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바이들이 하나둘씩 도착했고, 천으로 덮인 새장들을 실은 채 커피숍 옆 자갈 주차장에 멈춰 섰습니다. 사이공이어는 새장 속 새들이 거친 풀밭 위에 매달려 지저귀는 소리를 들으며 앉아 있었습니다.


우리는 새 노래 경연 대회를 구경하기 위해 빈탄 외곽으로 초대받았습니다. 여러 골목길을 지나 “카페 선 위언(Cà Phê Sân Vườn)”이라는 간판이 걸린 문을 통과한 후, 야자수와 집들 뒷편에 둘러싸여 있는 소박한 플라스틱 테이블들이 놓인 장소가 맞다고 생각했습니다. 새 카페는 그리 드문 풍경이 아니니까요. 전국의 도시와 마을에는 종종 나이 든 남성들이 새장을 들고 찾아오는 작은 커피숍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담배를 피우고, 카페 쓰어 다를 마시며 수다를 떠는 동안, 새들은 머리 위에서 짹짹, 구구거립니다. 다른 새들의 존재는 자연스러운 경쟁심을 자극해 그들의 에너지를 끌어올리죠.

“집에서는 저와 제 새만 있어서 새가 노래를 부를 때 특별한 자극 없이 본능적으로만 노래를 부릅니다. 하지만 밖에 나가 더 많은 새들과 상대를 만나면, 새들이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기회를 얻게 되죠,”라고 동양참새와 흰허리솔새 옆에서 이야기를 나눈 젊은 조류 애호가 응우옌 후 지(Nguyễn Hữu Duy)가 설명했습니다. “수줍은 새들은 노래를 부르지 않을 수도 있지만, 자신감 있는 새들은 자랑을 하죠... 노래하고, 춤추고, 날개를 펼칩니다. 그래서 우리는 항상 새들을 모아 자신의 새 사랑을 공유하고, 그들의 키우는 새의 능력과 아름다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소로 데려가고 싶어합니다.”
우리는 소박한 가정집을 개조한 가게에서 음료를 주문하고 경연이 시작되기를 기다렸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 경기에 대해 완전히 초보자였기에, 한 직원이 다가와 경연이 곧 시작될 테니 뒤쪽 구역으로 가도 된다고 알려줬습니다.

나무들로 둘러싸인 큰 플랫폼이 연못 위에 있었고, 연못은 연꽃으로 덮여 있었습니다. 연꽃의 분홍색 꽃들이 얕은 물 위로 그림자를 드리웠습니다. 카페 주인이자 행사 주최자인 타인퐁은 접이식 테이블에 앉아 라미네이트 처리된 번호표를 나눠주고 있었고, 사람들이 모여들기 시작했습니다. 남자들은 새장을 무대로 가져와 덮개를 벗기자, 적부리박새들이 바에서 바로 뛰어다니며 불안한 지저귐과 날카로운 3음, 4음의 선율을 내뿜었습니다. 새를 가장 잘 볼 수 있는 테이블 위에 있는 타이머는 4분으로 맞춰졌습니다. 휴대전화는 행사를 촬영하기 위해 특별히 제작된 홀더에 끼워져있었습니다.



새 카페 로고가 새겨진 하늘색 폴로 셔츠를 맞춰 입은 두 남자가 새장들을 가까이 배치해 새들이 서로 마주 보도록 걸기 시작했습니다. 이렇게 하면 새들이 경쟁 모드로 전환됩니다. 준비가 진행되는 동안, 우리 옆에 있던 한 친절한 관객이 경연에 대해 더 설명해 주었습니다. 규칙은 간단했습니다: 참가한 새가 노래를 멈추거나, 새장 바닥으로 내려가거나, 깃털을 다듬기 위해 춤을 멈추면 경고를 받습니다. 4분 동안의 라운드에서 경고를 세 번 받으면 탈락입니다.
우리가 참석한 화요일 아침에는 35명 이상의 참가자가 있었고, 플랫폼 옆에 놓인 큰 트로피들 옆의 시상대에 오를 몇 명만을 가려내기까지는 시간이 좀 걸렸습니다. 덕분에 우리는 이 활동에 대해 더 많은 것을 배울 시간을 가졌습니다. 대회에 12년에서 13년 동안 참여해온 레 흥이라는 남자와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그는 어린 시절부터 새를 키워왔다고 합니다.

