-to-prepare-for-school-reopening"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중학생과 달리</a><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1학년 학생들이 아직 예방 접종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우려하고 있으며, 먼저 고등학생들에게 재개방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관찰하고 싶어 한다.</span></p> <p><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코로나19로 입원하는 아이들이 </span><a href="https://www.thestar.com.my/aseanplus/aseanplus-news/2021/12/07/covid-sends-increasing-number-of-vietnam-children-to-hospital"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늘어나고 있고</a><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의사들은 비만, 천식 등 기저질환이 있는 아이들만이 심각한 증상을 보일 위험이 있다고 말하지만, 부모들은 감염된 아이들이 취약한 가족에게 바이러스를 퍼뜨릴 것을 우려하고 있다. .</span></p> <p><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비슷한 </span><a href="https://www.sggpnews.org.vn/education/hcmc-formulates-flexible-plan-to-reopen-schools-96147.html"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2주 시험 운영 프로그램</a><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으로 도시 전역의 12학년 및 9학년 학생들이 12월 13일에 학교로 돌아가고 12월 20일에 등교를 하도록 발표하였다. 수업은 35명으로 제한되며 교실 재배치는 사회적 거리를 최대화하며, 수업은 오전 4회, 오후 온라인 학습으로 제한한다.</span></p> <p><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재개교에는 위생 강화, 환기 테스트 및 접촉자 추적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 당국은 학교가 지역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적절한 일정, 절차 및 요구 사항을 결정할 자율성을 갖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Can Gio 지역의 몇몇 학교는 지역의 낮은 감염 위험으로 인해 12월 13일에 모든 학년을 개학한다.</span></p> <p><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12월 27일에는 시범 운영 프로그램을 검토하고 1월 3일부터 모든 학년의 수업을 재개할 계획을 논의하는 </span><a href="https://www.sggpnews.org.vn/education/hcmc-to-start-experimental-program-on-inperson-learning-on-december-13-96115.html"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회의가 열린다.</a></p> <p><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교육자들은 온라인 학습으로 인해 학생들 사이에 지식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는 </span><a href="https://www.sggpnews.org.vn/education/educators-wonder-how-to-bridge-learning-gap-after-prolonged-eclasses-95914.html"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우려를 표명했다.</a><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네트워크 연결, 기술 접근성, 가정환경 및 성격의 차이로 인해 학교 수업이 중단된 동안 모든 학생이 평등한 학습 경험을 경험한 것은 아니다.</span></p> <p><em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최근 소식: 12월 8일 아침부터 호치민시 교육 훈련부는 2주 시범 프로그램에서 <a href="https://tuoitre.vn/tp-hcm-chua-day-hoc-truc-tiep-cho-tre-5-tuoi-va-lop-1-20211208091551918.htm">1학년을 제외한 고학년 학생들만 진행할 것이다.</a></em></p></div> <div class="feed-description"><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1/12/08/children0.webp" data-og-image="//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1/12/08/children0b.jpg" data-position="60% 50%" /></p> <p>사이공의 1학년 학생들을 위한 대면 학습은 12월 13일부터 2주 동안 시범 프로그램으로 재개될 예정이지만 학부모의 70% 이상이 자녀가 교실로 돌아가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p> <p><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지난주 호치민시 인민위원회는 1, 9, 12학년 학생들을 위한 개학 </span><a href="https://vietnamnet.vn/en/society/hcm-city-to-pilot-school-reopening-in-two-weeks-797766.html"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계획을 발표했다.</a><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4개의 코로나19 경보 수준이 도시의 각 학교에 적용되어 </span><a href="https://www.sggpnews.org.vn/education/hcmcs-firstgrade-students-to-take-halfday-inperson-class-96144.html"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운영 방식이 결정된다.</a></p> <p><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1단계는 오전에 정원의 100%로 운영 할 수 있다. 2단계는 정원의 50%에서 대면 오전 수업을 제공한다. 3단계 학교는 50% 정원으로 일주일에 3일 오전 수업만 운영한다. 4단계로 지정된 사람들은 계속해서 완전히 온라인으로 수업을 제공한다. 