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폐플라스틱수입이 1월 1일부터금지되면서, 환경전문가들은동남아시아국가들이대량의플라스틱폐기물매립지로전락할것을우려하고있다.
Plastics News 에 따르면 작년 7월 18일, 중국은 세계무역기구에 플라스틱 수입 중단을 통보했다. 중국은 플라스틱, 폐기된 직물, 분류되지 않은 폐지를 포함하여 모든 폐기물 수입을 중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은세계에서인구가가장많은국가로자국에서발생한재활용품을처리하는데도어려움을겪고있다. 이와아울러환경문제에관심이높아진것도중국정부가폐기물수입중단을결정하는데영향을미쳤다.
중국은거대한팬더모양의태양광발전소를작년에건설하여미국과유럽연합을뛰어넘는세계최대의태양광발전국가가되었다. 또한, 동아시아국가들도대기오염을막기위해8만여개의공장을폐쇄했다.
폐플라스틱수입금지정책시행전인 2017년말, 중국은전세계폐기물수입의 56%를차지했다. 로이터통신에따르면 2016년중국은 37억달러에상당하는 7백 30만톤의폐플라스틱을수입했다. 대부분의수입상대국은일본을비롯한미국과영국이었다.
이전중국은제조부문성장으로플라스틱폐기물 수입을 환영했으나, 최근환경문제에대한관심이커지면서 변화가생겼다.
로이터통신에따르면동남아시아국가들이중국을대신하여폐플라스틱수입국으로자리매김할것으로예상하고있다. 따라서앞으로는동남아시아에서많은양의플라스틱폐기물이분해되고, 세척되며새로운플라스틱제품으로생산될것이다.
지난몇년간중국재활용산업투자자들은플라스틱폐기물공정을다른국가에인계하려고말레이시아, 베트남, 인도네시아그리고태국등의문을두드렸다. Thomson Reuters Foundation 통계에따르면 2016년에비교하여 2017년에는베트남의플라스틱수입은 64% 증가하여 50만~55만톤이었다. 태국및인도네시아또한 2016년에비해각각 117%, 65% 더많은플라스틱을수입했다.
Greenpeace East Asia plastics의플라스틱캠페인을 벌이는 리우후아(Liu Hua)는로이터통신을통해장기적인관점에서회사가플라스틱사용을최소화해야한다고주장했다. 그리고단기적으로는동남아시아국가들은국민건강을위해환경규제를강화해야한다고말했다.
[사진 출처: Standaard]