흥은 자신이 즐기는 취미에 대해 외부 사람들과 이야기할 기회가 거의 없는 사람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진지한 열정을 가지고 말했습니다. 우리는 단순히 새 경연의 어떤 점이 그에게 매력을 느끼게 하는지 물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열정입니다. 새를 데리고 대회에 나가면 일종의 흥분감이 생기죠. 예를 들어, 예선 라운드에서 22마리의 새 중에서 2마리가 탈락하고 20마리가 남았을 때, 제 흥분은 최고조에 달합니다. 그때는 제 새를 쳐다볼 수도 없어요. 그게 바로 스릴이에요. 저는 그 스릴을 즐기기 위해 돈을 씁니다. 상위 20위 안에 들고 상을 받으면, 저는 기쁘고, 행복하고, 자랑스러워요. 친구들과 서로 껴안으며 기뻐합니다."

이야기를 나누는 동안, 흥은 가끔씩 뒤에서 진행 중인 경연을 힐끔힐끔 살피며 19번 새장이 어떻게 하고 있는지 확인했습니다. 하지만 그의 차분한 태도와 성의 있는 답변은 적어도 예선 라운드에서는 자신의 새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습니다. 그는 집에 다른 새 네 마리에서 다섯 마리 정도 더 키우고 있지만, 그들은 현재 털갈이 중이어서 이번에는 며칠 전 나트랑에서 구한 새를 데려왔습니다. 이 새와는 첫 대회였습니다.
"운이 약 30%를 차지합니다,"라고 흥은 새를 대회에서 우승하도록 준비하는 방법을 묻자 대답했습니다. "훈련은 없습니다. 각 새마다 타고난 특성이 있어서, 그 새가 원래 좋아야 합니다. 사람마다 새를 키우는 고유한 방식이 있죠. 훈련은 없지만, 적절한 먹이, 휴식, 위생 관리 같은 케어 루틴을 통해 새의 본성을 잘 키워야 합니다."
새의 타고난 본성이 중요하고 훈련이 불가능하다는 점은, 겉보기에는 다소 터무니없어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한 마리의 새가 보통 4천만에서 5천만 동에 거래되며, 대회에서 우승하면 그 이상의 가치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한 참가자는, 대회에서 우승한 사진 증거와 함께 온라인 그룹에 새를 게시하면 그 가격이 2억 동에 달할 수 있다고 말해주었습니다.


적부리박새는 아시아, 특히 베트남의 산악 지역에 서식하는 새로, 사육 상태에서는 번식이 잘되지 않기 때문에 주로 야생에서 포획됩니다. 이 새는 검은 깃털의 볏과 눈 아래의 붉은 깃털 덩어리로 쉽게 구별되며, 이러한 특징 때문에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그들의 울음소리는 "킨카쥬", "페티그루", "킥-페티그루" 또는 "플리즈 투 미트 유"라고 묘사되기도 합니다. 주로 작은 무리로 모여 생활하지만, 먹이가 많을 할 때는 그 수가 50마리까지 늘어나며, 이때가 가장 열정적인 짝짓기와 영토 표시 울음을 들을 수 있는 시기입니다. 베트남에서 열리는 새 노래 경연 대회에 사용되는 유일한 새는 아니지만, 그들의 노래가 듣기 좋고 아름다운 톤을 지니고 있어 가장 인기 있는 종입니다.

경연이 본격적으로 뜨거워지자 우리는 다시 자리로 돌아가고, 흥은 무대 가까이로 이동해 경기를 지켜보았습니다. 참가자 수가 20명으로 줄어들자 그의 긴장감이 뚜렷하게 보였습니다. 약 50명 정도 되는 관중들은 경기에 집중하며, 우리가 미처 알아차리거나 이해하지 못한 어떤 상황에 때때로 외치기도 했습니다. 사회자는 새들의 행동에 대해 간간이 설명을 해주었지만, 새장 속의 혼란스러운 바와 날갯짓 속에서 관찰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비록 우리가 실제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잘 모르긴 했지만, 우리는 흥의 19번 새를 같이 응원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아쉽게도 새의 신들은 우리에게 디즈니 영화 같은 해피 엔딩을 허락하지 않았습니다. 그의 새는 10마리로 줄어든 후 탈락하고 말았습니다.