다른 모든 초등학교 학년은 온라인 학습을 계속할 것이다.</span></p> <p><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그러나 학부모들은 이 계획에 열성적이지 않다. 사이공 공립 및 사립 학교의 1학년 학부모 121,700명 중 85,400명이 대면 수업으로 복귀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span><a href="https://zingnews.vn/hon-70-phu-huynh-lop-1-o-tphcm-chua-muon-cho-con-den-truong-post1281620.html"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응답했다.</a><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span><a href="https://saigoneer.com/saigon-news/20690-saigon-begins-vaccinating-students-to-prepare-for-school-reopening"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중학생과 달리</a><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1학년 학생들이 아직 예방 접종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우려하고 있으며, 먼저 고등학생들에게 재개방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관찰하고 싶어 한다.</span></p> <p><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코로나19로 입원하는 아이들이 </span><a href="https://www.thestar.com.my/aseanplus/aseanplus-news/2021/12/07/covid-sends-increasing-number-of-vietnam-children-to-hospital"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늘어나고 있고</a><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의사들은 비만, 천식 등 기저질환이 있는 아이들만이 심각한 증상을 보일 위험이 있다고 말하지만, 부모들은 감염된 아이들이 취약한 가족에게 바이러스를 퍼뜨릴 것을 우려하고 있다. .</span></p> <p><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비슷한 </span><a href="https://www.sggpnews.org.vn/education/hcmc-formulates-flexible-plan-to-reopen-schools-96147.html"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2주 시험 운영 프로그램</a><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으로 도시 전역의 12학년 및 9학년 학생들이 12월 13일에 학교로 돌아가고 12월 20일에 등교를 하도록 발표하였다. 수업은 35명으로 제한되며 교실 재배치는 사회적 거리를 최대화하며, 수업은 오전 4회, 오후 온라인 학습으로 제한한다.</span></p> <p><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재개교에는 위생 강화, 환기 테스트 및 접촉자 추적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 당국은 학교가 지역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적절한 일정, 절차 및 요구 사항을 결정할 자율성을 갖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Can Gio 지역의 몇몇 학교는 지역의 낮은 감염 위험으로 인해 12월 13일에 모든 학년을 개학한다.</span></p> <p><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12월 27일에는 시범 운영 프로그램을 검토하고 1월 3일부터 모든 학년의 수업을 재개할 계획을 논의하는 </span><a href="https://www.sggpnews.org.vn/education/hcmc-to-start-experimental-program-on-inperson-learning-on-december-13-96115.html"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회의가 열린다.</a></p> <p><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교육자들은 온라인 학습으로 인해 학생들 사이에 지식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는 </span><a href="https://www.sggpnews.org.vn/education/educators-wonder-how-to-bridge-learning-gap-after-prolonged-eclasses-95914.html"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우려를 표명했다.</a><span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네트워크 연결, 기술 접근성, 가정환경 및 성격의 차이로 인해 학교 수업이 중단된 동안 모든 학생이 평등한 학습 경험을 경험한 것은 아니다.</span></p> <p><em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최근 소식: 12월 8일 아침부터 호치민시 교육 훈련부는 2주 시범 프로그램에서 <a href="https://tuoitre.vn/tp-hcm-chua-day-hoc-truc-tiep-cho-tre-5-tuoi-va-lop-1-20211208091551918.htm">1학년을 제외한 고학년 학생들만 진행할 것이다.</a></em></p></div> 사이공, 금요일부터 공공 자전거 대여 서비스 시작 2021-12-08T20:17:05+07:00 2021-12-08T20:17:05+07:00 https://kr.saigoneer.com/사이공/13454-사이공,-금요일부터-공공-자전거-대여-서비스-시작 Saigoneer. info@saigoneer.com <div class="feed-description"><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1/12/07/bike0.webp" data-og-image="//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1/12/07/bike0b.jpg" data-position="50% 50%" /></p> <p>사이공 사람들은 도시를 돌아 다니는 새로운 방법을 갖게 될 것이다.