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공거리예술가들이랩, 힙합, 브레이크댄스, 그라피티발표를위해 The Factory Contemporary Arts Center에서이번주말이틀간모인다. 여기에참가하는 SubyOne에게는 야심찬 생각이 있다.
2013년사이공에이주한프랑스계베트남인아티스트 SubyOne은도시의거리예술계를수면위로끌어올리는노력을해왔다. 거리예술을위한갤러리GiantStep 을3년전에오픈했으며지금은사이공의젊은이들이그라피티에대한인식을바꾸고참여하게하려는노력을하고있다. 수많은청소년이시내의 3A Station을배경으로셀카를찍는다. Saigon Outcasts의인스타그램에도그라피티가가득한벽을배경으로찍은사진들이올라온다. 그러나그라피티작품은순수미술처럼예술품으로취급받지못하는경향이있다.
SubyOne은아름다움의기준은바라보는사람의눈이라고믿는다. 도시의거대한현대예술공간으로자리잡은The Facotry 같은곳은사람에게그라피티의예술성과가치를잘이해할수있도록도와준다.
“저에게는모든것이똑같습니다”, SubyOne이 Saigoneer에말했다. “거리예술의가치는사람들이결정하는것입니다.”
실제로 SubyOne의목표는그라피티가예술로인정받는것이아니다. 단지, 부정적인인식을줄수있는위험을감수하더라도최대한많은사람이접할수있도록하는것이다. 인정받기보다는거리예술을체험할기회를제공하고자하는것이다. 그라피티, 힙합, 브레이크댄스등을순수미술의영역으로받아들이는것은청중의선택에달려있다.
“우리가말하고싶은것이있습니다.”그는이어서말했다. “비록학교에서는가르치지않지만, 거리예술도예술입니다.”
SubyOne은그라피티가지역의예술계, 나이든대중들에게까지, 좋은영향을미칠것으로믿는다.
“제가살던 Vitry-Sur-Seine는파리의작은교외지역으로잊혀진마을이었습니다. 하지만지금은전세계그라피티예술가들이축제에참여하기위해매년방문하는유명한마을이되었습니다”.
해당작가에따르면이런현상은전세계적인현상이며아티스트와여행객을동시에끌어들이고있다. 말레이시아의페낭도또다른예가될수있다. 조지타운시의회는 2012년도심지역의오래된상점지역을활성화하기위한노력으로거리예술가들을고용했다. 그결과이도시는수많은벽화와그라피티작품이전시되었고공식지도에도그라피티작품들이표시되어있다.
The Factory의거리예술행사는사이공에서도위와같은변화가일어나기를바라는염원과사이공의거리예술을대내외적으로알리는계기를만들기위한행동이다.


페스티벌에는여러유명작가의작품들이선보이는것은물론워크숍도진행하면서다양한예술형식에대해더많은것을배울수기회도제공할것이다.
SubyOne은 "스프레이캔을만져본적이없는사람도그라피티를시도할수있으며그라피티에는정해진법칙도, 한계도없다"는것을사람들이이해하기바란다고말했다.
그리고이것은축복인동시에저주라고 SubyOne은생각한다. 시장개척이쉽지않고특히사이공에서는거리예술에대한가치를높게평가하지않기때문에작업에대한보상도받을확률이매우낮다.
따라서거리예술계에는오직열정적인사람만남게된다. SubyOne과그의친구들은한달페인트비용을감당하기위해다른일도해야한다고했다. "그라피티는돈을위해서가아니라, 정말사랑하기때문에그리는것입니다.”
그는사이공에서도언젠가는그라피티가상업성있는작품으로인정받을수있는날이올것이라고믿는다. 하지만오랜시간과공동체의헌신이필요하다. 젊은이들이미술관과박물관에서거리예술가를만나는날이온다면재능을살리는동시에돈을벌수있게될것이다.
인정받기위한길은멀지만, 더많은사람이참여하고거리예술이널리알려지면사이공의그라피티작가들은새로운길을걷게될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