그래도 흥은 그의 새가 첫 대회에서 선보인 성과에 만족한 듯 보였고, 기념 배너와 트로피를 받는 사진 촬영을 위해 우리를 무대 위로 보내기도 했습니다 (10만 동의 참가비를 간신히 충당한 소박한 상금). 시상식이 끝난 후에도 참가자들은 남아서 이야기를 나누고, 농담을 주고받으며, 먹이용 귀뚜라미를 사고, 물론 자신들의 사랑스러운 새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이전 대화에서 공동체 의식이 이 대회의 진정한 의미라고 언급했었습니다. “같은 열정을 가진 사람들과 함께 모일 수 있는 장소에서 우리는 서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함께 만나서 공통된 관심사를 즐길 계획을 세우기도 하고, 함께 놀고 교류할 수 있는 그룹도 있습니다,”라고 그가 말했습니다. 이런 대면 사교의 기회는 특히 같은 사람들이 다른 지역에서 이사 와서 처음에는 아는 사람이 없을 수 있는 도시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 같습니다.


새에 대한 공통된 사랑이 이 남성들을 하나로 묶어주지만, 그들은 모일 장소가 필요합니다. 이때 등장하는 인물이 바로 카페 주인 타이퐁입니다. 우리가 처음 그에게 새 카페를 방문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을 때, 그는 매우 친절하게 응대해 주었으며, 우리에게 이 활동뿐만 아니라 흥을 소개하는 데에도 열정적이었습니다. 그래서 그가 실제로 새를 기르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았을 때 우리는 상당히 놀랐습니다. 그는 새들의 노랫소리를 즐기고 그들의 우아한 날갯짓을 좋아하지만, 직접 새를 키우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대신, 새 카페를 시작한 이유에 대해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제 여동생이 근처에 골동품 시장을 열어 사람들이 모여 골동품을 교환할 수 있게 했습니다. 그때 저는 이 지역과 공간에 독특한 문화적 요소를 더하기 위해 옆에 새 카페를 만들겠다는 아이디어를 떠올렸어요. 사람들은 추억과 향수를 찾고 싶을 때 여기로 올 수 있어요. 시장을 방문한 후, 이곳에 와서 새들이 노래하고 춤추는 모습을 감상하며 그 분위기를 즐길 수 있습니다."

타이퐁은 영리한 사업가일지 몰라도, 이곳이 단순히 틈새시장을 공략해 이익을 얻는 것 이상이라는 사실을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평소에는 거칠게 느껴질 수 있는 남성들이 작은 새들을 세심하게 돌보고 미소 짓는 모습을 보는 것은 우리에게 따뜻한 행복을 안겨주었습니다. 단순히 어떤 물건이나 동물을 탐구하는 일이 아니라, 인간성과 사람들이 도시에서 어떻게 관계를 형성하는지를 깨닫게 해준 또 다른 경험이었습니다. 타이퐁은 이 공동체에서 가장 소중하게 여기는 점을 말하며 이러한 감정을 되새겼습니다. "여기 오는 손님들, 나이든 장인들, 그리고 젊은 애호가들 모두가 아주 온화합니다. 분위기가 매우 여유롭고, 사람들이 와서 새들의 노랫소리를 들으며 커피를 즐기고 대화를 나눕니다. 계층 간의 차이가 없어요. 이 공간에 들어서는 순간 모두가 같은 열정을 공유하는 겁니다."


새를 직접 기르거나 열렬한 애호가가 아니더라도, ‘카페 위언 짐’이나 사이공의 다른 여러 새 카페들을 방문해보는 것은 충분히 즐길 만한 경험입니다. 그저 따뜻한 공동체 속에 녹아들어, 그들이 가진 차분한 열정을 자연스럽게 느끼기만 해도 그 방문은 충분히 가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