</p> <p><em>VnExpress&nbsp;</em><a href="https://e.vnexpress.net/news/news/hcmc-readies-stations-for-public-bike-service-4398516.html" target="“_blank"">에 따르면</a> Tri Nam Corporation은 이번 주 금요일인 12월 10일에 오랫동안 논의된 공공 자전거 대여 시스템을 선보일 계획이다. 최대 500대의 자전거가 사이공 중심가 주변의 43개 역에 배치된다.</p> <p>자전거에는 GPS 및 블루투스 연결 스마트 잠금 장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대여 비용은 30분에 5,000 동, 1시간에 10,000동이다. 다른 가격은 추후 발표될 예정이며 처음 15분은 라이더에게 무료로 제공된다.</p> <p><em>Tuoi Tre News</em><a href="https://tuoitrenews.vn/news/society/20211205/residents-try-out-bike-rental-service-in-downtown-ho-chi-minh-city/64550.html" target="“_blank"">는 또한</a> Nguyen Hue와 Le Loi의 모퉁이에 있는 자전거 주차 구역이 주민들에게 자전거를 시험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난 주말 초에 문을 열었다고 덧붙였다. 시스템을 사용하려면 사용자는 가장 가까운 역을 표시하고 자전거를 빌릴 시간을 선택할 수 있는 <a href="https://apps.apple.com/ua/app/tngo/id1552166916" target="_blank">TNGO 앱</a>을 설치해야 한다. 이 앱은 현재 베트남어로만 제공된다.</p> <p>자전거 대여 서비스는 원래 4월에 공개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앱으로 인해 연기되었다. 1년 동안 시범 운영을 한 후 Tri Nam과 현지 공무원이 향후 조치를 결정할 예정이다.&nbsp;</p> <p><em>Saigoneer&nbsp;</em>는 이번 주 초에 첫 번째 역을 방문했지만 사용할 수 있는 자전거가 없었고 자전거 랙이나 시스템 간판과 같은 기반 시설의 흔적도 없었다.&nbsp;</p> <p>이것은 락다운 이후 많은 도시 주민들이 자전거 타기를 <a href="https://e.vnexpress.net/news/life/trend/young-saigonese-take-to-cycling-after-long-lockdown-4394978.html" target="“_blank"">즐기기</a> 시작하며 도시 전역의 자전거 상점에서 정기적으로 대여용 자전거가 품절되는 현상에 이은 것이다.</p> <p>[사진 출처 Gia Minh, <a href="https://thanhnien.vn/nguoi-dan-tp-hcm-hao-hung-trai-nghiem-xe-dap-cong-cong-tai-quan-1-post1408061.html" target="_blank"><em>Thanh Nien</em></a>]</p> <p>&nbsp;</p></div> <div class="feed-description"><p><img src="//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1/12/07/bike0.webp" data-og-image="//media.urbanistnetwork.com/saigoneer/article-images/2021/12/07/bike0b.jpg" data-position="50% 50%" /></p> <p>사이공 사람들은 도시를 돌아 다니는 새로운 방법을 갖게 될 것이다.</p> <p><em>VnExpress&nbsp;</em><a href="https://e.vnexpress.net/news/news/hcmc-readies-stations-for-public-bike-service-4398516.html" target="“_blank"">에 따르면</a> Tri Nam Corporation은 이번 주 금요일인 12월 10일에 오랫동안 논의된 공공 자전거 대여 시스템을 선보일 계획이다. 최대 500대의 자전거가 사이공 중심가 주변의 43개 역에 배치된다.</p> <p>자전거에는 GPS 및 블루투스 연결 스마트 잠금 장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대여 비용은 30분에 5,000 동, 1시간에 10,000동이다. 다른 가격은 추후 발표될 예정이며 처음 15분은 라이더에게 무료로 제공된다.</p> <p><em>Tuoi Tre News</em><a href="https://tuoitrenews.vn/news/society/20211205/residents-try-out-bike-rental-service-in-downtown-ho-chi-minh-city/64550.html" target="“_blank"">는 또한</a> Nguyen Hue와 Le Loi의 모퉁이에 있는 자전거 주차 구역이 주민들에게 자전거를 시험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난 주말 초에 문을 열었다고 덧붙였다. 시스템을 사용하려면 사용자는 가장 가까운 역을 표시하고 자전거를 빌릴 시간을 선택할 수 있는 <a href="https://apps.apple.com/ua/app/tngo/id1552166916" target="_blank">TNGO 앱</a>을 설치해야 한다. 이 앱은 현재 베트남어로만 제공된다.</p> <p>자전거 대여 서비스는 원래 4월에 공개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앱으로 인해 연기되었다. 1년 동안 시범 운영을 한 후 Tri Nam과 현지 공무원이 향후 조치를 결정할 예정이다.&nbsp;</p> <p><em>Saigoneer&nbsp;</em>는 이번 주 초에 첫 번째 역을 방문했지만 사용할 수 있는 자전거가 없었고 자전거 랙이나 시스템 간판과 같은 기반 시설의 흔적도 없었다.&nbsp;</p> <p>이것은 락다운 이후 많은 도시 주민들이 자전거 타기를 <a href="https://e.vnexpress.net/news/life/trend/young-saigonese-take-to-cycling-after-long-lockdown-4394978.html" target="“_blank"">즐기기</a> 시작하며 도시 전역의 자전거 상점에서 정기적으로 대여용 자전거가 품절되는 현상에 이은 것이다.</p> <p>[사진 출처 Gia Minh, <a href="https://thanhnien.vn/nguoi-dan-tp-hcm-hao-hung-trai-nghiem-xe-dap-cong-cong-tai-quan-1-post1408061.html" target="_blank"><em>Thanh Nien</em></a>]</p> <p>&nbsp;</p></d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